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ultivation method

Search Result 1,24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분리형 용기를 이용한 표고버섯 톱밥재배 연구 (Sawdust Cultivation of Lentinula edodes Using a Detachable Plastic Bottle)

  • 정연석;장영선;유림;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85-392
    • /
    • 2019
  • 플라스틱 비닐을 이용한 톱밥배지를 기반으로 하는 표고 재배방식은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닐 대신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여 표고의 재배실험을 실시하였다. 참나무 톱밥과 밀기울을 4:1 비율로 혼합하여 함수율을 65%로 맞춘 톱밥배지를 분리가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에 입병하였다. 접종한 배지는 배양일, 명배양 광조건 등을 달리하여 80일 또는 120일간 배양하였다. NIFoS 2464 균주에서는 300 Lux의 광도에서 명배양을 진행하였을 경우 배지의 중량감소율이 더 높았고, 빛의 세기는 배지의 중량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 발생시에는 발생실의 공기순환 팬 속도를 달리하였다. NIFoS 2464 균주는 암배양 80일, 명배양 500 Lux에서 40일, 공기순환 팬 속도 30 rpm에서 가장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120일 동안 배양된 병 배지의 경우, 명배양을 40일간 진행한 배지에서 생산량이 더 높았다. 암배양을 80일간 진행한 배지의 경우 배지 상면으로의 반복적인 살수작업 및 배양실 내의 빛 자극으로 인해 자실체가 발생하였다. 첫 수확 후 배지의 수축으로 인해 배지는 병으로부터 분리되었다. 분리된 플라스틱 병은 버섯 재배에 재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韓國)에 있어서 풀버섯[Volvariella volvacea(Bull. ex Fr.) Sing.] 재배(栽培)에 관(關)한 몇가지 시험(試驗) (Some Experiments on the Cultivation of Straw Mushroom, Volvariella volvacea (Bull. ex Fr.) Sing. in Korea)

  • 박용환;장학길;정청삼;김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24
    • /
    • 1974
  • 본(本) 시험(試驗)은 우리나라에서 열대(熱帶)및 아열대(亞熱帶) 지방(地方)에서 재배(栽培)되고 있는 풀버섯[Volvariella volvacea(Bull. ex Fr.) Sing.]의 재배(栽培) 가능성(可能性)및 다수확방법(多收穫方法)을 구명(究明)코자 실시(實施)되었다. 1. 우리나라에 있어서 재배적기(栽培適期)는 6월말경(月末頃)부터 8월말(月末)의 2개월(個月) 내외(內外)의 기간(期間)이었다. 2. 볏짚은 5일간(日間) 수침(水浸)한 후 재배사내(栽培舍內)에서 정열(頂熱)($60^{\circ}C$. 6시간(時間))후(後) $55^{\circ}C$ 내외(內外)에서 6일간(日間) 후발효(後醱酵)한 것이 야외퇴적(野外堆積)한 후 후발효(後醱酵)시킨 것보다 증수(增收)되었다. 3. 5일간(日間) 수침(水浸)한 볏짚을 6일간(日間) 후발효(後醱酵)하여 배지(培地)를 만들고 종균접종(種菌接種) 7일(日) 후(後)에 양토(壤土)로서 복토(覆土)하였을 때 볏짚 100kg당 20.49kg으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보릿가루가 첨가된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Using Coniferous Sawdust-based Media with Barley Flours)

  • 박현;이봉훈;오득실;가강현;박원철;이학주
    • 임산에너지
    • /
    • 24권2호
    • /
    • pp.31-36
    • /
    • 2005
  • 꽃송이버섯은 $1,3-{\beta}-D-glucan$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훨씬 높은 식용버섯이다. 이 버섯은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가 큰 식용버섯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일본과 한국에서 재배하고 있다. 하지만, 쉽게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고 일부 기업이 특허권의 범주 내에서 재배를 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간단한 공정으로 꽃송이 버섯을 재배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낙엽송, 소나무, 잣나무의 톱밥을 이용하여 보릿가루와 설탕을 80:20:3의 중량 비율로 섞은 후 수분함량을 65% 내외로 맞춘 병배지에서 꽃송이버섯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톱밥 종류 및 균주에 따라서 자실체 생산성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650g의 배지에서 최고 177g(수율 27%)를 수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용적인 꽃송이버섯 재배방법으로 이 배지를 적극 추천한다. 단,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보릿가루의 적정 농도와 톱밥종류에 맞는 균주의 선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PDF

재배방법에 따른 팥의 항산화 특성 및 앙금의 품질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Adzuki Bean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ccording to Cultivated Methods)

  • 우관식;송석보;고지연;김영복;김욱한;정헌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4-143
    • /
    • 2016
  • 재배방법에 따라 팥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조사하고, 생산된 팥에 대해 앙금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총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은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또한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품종에 비해 홍언이 높았다. 충주팥, 홍언 및 아라리의 습물중 앙금 수율은 각각 296.64~339.01, 271.36~282.24 및 268.21~292.32%, 건물중앙금 수율은 각각 71.68~85.41, 77.90~85.19 및 74.15~78.65%로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냈다(p<0.05). 습물 및 건물 앙금의 명도는 충주팥과 아라리는 약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5), 홍언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평균입자 직경은 충주팥, 홍언 및 아라리가 각각 66.21~98.80, 61.62~97.07 및 $82.96{\sim}106.71{\mu}m$로 재배방법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앙금의 미세구조는 타원형 모양의 입자로 세포막과 단백질이 둘러싸서 표면이 거친 것을 볼 수 있다. 수분결합력, 용해도 및 팽윤력 또한 재배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다층 재배선반을 갖는 하이브리드 식물공장의 열유동 특성 (Thermal Flow Characteristics of a Hybrid Plant Factory with Multi-layer Cultivation Shelves)

  • 윤지환;유봉조;김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990-8000
    • /
    • 2015
  • 식물공장은 환경적 조건을 조절하여 계절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농산물을 일정하게 생산하는 식물재배 시스템이다. 식물공장에 있어서 내부의 열 유동은 식물공장의 중요한 변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층 재배선반을 갖는 하이브리드 식물공장 내의 열유동 특성을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하였다. 열 유동 특성의 수치해를 얻기 위해 유한체적법(Finite Volume Method)을 이용하였다. 수치해석 모델에 있어서는 저 레이놀드수(low Reynolds number) ${\kappa}-{\epsilon}$ 난류모델을 이용하였으며, 해석방법으로는 비압축성 점성유동 영역과 압력경계 조건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에 있어, 3종류의 유입 공기속도와 재배선반의 위치변화에 따른 식물공장 내의 열유동 특성을 상용 프로그램인 Solid Works Flow simulation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송풍기를 통한 식물공장 내의 유입 공기속도를 1.6 m/s로 하였을 때, Case 3의 재배선반 배치가 비교적 균일한 온도 분포를 나타내었고, LED광만을 사용한 Case 1의 배치는 시험베드(test bed) TB2와 TB3 영역의 낮은 온도분포로 인하여 서큘레이터 등을 통한 추가적인 온도 제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식물재배 LED 인공광(DYLED47)의 청색광과 적색광의 비율을 1:1로 100% 구동 시, 재배선반의 평균 온도가 약 $3^{\circ}C$ 증가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심사용 투고요령입니다.

조선 최초의 가삼 재배지에 대하여 (The first region of ginseng cultivation in the Joseon dynasty)

  • 고승태
    • 인삼문화
    • /
    • 제2권
    • /
    • pp.17-26
    • /
    • 2020
  • 인삼은 예로부터 연명(延命)의 약물로 분류된 상약(上藥)의 하나로 자리를 잡고 지닌 약성에 따라 만병통치약으로 사용되었으며, 특수계급만을 대상으로 하였던 인삼 수요가 다른 계층으로 확대되면서 그 수요가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채취로 멸절(滅絶)되어 채취하기가 어렵게 되어 자연산 인삼으로는 공급의 한계에 이르게 되자, 인삼 공급 방법은 힘든 자연산 인삼의 채취보다는 가성비 높은 가삼 재배 쪽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인삼종주국인 우리나라의 가삼 재배 시기에 관해서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첫 재배지에 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삼 재배 관련 자료의 정리를 통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가삼 재배지에 관한 정리와 고찰을 하였으며, 여기에 인용된 사료는 조선왕조실록, 임원십육지, 오주연문장전산고, 중경지, 증보문헌비고, 인삼사 등이다. 정리와 고찰의 결과, 조선 시대 최초의 가삼 재배지는 영남지역으로 특히, 풍기면(현재의 경북 영주시 풍기읍)으로 추측된다.

원목재배와 병재배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ve of Grifola frondosa by log cultivation and bottle cultivation)

  • 김종봉;서혜영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5-19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잎새버섯에서 병재배와 원목재배에 따른 생리활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등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40^{\circ}C$ 물에서 추출한 원목재배 잎새버섯의 $5.96{\pm}0.81mg/g$이 가장 높았고 총 페놀함량은 $40^{\circ}C$ 물에서 추출한 병재배버섯의 $44.53{\pm}0.89$mg/g이 가장 높았다.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공여능은 BC-W40 잎새버섯 추출물의 $97.14{\pm}0.71%$가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소거능은 pH 1.2에서 BC-W40 잎새버섯 추출한 것의 $62.55{\pm}0.36%$가 가장 높았다. 가장 높은 SOD 유사활성은 LC-W40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의 $18.95{\pm}1.39%$였다. 잎새버섯의 Xanthine 저해 효과는 BC-W40 추출물 $54.13{\pm}0.40%$가 가장 높았고 그 효과는 농도에 비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잎새버섯이 우수한 항산화 기능이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잎새버섯의 생리활성들은 재배 방법에 따라 일정하지는 않았고 용매의 종류, 농도 및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도, 아질산소거능 등과 같은 생리작용 요인들에 따라 달랐다.

Rice variety IPB3S and IPB prima production technology to support food self-sufficiency in Indonesia

  • Aswidinnoor, Hajrial;Guntoro, Dwi;Sugiyanta, Sugiyanta;Wiyono, Suryo;Widodo, Widodo;Wijaya, Hermanu;Nindita, Anggi;Furqoni, Hafith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2-362
    • /
    • 2017
  • Dissemination of IPB3S rice variety combined with cultivation technology named IPB Prima was aimed to introduce IPB research product particularly for IPB rice variety with high-yield character that is IPB3S. The rice variety IPB3S and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was expected to be one of solution to improve rice productivity and accelerate to food self-sufficiency in Indonesia. Research sctivity was consist of three main research unit i.e. (1) Dissemination of IPB3S rice variety and IPB Prima production technology; (2)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management web-based system (IMS) for planning and monitoring IPB3S and IPB Prima application distribution; and (3) The development of High-capacity grain drying system in Fluidized-bed drying ang in-store drying system. The objective of main research i.e. to introduce IPB high-yield rice variety, to accelerate rice productivity to support self-sufficiency, to develop integrated system model through fluidized and in-store drying, and to develop web-based management-information system in result analyzing IPB3S and IPB Prima distribu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The dissemination activities was arranged in two location. The first location was in Banyuwangi, East Java with total area 10.87 ha, consist of 8.91 ha planting area for IPB3S and 1.96 ha planting area for Ciherang. The second location is in Tegal, Middle Java with total planting area in 5 ha.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different treatment of varieties and cultivation method. The experiment consist of (1) rice variety Ciherang with conventional cultivation technology (P0); (2) rice variety Ciherang with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P1); (3) rice variety IPB3S with conventional cultivation technology (P2); (4) rice variety IPB3S with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P3). Planting distance for twin rows system is $50cm{\times}25cm{\times}12.5cm$. Planting distance for single row system is $25cm{\times}25cm$. The research result elucidated that productivity result in two location has different grades in similar trend. Experiment in Tegal resulted P0 result is $6.18ton\;ha^{-1}$, P1 result is $6.30ton\;ha^{-1}$, P2 result is $6.82ton\;ha^{-1}$, P3 result is $7.31ton\;ha^{-1}$. Experiment in Banyuwangi resulted optimum production of IPB3S variety productivity number are $7.29ton\;ha^{-1}$, while Ciherang are $6.73ton\;ha^{-1}$.

  • PDF

Rice variety IPB3S and IPB prima production technology to support food self-sufficiency in Indonesia

  • Aswidinnoor, Hajrial;Guntoro, Dwi;Sugiyanta, Sugiyanta;Wiyono, Suryo;Widodo, Suryo;Wijaya, Hermanu;Nindita, Anggi;Furqoni, Hafith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61-61
    • /
    • 2017
  • Dissemination of IPB3S rice variety combined with cultivation technology named IPB Prima was aimed to introduce IPB research product particularly for IPB rice variety with high-yield character that is IPB3S. The rice variety IPB3S and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was expected to be one of solution to improve rice productivity and accelerate to food self-sufficiency in Indonesia. Research sctivity was consist of three main research unit i.e. (1) Dissemination of IPB3S rice variety and IPB Prima production technology; (2)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management web-based system (IMS) for planning and monitoring IPB3S and IPB Prima application distribution; and (3) The development of High-capacity grain drying system in Fluidized-bed drying ang in-store drying system. The objective of main research i.e. to introduce IPB high-yield rice variety, to accelerate rice productivity to support self-sufficiency, to develop integrated system model through fluidized and in-store drying, and to develop web-based management-information system in result analyzing IPB3S and IPB Prima distribu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The dissemination activities was arranged in two location. The first location was in Banyuwangi, East Java with total area 10.87 ha, consist of 8.91 ha planting area for IPB3S and 1.96 ha planting area for Ciherang. The second location is in Tegal, Middle Java with total planting area in 5 ha.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different treatment of varieties and cultivation method. The experiment consist of (1) rice variety Ciherang with conventional cultivation technology (P0); (2) rice variety Ciherang with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P1); (3) rice variety IPB3S with conventional cultivation technology (P2); (4) rice variety IPB3S with IPB Prima cultivation technology (P3). Planting distance for twin rows system is $50cm{\times}25cm{\times}12.5cm$. Planting distance for single row system is $25cm{\times}25{\times}cm$. The research result elucidated that productivity result in two location has different grades in similar trend. Experiment in Tegal resulted P0 result is $6.18ton\;ha^{-1}$, P1 result is $630ton\;ha^{-1}$, P2 result is $6.82ton\;ha^{-1}$, P3 result is $7.31ton\;ha^{-1}$. Experiment in Banyuwangi resulted optimum production of IPB3S variety productivity number are 7.29 ton ha-1, while Ciherang are $6.73ton\;ha^{-1}$.

  • PDF

Performance of Mixed Cropping of Barley and Hairy Vetch as Green Manure Crops for Following Corn Production

  • Shim, Kang Bo;Kim, Min Tae;Kim, Sung Gook;Jung, Kun Ho;Jeon, Weon Tai;Shin, Su Hyun;Lee, Jae Un;Lee, Jong Ki;Kwon, Young Up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60-165
    • /
    • 2018
  • BACKGROUND: Mixed cropping of legume and grass was effective system in view point of providing organic matter and nitrogen or reducing the nitrogen starvation of following crop. The relation of the change of N and P constituents depending on the cropping types and those effects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the following crop were observed. METHODS AND RESULTS: Three cropping types, hairy vetch mono cropping, barley mono cropping, and mixed cropping of hairy vetch and barley were applied. Soil properties, growth characteristics, and nitrogen production of green manure crops were observed. In additions, the effect of cropping types on the growth pattern of corn as the following crop was observed. In the mixed cropping system, creeping type hairy vetch climbed to the erect type barely for light utilization resulting in improvement of light interception rate and higher LAI (Leaf Area Index) than in mono cropping. Mixed cropping showed higher biomass production and soil nitrogen availability among the cropping types, indicating relatively much more nutrient supply and higher yield production of following crop. CONCLUSION: Mixed cropping showed relatively higher LAI (dry matter) mainly because of intense competition for light utilization usually after flowering stage. Mixed cropping also showed relatively higher yield of corn, the following crop rather than other types, mainly due to the more biomass production potential and higher N and P production ability. Therefore, mixed cropping was adaptable method to reduce or replace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for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