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n the Land Use Factor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of Iwonchon Basin

토지이용이 이원천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 이호준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 ;
  • 방제용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 ;
  • 김용옥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명과학전공)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was performed from March 1993 to March 1998, on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and land use types. The study sites were two reservoir basins; Kaesim and Jangchan in Iwon-myon, Okchon-gun, Chungcho'ngbukdo Province. The two basins were characterized by cultivated area (Kaesim reservoir) and mountain area (Jangchan reservoir), and divided into eleven small basins, where dynamics of polluta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land use types were investigated. BOD, SS and TKN became lower and lower from up-stream to down-stream, except for the small basin G where self-purification limit was exceeded. And water quality of Jangchan reservoir basin was worse because of fish nursery. Area below altitude 200m occupied 56% in Kaesim and 44% in Jangchan reservoir basins. Especially total phosphorous (Y/sub T-P/=0.2023X+0.0991, r=0.54) and total nitrogen increased in small basins where the proportion of cultivated and residential area was higher. The analysis of influences of pollutant discharge on water quality showed that pollution charge was very high in cultivated areas. The concentrations of pollutants were attenuated flowing into watersheds through physical, chemical, bio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The pollution level of mountain area was lower than that of cultivated areas.

토지이용이 어떻게 수질에 영향을 주는가를 연구하고자 1993년 3월 부터 1998년 3월 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는 충북 옥천군 이원면의 경작지가 주류를 이루는 개심저수지와 산지유역으로 특성지워지는 장찬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유역을 11개 소집수역으로 세분하고 토지이용과 하천수질과의 상관성, 하천 유역의 오염원 동태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BOD, SS, TKN은 하류로 갈수록 높아졌으나 자정 한계를 넘어선 G 소집수역은 예외였다. 장찬저수지 유역은 가두리 양식장 때문에 수질이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양식장의 폐쇄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발표고는 200 m 이하가 개심저수지 유역 56.0%, 장찬저수지 유역 44.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비삼림지역은 전체 조사면적 44.91 ㎢중 14.74 ㎢로 32.8%를 차지하였는데 특히 경작지와 주거지 면적 비의 증가에 따라 총인(Y=0.2023X+0.0991, r=0.54)이 증가되고 있다. 토지이용별 오염 배출원 단위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농경지의 오염부하량은 매우 크며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에 유입, 유하 하는 동안 물리, 화학, 생화학적, 생물학적 변화를 거쳐 농도가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삼림지역의 오염부하량은 농경지의 오염부하량 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으나 오히려 하천으로 유입, 유하하는 동안 오염 물질의 양이 높아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