•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onvergence

검색결과 930건 처리시간 0.015초

현대 패션에서 보여지는 컨버전스 문화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ltural Convergence Phenomenon in Contemporary Fashion)

  • 김미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61-69
    • /
    • 2008
  • The definition of convergence employed in this study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where different patterns, genres or fields coexist along with the existence of a knowledge based society. The focus of this study was centered 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paradigm in association with changing cultural convergence according to the theories of Mark Weiser and other futurolog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features of this paradigm in conjunction with changing cultural convergence in 21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influence of convergence paradigm on fashion. After identifying the features of knowledge-based society paradigm in association with changing cultural converg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paradigm in order to ascertain and analyze fashion trends. Conclusions based on analyzed data indicate that in a knowledge-based society, paradigm change resulting from convergence phenomena contributes to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fashion from other fields and its fusion with other areas.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유형으로서 자연융합형 공간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Natural Convergence Space as a New Type of Complex Cultural Space)

  • 이재민;권기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333-1341
    • /
    • 2018
  • Recently, alleys, villages and traditional market spaces have been recreated as complex cultural spaces due to urban renewal or village community policies. However, previous studies only refer to buildings such as museums and libraries in dealing with complex cultural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created complex cultural space as a natural convergence type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concept and type of the newly created complex cultural space. For this study, Busan Bosu-dong Bookstores Alley, Daegu Kim Gwangseok-street, Andong Traditional Market and Andong Shin-sedong Mural Village were selected as research examp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atural convergence space reflects the locality of the contents constituting the space, and the various values are convergenced. And this type of space is being reborn as an advanced case of urban regeneration and serves as a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in the region. As a next study of this study, we proposed social studies such as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Analyzing trends in cultural contents tourism using big data

  • Youn-hee Choi;Sang-Hak Lee;G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326-331
    • /
    • 2023
  • Korea's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develop into another unique tourism industry. However, since other prior studies focus on the Japanese content industry, this study identifies modern industrial trends by combin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ntent, that is, cultural content tourism, and the analysis ability of big data.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the cultural content tourism industry were studied by utilizing the extensive information collection and in-depth analysis capabilities of big data,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related to the business aspect of cultural content, not the pure content interest of cultural content. This shows that Korean cultural contents have a strong business aspect. As a limitation, when research design was conducted using social media big data, the age, gender, etc. of the subject analyzed with unique anonymity could not be known. The Korean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expected to be successful in terms of business.

융합미디어 환경에 따른 문화다양성 범주 설정 및 분석 프레임 연구 (A Study on Redefini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Analyzing Frame based on Media Convergence Environment)

  • 안호림;박태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3권
    • /
    • pp.76-100
    • /
    • 2013
  • 이 연구는 디지털 융합 미디어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문화 환경을 조명함으로써 문화다양성을 개념을 재정립하고 분석프레임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미디어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이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문화다양성에 대한 개념이 제대로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에서는 미디어다양성에 대한 분석이 경제적 계량과 콘텐츠의 수량 측정을 크게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콘텐츠의 실질적인 내용인 문화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 분석을 위해서 디지털 융합 미디어 이용문화를 메타문화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 메타문화에 기반하여 나타나는 문화다양성을 미디어 활동의 다원성, 문화적 표현의 다양성, 문화 확산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적 인지의 다양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네 가지 범주가 각각 포함하고 있는 측정변인들은 디지털 융합 미디어 환경에서 문화다양성의 양태들을 밝혀낼 수 있는 요인들이다. 이 요인들에 대한 분석은 문화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기준들이다. 문화다양성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메타문화 환경에서 문화공유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 PDF

병원 간호사의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 다문화 지식, 문화적 간호행위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Attitude toward Migrant Wives,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Nursing Behavior by Nurses)

  • 정은영;공정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81-290
    • /
    • 2018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결혼이민여성에 대한 태도, 다문화 지식, 문화적 간호행위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관계를 파악한 후 문화적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S시 지역의 2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한 자료 161부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원 간호사의 결혼이민 여성에 대한 태도는 평균 2.70점(4점 만점), 다문화 지식은 0.51점(1점 만점), 문화적 간호행위는 3.04점(5점 만점)이었다. 문화적 간호행위는 다문화 지식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문화 지식, 종교, 직위가 문화적 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영향요인들이 문화적 간호행위를 20.9% 설명하였다. 따라서 병원 간호사의 문화적 간호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다문화 교육을 통한 지식 향상과 다양한 융합적 프로그램을 통한 다문화 대상자와의 접촉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구성요소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Cultural Competence Dimensions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 한경아;문희;선춘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39-250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발표된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구성요소에 대한 양적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문화적 역량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돕기 위해 시도되었다. 문헌검색은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수행하였으며, 2010년 1월 1일 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발표된 학술지 논문 및 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문헌추출은 PRISMA 가이드 라인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총 1,175편의 논문 중 67편이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 가장 많이 차지하는 구성요소로는 문화적 인식이었으며 문화적 지식, 문화적 기술,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만남, 문화적 태도, 문화적 행위, 문화적 갈망 그리고 문화적 수용성, 문화적 경험, 문화적 안위, 문화적 윤리, 문화적 신념, 문화적 실천, 동기부여와 호기심, 문화적 감정과 공감 등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하여, 각 사회에서 필수적인 합의와 다각적인 접근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장애인평생교육 문화융합(cultural convergence) 기반의 발달장애 재활 설계 요소 개발: 재활과학-특수교육 기초 유관 분야 구심점 (Development of Design Elements of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Cultural Convergence of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Reflect Basic Related Fields such as Rehabilitation Science and Special Education as Centripetal Points)

  • 김영준;한승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427-434
    • /
    • 2022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 지원을 위한 실천적 지원체제에 있어 핵심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평생 교육과 발달장애재활 간 문화융합을 위한 설계 요소를 개발하는 데 목적를 두었다. 연구 방법은 특수교육, 재활과학을 전공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2개의 팀을 구성하여 FGI를 실시한 절차가 적용되었다. 연구 내용은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설계되어야 할 요소들이 크게 세 가지의 상위 범주(보편적 문화융합 요소,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각 상위 범주별로 하위 범주가 구체적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보편적 문화융합 요소로는 원리적 차원에서 "개방적 창의융합"이 제시되었고, 이는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유관 분야 간 융합 타당성을 탐구 및 실천하는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두 번째로,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재활과학-특수교육 분야 간 공동 실천 모델 개발, 교과교육 지식 및 기술, 교수·학습방법, 학습 진로 로드맵 구축, 취업·직무경력 개발 로드맵 구축, 독립생활 개발 이력 인증체계 형성이 제시되었다. 세 번째로,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지역 유관기관 간 교육과정적 통합 구성체계 형성, 코디네이터형-전문교사형 전문인력의 자격개발경로 구축, 학교 유형-센터 유형 간 조직적 체계화가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 지원은 성인기의 전체 생애 동안 장기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문화융합을 통하여 장애인평생교육 기반 발달장애재활의 전문적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함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전자문화지도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lectronic Cultural Atlas)

  • 문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161-2168
    • /
    • 2014
  •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창조적이고 새로운 형태로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문 분야에서는 학문연구 방법의 다양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융합학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전자문화지도에 관한 연구가 점차 확산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전자문화지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기존 전자문화지도의 베이스맵 활용, 인터페이스, 기능을 중심으로 한 비교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전자문화지도의 제작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문화유산 교육과정 개발 방안 연구 - 문화유산교육 현황과 지속가능한 교육과정 방안 제안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ourses - Current Statu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Proposal of Sustainable Education Courses -)

  • 노경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57-68
    • /
    • 2020
  • This research aims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propose the methodology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the model of the curriculum for each education subjec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was examined separately by general public,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 and practitioners. Second, we reviewe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and the UNESCO World Heritage Competency Framework(CF)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or each education subject. By examining the methodology and curriculum model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e tried to find the futur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Third, the education model of the cultural heritage curriculum for each educational subject was proposed by reflecting the direction and the cyclical education model of sustaina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future studies, we intend to use the educ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to specifically propose basic guidelines for the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curriculum.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한 지식지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Knowledge Map using Electronic Cultural Atlas)

  • 강지훈;문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381-1387
    • /
    • 2014
  • 지속적인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인문학, 지역학 등 다른 학문 분야와의 융합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보기술과 인문 지역학의 융합 분야 중에서 전자문화지도는 점, 선, 면의 공간데이타와 시간, 공간, 주제를 통하여 다양한 문화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전자지도 위에 표현한다. 지식지도는 전자문화지도의 활용을 고도화시킨 개념으로, 기존의 전자문화지도 상에 전문학술정보를 표현하는 것이다. 이 지식지도는 세부적으로 전자문화지도와 연계하여 학술정보를 제공하므로 주제별, 지역별, 시대별 데이터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시각적이고 통합적인 정보 공유 및 확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식지도 구축이 활성화되면 효율적인 학문 연구 및 연구결과 확산을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지식지도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구성에 대한 연구 내용을 기술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지식지도 구현을 위한 설계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