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ex pipiens pallen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4초

Seasonal Prevalence and Abundance of Mosquitoes at the Busan Port (2001~2006)

  • Kim, Mi-Kyeong;Lee, Eun-Ju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99-20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mosquito specie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related to vector mosquitoes to manage the possible epidemic diseases. During a 4-year investigation (2001, 2002, 2004, and 2006), we collected the specimens of the mosquitoes at pier no. 1, 3 and 5 of Busan port with light traps from sunset until the next day morning from April to October each year. Through the research, we collected 5,985 mosquito specimens in total and found 7 mosquito species belonging to 3 genera. A total of 1,575, 1,473, 1,478 and 1,459 mosquito specimens were collected in 2001, 2002, 2004 and 2006, respectively. Among them, 5,568 (93.0%) specimens were Culex pipiens pallens, the West Nile virus infection vector, which showed the highest density among the specimens. The population densities of the other species were: 295(4.9%) Culex tritaeniorhynchus, 94(1.5%) Aedes togoi, 12(0.3%) Aedes albopictus, 10(0.2%) Anopheles sinensis, 4(0.1%) Aedes vexans nipponii, 2(0.1%) Culex inatomii. The monthly abundance of mosquitoes from July through September showed the highest values. Although it was a general mosquito monitoring study, this study could provide a base for securing the statistical data on spreading epidemic diseases by people infected outside Korea.

  • PDF

홍모기(Cufexpipienspoiffens)의 난성숙 과정중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from the Mosquito, Culex pipiens pallens)

  • 임태진;이승훈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66-472
    • /
    • 1994
  • Culexpfpfens pollens에 존재하는 superoxide dismutase의 연구를 위한 적정 분석 조건과 우화 전후. 시간 경과에 따른 superoxide dismutase 활성 경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C. pipiens에 존재하는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은 부화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우화 후 흡혈 자극에 의해서 급격하게 증가한다 흡혈 후 36시간이 경과했을 때. 최대의 논성도를 보인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기관별 분석에서 흡혈 후 가장 높은 활성 증가는 중장에서 일어나고, 머리 흥부. 지꼴체 및 난소에서도 활성의 증가가 나타났다. 흡혈 전에는 2개의 동위효소(SOD-1, soD-2)가 존재하였으나. 흡혈후 36시간된 성체에서는 3개의 동위효소 밴드가 보이는데, 머리에서는 SOD-1만이 나타나고, 가슴에서는 SOD-2. 지방체와 난소에서는 SOD-1과 SOD-2이 존재하였고. 중장에서는 SOD-3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흡혈 후 나타나는 새로운 동위효소는 중장에서 합성됨을 알 수 있다.

  • PDF

한국에 주둔한 미군지역내에서의 모기 성충과 유충 채집(1979~1983) (Collection of Adult and Larval Mosquitoes in U.S. Army Compounds in the Republic of Korea During 1979~1983)

  • 이관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102-108
    • /
    • 1984
  • 본 논문은 1979∼1983년에 걸쳐 한국내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지역에서 5월부터 10월간 유문등(New Jersey)에 의한 모기 성충 채집과 그리고 유충 채집을 실시한 것이다. 성충 채집수는 연평균치로 나타냈으며 유문등당 1일 채집수를 표시하여 미군영내에 출현하는 모기 종과 출현시기 및 그 밀도를 파악하여 모기 구제대책을 강구하는데에 기본자료로 이용하였다. 모기 구제를 위한 살충제의 살포 기준은 자충의 탐집수가 2단 계속 10마리를 초과하거나 매개근로 알려진 자충이 5마리 이상 채집될 때 그 주변에 살포작업을 실시하도록 건의하였다(미륙단규정 TM 5-632 p.7-3참고). 1. 모기 탐집을 실시한 지역은 5개도내의 12개지역으로 39개의 유문등이 설치되었으며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모기종은 3속 17종으로 분류되었으며, 그중 개체군의 밀도가 높아 구제대상으로 생각되는 종은 다음의 3속 4종으로 나타났다. 1) Anopheles sinensis (40.2%, 2) Culex tritaeniorhynchus (31%), 3) Aedes vegans nipponii(19%, 4) Culex pipiens pallens (10%). 2. 유준등 설치지역은 경기도내 5개지역, 강원도 2개지역, 충남 1개지역 경북 3개지역 경남1개 지역으로 이들 지역에서 채집된 중요 모기종은 공통적으로 같은 종류였으며 출현시기도 대체로 일치하였다. 특히 매년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뇌염매개종인 Culex tritaeniorhynchus는 출현시기가 7∼9월간이었으며 그중 8월이 나정기로 나타났다. 3. 미군험둔지역에서 체사된 유충서식지는 16개 형태로 구분되었으며 그곳에서 채집된 유충은 4속 15종으로 분류되었다. 확인된 유충서식처는 일반적으로 우기에 존재하는 일시적인 장소가 많았다. 4. 경기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종과 높은 채집률을 보인 것은 유문등설치장소가 주로 논과 접해 있는 농촌지역내에 속해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

석창포 추출물의 모기에 대한 기피활성 (Repellent Activity of the Extracts of Acorus Gramineus against Mosquito (Culex pipinens pallens))

  • 이승호;정진관;박상현;김문식;한연수;서정미;김인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6-81
    • /
    • 2011
  • 식의약소재로서 석창포의 활용성을 조사하고자 석창포 추출물의 모기에 대한 기피효과를 시험한 결과 모기를 방사한 장소에서 추출물에 노출된 공간으로 이동한 모기 마리수 비율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공간으로 이동한 모기 마리수 비율에 대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또한, 방사한 공간에 남아 있는 모기 마리수 비율은 석창포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공간으로 이동한 모기 마리수 비율에 비해 낮았다. 이는 모기가 석창포 추출물을 기피하는 경향에서 비롯된 결과임을 의미하였다. 석창포 추출물의 모기기피 활성성분을 조사하고자 추출물을 GC/MS 분석한 결과 주요 성분은 ${\beta}$-asarone으로 밝혀졌다. 시판중인 asarone을 이용하여 기피실험을 실시한 결과 ${\alpha}$-asarone과 ${\beta}$-asarone 모두 기피활성을 보였으며 ${\beta}$-asarone이 ${\alpha}$-asarone에 비해 기피활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석창포 추출물이 친환경적으로 모기를 제어하기 위한 식의약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였다.

국내 주요 모기유충과 천적어류의 Abate 와 Abate-S 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Medically Important Mosquito Larvae and Larvivorous Fishes to Abate and Abate-S in Korea)

  • 이동규;유효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5-169
    • /
    • 1999
  • 1998년 9월에 경남 일원에서 채집한 5종의 모기(Anopheles sinensis, Aedes dorsalis, Culex inatomii, Cx. pipiens, Cx. tritaeniorhynchus)의 3령기 유충과 모기천적어류인 미꾸라지(Misgurnus muzolepis) 및 붕어 (Carassius carassius)를 대상으로 Abate 와 Abate-S 의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Cx. pipiens pallens에 대한 Abate 와 Abate-S 의 ${LC}_{50}$는 모두 0.006ppm이었다. 이들의 ${LC}_{95}$는 각각 0.070ppm과 0.035ppm으로 이들에 대한 WHO의 제시사용농도인 1.0ppm에 비하여 매우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Cx. tritaeniorhynchus의 유충에 대한 Abate-S 의 ${LC}_{50}$${LC}_{95}$는 각각 0.048ppm과 0.808ppm을 보인 반면, Cx. inatomii와 Ae. dorsalis는 Abate-S 에 감수성이 매우 높아서 ${LC}_{50}$은 각각 1.9$\times$${10}^{-7}$과 1.1$\times$${10}^{-7}$ppm이었으며 ${LC}_{95}$는 각각 5.2$\times$${10}^{-6}$ppm과 1.4$\times$${10}^{-5}$ppm이었다. An. sinensis에 대한 Abate-S ${LC}_{50}$ 0.009ppm였으며 ${LC}_{95}$는 0.025ppm이었다. 이 두 살충제는 모기유충에 비하여 미꾸라지와 붕어에 현저히 낮은 독성을 나타내어 미꾸라지에 대한 ${LC}_{1}$은 Abate 에서 24.145ppm, Abate-S 에서 10.750ppm이었으며 ${LC}_{1}$는 Abate 에서 27.567ppm, Abate-S 에서 14.775ppm이었다. 붕어의 경우에, ${LC}_{1}$은 Abate 에서 7.914ppm 그리고 Abate-S 에서 6.480ppm으로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Abate 와 Abate-S 의 붕어에 대한 ${LC}_{50}$는 각각 19.898ppm과 8.568ppm으로 모기유충에 비하여 감수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 미꾸라지와 붕어에 안전한 Abate 와 Abate-S 의 최대농도는 모기 유충의 95.0%치사농도의 8배 이상으로 나타나서 다른 수석 무척추동물에 안전하다면 이들 천적어류와 살충제를 동시에 이용한 특정 수역에서 모기의 종합적 방제(Integrated Control)를 수행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울산 해안의 습지 주위에 서식하는 주요 모기의 발생 소장 (Prevalence and Seasonal Abundance of the Dominant Mosquito Species in a Large Marsh near Coast of Ulsan)

  • 정영석;이동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25-132
    • /
    • 2003
  • 울산시 울주군 청량면 인근 해안가 주변의 저습지를 보유한 용암리에 서식하는 모기의 계절적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성충 채집은 Nozawa 유문등을 이용하여 3년(1999-2001) 동안 3월부터 9월까지 두 곳의 우사에서 격주에 한번씩 암컷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채집된 암컷 성충은 1999년에 트랩당 평균 4,416.1마리, 2000년에 5,505.9마리, 그리고 2001년에 6,863.8마리였다. 채집된 모기의 종류는 5속 10종이었으며, 가장 높은 채집수를 보인 종은 중국얼룩날개모기로 종비는 53.4%였으며 다음으로 작은빨간집모기(43.0%), 이나도미집모기(1.6%), 등줄숲모기(1.3%), 빨간집모기(0.5%) 순이었다.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의 주요발생 시기인 6월부터 9월까지의 트랩당 평균 채집수는 각각 3,663.3마리와 3,142.5마리였다. 1997년 조사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난 이나도미집모기의 채집수는 연중 7월 초순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티플러스 살충제의 모기 방제 효과 및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Mosquito Control Efficacy of a BtPlus Insecticide and Its Safety Assessment to Aquatic Environment)

  • 박영진;유성민;권보원;박찬;김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1-188
    • /
    • 2016
  • 비티플러스는 Bacillus thurigiensis와 면역억제가 혼합된 생물농약의 총칭이다. 본 연구는 모기류에 살충력이 높은 새로운 비티플러스 생물농약에 대해서 야외포장 조건에서 약효와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 관해 수행되었다. 모기 유충에 대한 효과적 방제를 위해 두 가지 살포 처리에 따라 비티플러스의 방제 효과를 검증하였다. 비티플러스의 공중살포 ($3.3m^2$ 당 100 mL)에 따른 수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의 효과적 방제를 위해서는 최소 50%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가 요구되었다. 이에 반해 논생태계와 유사한 조건의 간이모형 조건에서 비티플러스를 수중살포한 경우 모기유충에 대한 비티플러스의 방제효과는 0.1%의 제제화 된 약제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 효과를 나타냈고, 0.2% 처리에서는 완전 방제 효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유충에 비해서는 다소 낮지만 10% 설탕물에 포함된 0.1%의 비티플러스는 성충에 대해서도 40% 이상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평가에서는 잉어 (Cyprinus carpio), 큰물벼룩(Daphnia magna), 꿀벌(Apis mellifera)을 대상으로 비티플러스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 급성적인 영향은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논생태계에 서식하는 모기 유충방제에 비티플러스의 수중살포 처리가 유효한 방제 처리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