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Symbol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2초

게임 'Paper, Please'의 번역을 통한 콘텐츠 현지화 사례 연구: 한국어와 문화어 번역의 차이를 중심으로 (Study of Contents Localization Case on the Game 'Paper, Please': Based on the Korean and North Korean Translations)

  • 원호혁;구본혁;김형엽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45-160
    • /
    • 2019
  • 해당 연구는 게임 'Paper, Please'의 한국어(Korean) 번역본과 문화어(North Korean) 번역본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통해 언어와 이미지가 현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Paper, Please'의 문화어 번역본에 등장하는 북한의 언어와 문화적 개념은 북한의 외래어 사용하고 시대가 다른 각시탈을 비밀조직으로 차용하는 등의 오류가 존재함에도 불과하고 사람들에게 북한의 모습을 적절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가 되었다. 이를 통해 현지화에서는 심각한 오류가 아닐 경우 사람은 이미지와 모티브로 해당 문화에 몰입하며 재미를 얻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디지털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통문화원형의 캐릭터 분류 : 관음보살(觀音菩薩) 및 동자(童子)를 중심으로 (Classification of Characters out of their Original Cultural Forms to Create Digital Contents : Focusing on Avalokitesvara (觀音菩薩) and Buddhist child (童子))

  • 이영숙;신승윤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7호
    • /
    • pp.153-176
    • /
    • 2012
  •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융합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전통문화 소재의 발굴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는 오랜 역사 속에서 전통 신앙과 맞물려 풍부한 소재를 보유하게 되었다. 전통문화의 큰 축으로써 우리나라의 역사와 함께 자리 해 온 불교미술에 접근하여 새로운 문화 콘텐츠의 소재를 발굴하고 DB 분류하고자 한다. 이는 불교문화콘텐츠를 통해 향후 전통 문화에 근거한 미래 브랜드를 구현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통 문화적 관점에서 문화원형을 활용하였다. 불교 미술에 등장한 관음보살과 동자의 상징을 통한 의미를 연구하여 캐릭터로 제작하기 위한 기반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문화재청에 등록된 국보 및 보물로 등재되어진 불교 존상 중 관음보살과 동자로 범위로 정하고, 관음보살과 동자가 지닌 상징체계를 통해 전통캐릭터를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불교문화 캐릭터는 역할에 의한 분류, 지물에 의한 분류가 가능함을 발견하고 DB 분류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징성을 가진 복잡한 불교문화를 문화원형으로 활용하기 위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불교존상이 가지는 의미를 통해 한국적 전통캐릭터의 디지털콘텐츠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조선 후기 무위(武威)의 상징 대기치(大旗幟) 고증 (A historical study of the Large Banner, a symbol of the military digni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 제송희;김영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152-173
    • /
    • 2021
  • 대기치는 임진왜란 중에 새로운 군사 제도와 함께 도입된 깃발이다. 군사 훈련에서 표식으로 세워 군사들의 움직임을 통제하거나 상급자를 영접하기 위해 세우던 사방 4자 이상의 큰 깃발로 군영에서 국왕을 영접할 때 국왕 행차 앞에 세우는 어전 대기치, 사신 영접과 파견, 지방관의 행차 등에 다양하게 쓰였다. 군사 훈련권을 상징하는 대기치를 통해 무위를 과시하는 사회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대기치의 깃대 장식을 영두·주락(상모)·운봉을 갖춘 I유형과 영두·주락·치미를 갖춘 II유형으로 나누어 형식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I유형에는 청도기·각기·문기가, II유형에는 대·중·소 오방기와 금고기·표미기가 속하는데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장식을 달리하였다. 깃발의 크기는 네 변이 4자 이상의 정사각형에 상하와 세로 한 면에 화염각을 달아 세로가 약간 긴 정사각형에 가까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기치는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오방색을 기본으로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문양은 오방을 상징하는 신수와 도교 부적 글자를 결합한 대오방기, 오방을 호위하는 신장들을 그린 중오방기, 팔괘문을 그린 소오방기, 군문을 엄격히 지키라는 뜻의 익호 문양의 문기로 대별된다. 대기치 제작을 위한 채색 사료로 오사카부립도서관 소장품 컬러 필사본 『기제』를 18세기 중후반의 용호영의 견식으로 비정하고 본 논고 서술과 시각화 작업에서도 중요하게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바탕 재료는 군권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수입 운문대단을 썼다. 크기는 영조척 1자(30cm)를 적용하여 4자 깃발은 세로 170cm, 가로 145cm, 5자 깃발은 세로 200cm, 가로 175cm로 확정하였다. 아울러 국왕 의장기 중 대기 > 중기 > 대기치로 조선 후기 전체 깃발 안에서의 위계 질서를 확인하였다. 위의 문헌 및 회화 분석을 통한 고증과 유물 자료를 토대로 두 유형으로 나눈 대기치를 시각화하였다. 시각화에서는 본 논고에서 고증한 깃발의 크기, 깃대 장식, 깃발별 문양 장식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깃발의 바탕은 운문대단으로 18세기 운보문단 유물에 표현된 운문과 보문 문양을 제시하여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자 하였다. 색상과 크기, 재질의 문양, 부대물품 등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3D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실물 제작까지 가능하도록 하였다.

조선시대 괘불탱 및 괘불궤 수종에 대한 연구 (Study Regarding Species Identification for Hanging Paintings and Hanging Painting Storage Boxes in Joseon Dynasty)

  • 김순관;최재완;정아름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35-548
    • /
    • 2016
  •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의 바탕재나 안료 등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으나 괘불탱의 괘불축과 괘불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괘불탱을 중심으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예산 수덕사, 부안 개암사, 영천 수도사, 상주 북장사, 곡성 도림사, 양산 통도사, 예산 대련사 등 총 10건을 선정하였으며 시료 81점에 대해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괘불축 및 괘불궤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 51점, 피나무속 8점, 노간주나무속 6점, 잣나무류 5점, 솔송나무속 4점, 미송속 3점, 망개나무속 2점, 문배나무속 1점, 대나무아과 1점으로 확인되었다. 솔송나무속과 미송속은 외래수종이며 보수 및 수리 과정에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소나무류를 이용하여 괘불탱과 괘불궤를 제작하였고 잣나무류도 사용되었다. 불교문화에서 상징성을 갖는 피나무속도 괘불궤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사료되며, 망개나무속과 노간주나무속과 같이 목조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수종도 식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괘불탱 및 괘불궤에 진정성 있는 보존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도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Research on Cognitive Factors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 - Focused on Seoul -)

  • 이창연;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3-84
    • /
    • 2010
  • 도시이미지 안에서 대표경관들은 그 도시를 상징하며 사람들에게 그 도시의 도시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도시정체성의 중요한 기간자원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대표경관들이 어떠한 지각-인지의 조건들로 인해 대표성을 획득하게 되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서울시를 중심으로 도시 대표경관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여 대표경관들을 도출하고, 그들 각각의 인지요인들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유형별 요인별로 다각적 비교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를 향후 대표경관 계획 및 관리방안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기본방향은 특히 가시적 요인, 심미적 요인, 활동적 요인,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다면적 요인의 분석에 의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의 대표경관의 인지 순위와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고, 이에는 시민들의 문화적 요인에 대한 인식의 비중이 높아진 것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직 기초적 연구결과이기는 하지만 후속 연구의 보완을 통해 향후 대표경관 계획과 관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동.서양의 복식에 표현된 동물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비교 연구 - 유교적 불교문화권과 그리스도교 문화권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ymbols of animal patterns in oriental and occidental clothing - focusing on comparison of Buddh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 cultural area -)

  • 이윤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69-480
    • /
    • 2006
  • Patterns in clothing symbolize some specific meaning that differs across cultures and religions, although patterns have been mostly used to realize human desires to overcome natural hazards in every culture or religion.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animal patterns of Korea (Confucian/Buddhism culture) with those of Byzantine (Christian culture), based upon a research method of literature survey. It is found through the research that both cultures used common patterns, such as dragon, butterfly, bat, honeybee, peacock, fish, and chicken. In the case of dragon patterns, Korea used it to symbolize emperor, dignity, or authority, while Byzantine used it for devil. Bat patterns had different symbolic meanings in both cultures: they mean happiness, longevity, prosperity or many off-springs in Korea while they mean misfortune or unhappiness in Byzantine. On the other hand, the rest of animal patterns, including butterfly, honeybee, peacock, chicken, had quite a similar symbolic meaning. Butterfly means change of life or beginning of new life in Korea, whereas it means resurrection in Byzantine. Honeybee symbolizes diligence, order, and cooperation. Many animal patterns were used in both cultures at the same time. Another difference can be found in terms of the kind of animals; for example, Korea used wild goose, pheasant, giraffe, deer, mandarin duck & turtle, while Byzantine used eagle, snake, pigeon. Of course, each and every animal has its own meaning, mostly positive. Except dragons and bats, both cultures have a similar meaning in most of animal patterns. Generally speaking, Korea used imaginary animals to pray for human happiness, but Byzantine used real animals to pray for resurrections.

  • PDF

한국근대소설의 여성복식에 나타난 문화현상 분석 (Analysis on the Cultural Phenomena related to the Depiction of Women's Costume in Korean Modern Novels)

  • 전현실;홍나영
    • 복식
    • /
    • 제61권6호
    • /
    • pp.38-59
    • /
    • 2011
  • This study is based on the periodical discourse of women and their costumes, described in modern novels that were published from late 1890s to the 1930s. New cultural phenomena emerged among Korean women in the period of modernization. In particular, rapid increase of jobs for women and preference for western female body shape are very noticeable phenomena that can be observed in novels of the 1930s. In addition, the symbolic meanings of female costumes are variously described in modern novels according to the periodical and spatial environment and jobs for women. The symbolic meanings are organized as 'Trophysm, Expression of sexuality, Liberation from male-dominated society, Symbolic difference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Vanity, Decadence, Mechanism tending to hide and Change of values'. And women's costumes kept changing in the boundary of 'Confliction, Coexistence and Harmonization' of traditional and western costumes. 'Confliction' phenomenon got emerged in novels published between 1900 and 1910. The resistance on traditional costumes that restricted woman's life got spread. But western female costumes as a symbol of new culture could not be generalized but accepted as high fashion. 'Coexistence' phenomenon was appeared in novels of the 1920s. At that time, the modernization for traditional costumes by female students was emerged along with trendy fashion. Also, the frequency of using western fashion items was increased in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it shows that western costumes in the Korean society became popularized in the coexistence with traditional costumes. 'Harmonization' phenomenon was emerged in novels of the 1930s. In the novels, the emergence of western female costumes, personal preference items, and westernized hair style implies that western costumes were absorbed into the Korean society that had kept traditional costumes.

도시가로경관의 이미지 동질화를 위한 환경설계적 고찰 - 대구시 동성로를 중심으로 (An Environmental Study on the Image Identification of Urban Streetscape (The Case Study of Tongsung-Ro in Taegu City))

  • 이재익;박찬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9-121
    • /
    • 1985
  • A study on the image identification of urban streetscape is valuable for illuminating identity that is not yet fully approached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design. This analysis of urban streetscape for image identification allows us to make a more detailed exploration of an important approaching methods in dealing wit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dentity. As a matter of fact, the earlier indirect studies on this image identification were made by environmental designers, such as architectural and urban designer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came to its environmental cognition & environmental pattern research with assistances by such researchers as K. Lynch A. Rapoport & Christopher Alexander. Through its environmental perception research, we can see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at is aesthetic & visual structural contents of 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s. And we can see its cognitiv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nvironmental cognitive research, that is continuity, territoriality, identity of place, uniqueness or individuality, meaning & symbolism. Through its environmental pattern research, we can see its physical, socio - economic, cultural and symbolic pattern identification contents, that is physical form of the city, style of the street, pattern of streetscape, socio- economic & geographical locality, arid life cycle, life style, common style of the behavior, cultural pattern of the activity, socio - cultural expression of the symbol. In these process, we can set up a set of the environmental design criterias from those three integral studies for identity. And for an environmental research, Tongsung-Ro around the CBD (central business district) in Taegu City was selected for a case study, because this streetscape is suitable for that approaching methods in this study.

  • PDF

괴물의 언어: 다문화시대의 프랑켄슈타인과 드라큘라 (The Language of Monsters: Frankenstein and Dracula in Multiculturalism)

  • 정순국
    • 영미문화
    • /
    • 제14권2호
    • /
    • pp.251-285
    • /
    • 2014
  • Monsters cannot speak. They have been objectified and represented through a particular concept 'monstrosity' that renders the presence of monsters effectively simplified and nullified. In contemporary monster narratives, however, the site of monsters reveals that they could be the complex construction of society, culture, language and ideology. As going into the structure that concept is based on, therefore, meanings of monsters would be seen to be highly unstable. When symbolic language strives to match monsters with a unified concept, their meanings become only further deferred rather than valorized. This shows the language of monsters should disclose the self-contradiction inherent in 'monstrosity,' which has made others—namely beings we define as 'different' from ourselves in culture or physical appearance—embodied as abject and horrifying monsters. Unable to be understood, accepted, or called humans. I analyse Frankenstein and Dracula that firmly converge monstrous bodies into a symbolic meaning, demonstrating how this fusion causes problem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I especially emphasize the undeniable affirmation of expurgated others we need to have empathetic relations with, because their difference, unfamiliarity, and slight divergences are likely to be defined as abnormalitie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us, we must learn to embrace diversity, while also having to recognize there are many others that have been thought of as monsters; ironically enabling us to think about an undeniable imperative of being responsive to other people. In this respect, the monstrous inhuman goes to the heart of the ethical undercurrent of multiculturalism, its resolute attempt to recognize and respect someone else's difference from me. A focus on empathetic relations with others, thus, can strengthen the process of creating social mechanisms that do justice to the competing claims of different cultural groups and individuals.

조선후기 영남지방 사족촌(士族村)의 풍수담론 (The Fengshui Discourse on the Sajok Villag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Youngnam Region)

  • 최원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5-274
    • /
    • 2010
  • 조선 후기에 풍수설은 사족촌의 형성 과정에서 종족 터전의 번영과 인물 번성이라는 유교적 담론으로 통용되어 사족층의 정치 사회 경제적 세력화를 위한 향촌 지배 이데올로기로 활용되었다. 사족층의 향촌사회 세력화와 지배를 위한 풍수적 방식은, 입지 국면의 설정을 통한 상징화, 종족 상징 경관의 풍수적 배치를 통한 장소적 권위 확보, 풍수비보물의 관리를 통한 통제, 분산(墳山) 확보를 통한 산림의 사유화 등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