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ed fish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조피볼락(Sebastes sclegelii) 양식장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iniae의 표현형 및 유전형 특성 (Pheno- and genotyping of Streptococcus iniae isolated from cultured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at Korean coastal sites)

  • 김태호;한현자;김명석;조미영;김수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77-286
    • /
    • 2023
  •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is a representative bony fish that belongs to the family Scorpaenidae and the order Scorpaeniformes. It has high ecological and economic value and is widely cultivated in many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Japan and China. One of streptococci, Streptococcus iniae, is Gram-positive cocci with a negative reaction for catalase and oxidase. The Korean rockfish shows clinical signs when infected with S. iniae, such as body darkening, bleeding, enlarged kidneys, blurred eyes, abdominal distension, etc., ultimately leading to death. The Korean rockfish causes significant economic losses every year in South Korea due to streptococcosi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bacteria from the fish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conducted analyses of hemolytic activity and biochemical tests using API 20 STREP and API ZYM systems. Results of confirming the hemolytic activity (n=4) observed in alpha-type hemolysis (25%), beta-type hemol- ysis (50%), and gamma-type hemolysis (25%) of isolates. The biochemical test results exhibited sig- nificant variation among S. iniae. Additionally, we performed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S. iniae in the fish and analyzed the phylogenetic tree using housekeeping genes of S. iniae, including cpsD, arcC, glnA, groEL, gyrB, mutS, pheT, prkC, rpoB, and tkt, via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The lethal dose (LD50) showed strong pathogenicity, such as 3.34 × 10 colony-forming unit (CFU)/ml for 23FBStr0601 strain and 7.16 × 10 CFU/ml for 23FBStr0602 strain. 23FBStr0603 strain showed relatively low pathogenicity at 1.73 × 105 CFU/ml. The strains 23FBStr0601 and 23FBStr0602, which showed strong pathogenicity, clustered into one monophyletic group. The 23FBStr0603 strain showed weak pathogenicity and formed a monophyletic group with KCTC 3657.

토지이용이 이원천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the Land Use Factor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of Iwonchon Basin)

  • 이호준;방제용;김용옥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35-240
    • /
    • 1999
  • 토지이용이 어떻게 수질에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고자 1993년 3월 부터 1998년 3월 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는 충북 옥천군 이원면의 경작지가 주류를 이루는 개심저수지와 산지유역으로 특성지워지는 장찬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유역을 11개 소집수역으로 세분하고 토지이용과 하천수질과의 상관성, 하천 유역의 오염원 동태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BOD, SS, TKN은 하류로 갈수록 높아졌으나 자정 한계를 넘어선 G 소집수역은 예외였다. 장찬저수지 유역은 가두리 양식장 때문에 수질이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양식장의 폐쇄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발표고는 200 m 이하가 개심저수지 유역 56.0%, 장찬저수지 유역 44.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비삼림지역은 전체 조사면적 44.91 ㎢중 14.74 ㎢로 32.8%를 차지하였는데 특히 경작지와 주거지 면적 비의 증가에 따라 총인(Y=0.2023X+0.0991, r=0.54)이 증가되고 있다. 토지이용별 오염 배출원 단위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농경지의 오염부하량은 매우 크며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에 유입, 유하 하는 동안 물리, 화학, 생화학적, 생물학적 변화를 거쳐 농도가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삼림지역의 오염부하량은 농경지의 오염부하량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으나 오히려 하천으로 유입, 유하하는 동안 오염 물질의 양이 높아졌다.

  • PDF

국내산 영귤을 이용한 일본 요리의 조리 적성 연구 (Cooking Potentiality for Japanese Dishes using Domestic Citrus sudachi)

  • 오혁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8-27
    • /
    • 2009
  • 영귤을 일본 요리에 이용하는 연구를 위하여 영귤 착즙액과 영귤 초를 이용하여 소스 제조 및 구이 요리, 찜 요리, 냄비 요리, 튀김 요리 그리고, 초밥 생선회 등을 만들었다. 영귤즙의 일반 성분으로 수분, 지방, 단백질, 섬유질, 탄수화물 그리고 회분 등이 각각 91.5%, 0.21%, 0.62%, 0.23%, 5.32%, 0.25%로 나타났다. 산도는 5.09%, 당도는 7.4 $^{\circ}Brix$, pH는 3.02였다. 일본 요리에서 영귤즙을 이용한 요리와 영귤초를 이용한 야채드레싱, 그리고 생선요리의 폰즈, 와후 드레싱, 초밥초와 덴츠유 등에 적용시켜 가능성을 보았다. 영귤즙을 첨가한 13가지의 일본 요리 중에서 고등어구이, 바비큐, 도빙무시 등이 높은 관능 평가 점수를 받았다. 영귤 초간장에서는 가장 잘 어울리는 비율이 4(간장) : 3(영귤즙)이었다. 영귤즙은 거의 모든 일본 요리의 양념 재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하다. 현재 수입 레몬이나 라임 등의 대체품으로서 국내 제주산 영귤이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유기농 복합생태 논습지의 토양 미생물 다양성 증진 효과 (Effect of Soil Microbial Diversity in Paddy Wetland under Organic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 한양수;박충배;조정래;박상구;공민재;남홍식;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9-82
    • /
    • 2022
  • 본 연구는 상시 담수 상태의 복합생태 논습지에서 유기농 벼-큰징거미새우 복합생산 조건 시 1) 논습지 토양 화학성 및 세균 군집 특성을 파악하여 토양 화학성과 세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2) 유기농 벼 단작 토양과 관행 벼 단작 토양의 세균 군집과 비교하여 유기농 복합생태 토양의 미생물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토양 화학성의 경우 유기농 복합생산 운영 기간이 길수록 유효인산과 유기물 함량이 증가한다. 모든 토양 시료에서 문(Phylum) 수준의 세균 분석 결과 9개의 주요 문이 분포되어 있으며, 모든 토양 시료에서 Proteobacteria가 우점하고 있다. 속(Genus) 수준 분셕 결과 37개의 주요 속이 분류되었으며, 벤다이어그램 분석 결과 모든 토양 시료에 존재하는 250개의 OTU가 분류되었고, 유기농 벼재배 토양에 특화된 561개의 OTU가 관찰되었다. 주좌표분석 결과 관행 벼 단작 토양의 세균 군집과 비교하여 유기농 벼 단작 토양과 유기농 복합생태 논습지 토양의 세균 군집 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밑이 트인 단열수조의 온도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mperature Control of Insulated Open-End Water Vessel)

  • 한승훈;배철오;안병원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8호
    • /
    • pp.1097-1103
    • /
    • 2012
  • 우리나라의 서남해안은 어류의 양식 어가가 많이 있다. 양식 어가의 양식장은 해수를 유입시켜 순환시키는 기본적인 특성에 기인하는 관계로 약간의 부주의 및 잘못된 설계는 양식어의 폐사에 까지 영향을 끼치며, 또한 어종별로 최적의 서식온도가 존재함이 이미 밝혀져 있으며 이러한 환경을 사계절에 무관하게 유지하기는 극히 힘든 일인 동시에 필수적 과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열의 기본 성질과 열전달 메커니즘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일정한 격리된 공간에 열을 축적하기 위해 샌드위치 판넬 단열재를 이용하여 밑이 트인 단열 수조를 설계 및 제작을 하고 모의실험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무한히 많은 물중에서 일정 구획을 단열재로 단열하고, 밑이 트인 단열 수조에 히터를 장치하여 국부적인 부분만 가열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제어기를 제작하였으며, 일정한 온도 값을 유지하기 위한 AC 전력 제어기를 제작하여 히터의 발열량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Nitrogen allocation of Gracilaria tikvahiae grown in urbanized estuaries of Long Island Sound and New York City, USA: a preliminary evaluation of ocean farmed Gracilaria for alternative fish feeds

  • Johnson, Ronald B.;Kim, Jang K.;Armbruster, Lisa C.;Yarish, Charles
    • ALGAE
    • /
    • 제29권3호
    • /
    • pp.227-235
    • /
    • 2014
  • The red seaweed, Gracilaria tikvahiae McLachlan, was cultivated in open water farms in urbanized estuaries of Long Island Sound (26-30 psu of salinity) and New York City (20-25 psu), USA in 2011. Plants were harvested monthly from summer (August, $24^{\circ}C$) to fall (November, $13^{\circ}C$) and analyzed for total nitrogen,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 On a dry matter (DM) basis, nitrogen and protein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harvest period until October and then plateaued. Nitrogen increased from $22{\pm}1g\;kg^{-1}$ DM in August to $39{\pm}3g\;kg^{-1}$ DM in October (p < 0.001). Protein increased from $107{\pm}13g\;kg^{-1}$ DM in August to $196{\pm}5g\;kg^{-1}$ DM in November (p < 0.001). With two exceptions, amino acid concentrations expressed on a crude protein (CP) basis were similar over the harvest period. Essential amino acids accounted for $48{\pm}1%$ of all amino acids present with lysine and methionine averaging $56{\pm}2g\;kg^{-1}$ CP and $18{\pm}1g\;kg^{-1}$ CP, respectively. Histidine was underrepresented among essential amino acids and averaged $13{\pm}1g\;kg^{-1}$ CP. Taurine ranged from 2.1 to $3.2g\;kg^{-1}$ DM. With its moderate levels of lysine, methionine and taurine, ocean farmed G. tikvahiae has the potential of overcoming many nutrient deficiencies currently associated with terrestrial plant ingredients in alternative feeds for fish and shrimp.

양식 가물치 궤양병의 병리 연구 (Pathology of Ulcerous Disease in Cultivated Snakehead, Channa argus)

  • 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4-170
    • /
    • 1992
  • 본 연구는 한국산 양식 가물치에 큰 피해를 주는 출혈성 궤양증의 원인과 병리를 연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물치의 출혈성 궤양증은 그 원인이 세균성이었고 궤양 및 장기로부터 분리된 Aeromonas veronii 가 주원인균이었다. A veronii 를 건강한 가물치의 피하에 인공 접종한 결과 양식 가물치에서 관찰된 병증과 유사한 궤양을 유발시켰다. 초기 증세는 주사부위를 중심으로 피부에 붉은 반점이 나타났고, 점차 확대되면서 피부가 탈락되고 출혈이 수반되었다. 곧이여 근육괴사가 진행되어 조사된 반대쪽에 구멍이 뚫렸다. $10^{5}$/CFU/0.25 ml 의 세균은 복강주사시 72시간이내에 시험개체의 50%가 치사되었다. 본 균은 cephalothin, chlorampenicol, gentamicin, tetracyline 등의 항생제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새우의 급성간췌장괴사병과 수입 위생 조치 (Acute hepatopancreatic necrosis disease of shrimp and import health measures)

  • 김남은;김도형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
    • /
    • 2015
  • In 2009 outbreaks of an emerging disease in shrimp farms were first reported in China. The disease was known as early mortality syndrome (EMS), or acute hepatopancreatic necrosis disease (AHPND). Since 2009, the disease has been spread to Vietnam, Malaysia, Thailand and Mexico. The causative agent of the disease was identified as Vibrio parahaemolyticus. It is a common seawater inhabitant bacterium, and the pathogen can sometimes contaminate seafood. The disease has caused mass mortality of cultivated shrimp, and huge economic losses in the countries named above. In order to prevent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AHPND, emergency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of import conditions and even import bans, were put in place by many other countries.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arge quantities of shrimp imports from countries, such as Thailand and Vietnam. Transportation of live and fresh dead shrimp is highly likely, and could be a transmission pathway if the shrimp are sourced from populations in AHPND endemic area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importing countries may provisionally adopt sanitary or phytosanitary measures on the basis of available pertinent information, including that from the relevan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s well as from sanitary or phytosanitary measures applied by other countries based on "Agreement on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s". It is pertinent that Korea also takes proper emergent measures to keep out diseases and provide safe seafood.

광주.전남지역의 주요 특산식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jor Local Foods in Gwangju.Jeonam Area)

  • 김정옥;최차란;신말식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27-339
    • /
    • 2006
  •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음식문화 주요 식품 재료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군의 특산물을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기타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특산물 중 농산물 51종, 수산물 50종, 축산물 6종, 기타 특산물 17종으로 총 124종 선정되어 있었다. 이 지역의 특산물 중에서 쌀, 오이, 배, 멸치, 굴, 김,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등은 여러 지역에서 특산물로 선정되어 있었다. 무등산수박, 무화과, 연어, 숭어, 메기 등의 특산물은 이들의 생산에 적합한 지리적 조건을 가진 지역에서만 생산되고 있었다. 농산물 중 밤호박, 파프리카, 키위, 벨론 등은 최근에 이 지역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수산물, 버섯류, 산채류는 자연산은 감소하는 반면 양식이나 인공재배가 증가하고 있었으며, 농산물과 축산물의 브랜드화도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 지역의 음식문화와 관련된 식재료의 수급과 선택 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특산물의 종류와 생산량이 환경오염과 국토개발 등 자연환경의 변화, 소비자의 기호변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 재배기술의 발달, 수산양식의 발달, 새로운 품종의 도입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변화되고 있었다. 즉, 이 지역에서 식재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농수산물이 생산되고 있으며, 음식문화가 계속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Bisphenol-A as Endocrine Disruptor Released from Lacquer Coating in Food Cans

  • Beung Ho, R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9-23
    • /
    • 1999
  • Bisphenol-A and related conpounds recently have been reported to be estrogenic since it has been demonstrared in laboratory stuides that they mimic the effects of estrogen. Bisphenol-A refered to as "environmental estrogen" are suspected of causing health effect in living body through disruption of endocdrine system. In this review, the occurrence, environmental fate, and biological effects of bisphenol-A are presented. To provide understanding to the potential for endocrine disruption due to environmental estrogen, the physiology of bisphenol-A mammalian and fish is also reviewed. For empty can, the migrationof bisphenol-A form food conducted epoxy coating was effected by the test conditions and it increased in order to water and 4% acetic acid. Extracts from foods packed in lacquer coated can also showed estrogenic activity. Bisphenol-A was found as a contaminant not only in the liquid food cans, but also in water autoclave in can. The used of coating certain food-packaging material may require closer scrutiny to determine when bisphenol-A contribute to advert exposure of consumers to estrogenic xenobiotics. Human breast cancer MCF cell added bisphenol-A cultivated to study the ability of bisphenol-A to elicit of bisphenol-A estrogenic bioresponse in this system. Bisphenol-A, similar to estradiol, induced PR activation in transiently transfected anterior and posterior pituitary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