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drania tricuspidata leaf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1초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 김은지;주형욱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73-186
    • /
    • 2016
  • 본 연구는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하고 있는 꾸지뽕잎 분말 첨가에 따른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Mixograph, pH, TPA, 부피, 비용적, 수분, 영상분석, 색도, 기호도 검사, 보존성 검사를 통하여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식빵을 분석하였다. Mixograph를 측정 결과,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반죽은 제빵 적성에 적합하였다. 꾸지뽕잎 pH의 경우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pH는 높아졌으며, 1차 발효 후와 식빵의 pH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아졌다. TPA 분석결과, 꾸지뽕잎 분말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경도, 씹힘성, 검성은 높아졌으며, 탄력성, 응집성, 탄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꾸지뽕잎 식빵의 부피와 비용적은 감소하였다. 영상분석 결과 기공의 조밀도, 껍질의 두께, 크기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색도는 꾸지뽕잎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L값은 어두워졌다.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과 조직감은 CLP3가 대조구보다 좋았으며,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CLP2가 대조구보다 더 좋게 평가되었다. 보존성 측정 결과, 경도는 24, 48, 72시간 동안 모두 꾸지뽕잎 분말 1~2% 첨가한 시료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경도가 낮았으며, 적은 양의 꾸지뽕잎 첨가가 식빵 속질의 부드러움을 유지하는데 좋은 것으로 사료되며, 수분함량이 낮아지긴 하였으나,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꾸지뽕잎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Addition on the Quality of Sponge Cakes)

  • 이준호;손석민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376-381
    • /
    • 2011
  • 꾸지뽕잎 분말의 첨가량을 0-20%로 달리하여 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꾸지뽕잎 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크의 비체적, 높이 및 수분함량은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케이크의 외관상 특성인 부피지수 및 대칭지수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 0.05). 밝기를 나타내는 $L^*$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꾸지뽕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계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 < 0.05), 반면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5% 대체군에서 최소값을 나타내고 이 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 < 0.05). 케이크의 경도는 꾸지뽕잎 분말 첨가량에 따라 0.11-0.66 kgf로 단계별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0.05).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0-15% 첨가군 사이에 단계별로 유의적인 차이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p > 0.05) 이후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대조군, 5% 및 10% 첨가군 간 맛과 향미의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p > 0.05), 전체적인 기호도 또한 대조군과 5%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아(p > 0.05), 관능품질을 저해하지 않고 꾸지뽕잎 분말의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할 때 5% 첨가군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뽕나무(Morus alba)와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부위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3T3-L1세포 지방축적 억제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Inhibitory Effects on Lipid Accumulation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 김건희;김은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8-147
    • /
    • 2019
  •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oxidative effects and the anti-adipogenesis effect of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C), and Morus alba (M).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highest in M-root ($34.56{\pm}0.045mg\;GAE/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oot and M-leaf. Total flavonoid contents of C-root were highest ($23.07{\pm}0.004mg\;QE/g$). To examine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ssay, was used. Results show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C and M extract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dipocytes are generated by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during adipogenesis. Matured adipocytes accumulate in abnormal and cause obesity. We investigated effects of leaf and root extracts of C and M,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Changes in cell morphology, and degrees of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were evaluated by Oil Red O staining. Root extracts of C and M, reduced lipid cont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fore, root extracts of C and M, may be good candidates for managing obesity.

꾸지뽕나무 뿌리 열수추출물로부터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의 개발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as Whitening and Antiwrinkle Cosmetic Agent)

  • 신혜진;정향리;황단비;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701-7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의 뿌리, 줄기, 열매 및 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열수 추출하고 다양한 화장품 소재 시험을 실시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세포독성시험에서 꾸지뽕나무의 뿌리, 줄기 그리고 열매 추출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잎 추출물은 $20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다소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꾸지뽕나무 뿌리추출물은 $500{\mu}g/ml$의 농도에서 81%의 tyrosinase 억제효과(미백효과)와 58%의 elastase 억제효과(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내었고, UVB 자외선 흡수능도 다소 보여주었다. 21일간의 온도 안정성 시험 결과, 꾸지뽕 뿌리 추출물을 포함한 액제와 로션제형은 $25^{\circ}C$에서는 안정하였으나 $47^{\circ}C$에서 점도와 입자크기가 불안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꾸지뽕 뿌리추출물은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우수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국내 자생 꾸지뽕나무 잎과 열매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and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in Korea)

  • 권용석;박보람;이솔;유한춘;백소진;오찬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37-343
    • /
    • 2014
  • 꾸지뽕나무의 수요 증가에 따라 자생지 파괴가 심각한 반면 꾸지뽕나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기 때문에 자생지 복원과 새로운 농가 소득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꾸지뽕나무 16개 집단을 대상으로 엽과 열매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꾸지뽕나무 집단에서 엽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유집분석 결과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열매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꾸지뽕나무 15개 집단의 열매길이, 폭, 무게 등 3가지 형질을 분산 분석한 결과, 유의확률이 p=0.05로 각각의 형질에 따라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매의 3가지 형질별 특성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꾸지뽕나무 엽과 열매의 형태학적 특징은 각 집단 간 차이가 있었으며, 엽의 형태적 특징과 열매의 특징이 일치하지는 않았다.

꾸지뽕나무 잎과 우슬 복합물의 골 질환 개선 소재 개발가능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otential of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Bone Disease Improvement of Cudrania tricuspidata Leaf and Achyranthes japonica Nakai Complex)

  • 정길호;김동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69-176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Cudrania tricuspidata leaf and Achyranthes japonica Nakai Complex (CAC) possibility of use as a functional natural material for improving bone disease. Cudrania tricuspidata leaf and Achyranthes japonica Nakai were mixed in the same amount,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then powdered and used in the study. After, the cytotoxicity of CAC for osteoblasts (MG63 cell), osteoclasts (differentiated RAW264.7 cell), and macrophages (RAW264.7 cell) were evaluated by MTT assay, and ALP assay and TRAP assay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tiation capacity of osteoblasts and osteoclast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n macrophages was evaluated by ELISA, qRT-PCR, and western blot assay. CAC did not proliferated osteoblasts and osteoclasts, but increased ALP activity against osteoblasts differentiation and decreased TRAP activity against osteoclasts differentiation. CAC did not proliferated macrophages but decreased nitric oxide production. Also, decreased NOS2, IL1B, IL6, PTGS2, and TNFA gene expression, and JNK and p38 protein phosphoryl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ut ERK protein phosphorylation was not changed. As a result, CAC increased the differentiation and activation of osteoblasts,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and activation of osteoclasts, and regulated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macrophage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CAC can be used as a functional natural material that prevents bone disease and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꾸지뽕 열매 추출물이 인간 유래 각질 형성 세포의 밀착연접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 on tight junction in human keratinocyte)

  • 이상수;최선경;김재환;한효상;김기광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7
    • /
    • 2019
  • Objectives : Cudrania tricuspidata (C. tricuspidata) is well-known traditional herbal remedy and its root, leaf and fruit were used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tumor and painkilling. However, effect of C. tricuspidata fruit on tight junction is still unknown.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 tricuspidata fruit extract o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Methods : The antioxidant effects of water extract of C. tricuspidata (WECT) and ethanol extract of C. tricuspidata (EECT) were analyzed by using an ABTS assay. To confirm the cytotoxicity of WECT and EECT, MTS assay was performed.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ight junction related genes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T-PCR analysis. Furthermore, dispase assa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 of cell-cell adhesion strength of EECT treated HaCaT cells. Results : WECT and EECT showe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No obvious cytotoxicity was observed in both WECT and EECT until $2.0mg/m{\ell}$ concentration.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Claudin 6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ECT treatment, whereas the WECT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Claudin 6. Furthermore, EECT treatment enhances cell-cell adhesion strength. Conclusion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s on human keratinocytes by tw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EECT might have an anti-aging activity on the skin by reducing oxidative stress. Moreover, it may be a useful ingredient in atopic dermatitis and skin-moisturizing, given its effects of altering Claudin 6 gene expression and enhancing cell-cell adhesion strength.

Lactobacillus gasseri 505를 사용한 꾸지뽕잎 추출물 첨가 신바이오틱스 발효유의 면역활성 조절 연구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ermented Milk based on Synbiotic Interaction between Cudrania tricuspidata Leaf Extract and Lactobacillus gasseri 505)

  • 이지영;김수경;신용국;오남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39-48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milk fermented with based on the synbiotic interaction between Cudrania tricuspidata leaf extract (CT) and Lactobacillus gasseri 505. Raw 264.7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milk (Control), milk supplemented with 0.2% CT (CT-milk), or CT-milk fermented with L. gasseri 505 (FCT). FCT-treated cells showed higher NO production than the other groups. ELISA revealed that FCT produced the highest enhancement of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alpha}$, $IFN-{\gamma}$, $IL-1{\beta}$, IL-6, IL-2, IL-12, and IL-10. Furthermore, FCT also increased the gen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iNOS and COX-2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ll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ynbiotic interaction between CT and L. gasseri 505 might enhance their immunomodulatory effects of fermented milk.

뽕잎 및 꾸지뽕잎 첨가식이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관련 바이오마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s with Mulberry Leaf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Powder Supplements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주헌;이경원;성기승;김성수;조경동;이복희;한찬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66-773
    • /
    • 2012
  • 뽕잎 및 꾸지뽕잎이 당뇨쥐의 혈당관련 바이오마커(biomarker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SD계 수컷 흰쥐에게 STZ 투여(47.5 mg/kg bw) 후 7일 뒤 혈당치가 350 mg/dL 내외되는 쥐를 선별하여 실험군당 8마리씩 배치하고, AIN-93G를 기본식이로 하여 뽕잎 10% 첨가군(A), 뽕잎 10%와 꾸지뽕잎 10%(B) 및 30%(C) 혼합 첨가군, 꾸지뽕잎 10% 첨가군(D), 당뇨대조군(E)으로 나누어 각 실험식이를 6주간 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 동안 B군과 C군의 혈당치는 실험식이 급여 전 기준혈당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실험 6주째의 경우 E군 및 A, D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기준혈당 대비 6주 후 혈당상승률은 B군과 C군이 각각 6.7, 7.6%로 E군(29.2%)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6주간 혈당치의 곡선하면적(AUC)도 B, C군이 D, E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종료 후 공복혈당 역시 B, C군이 D, E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p<0.05), C-peptide 함량은 C군이 다른 군에 비해 평균 50 pmol/L 가량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당화혈색소(HbA1c) 함량은 A군과 B군이 E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청 총콜레스테롤(TC) 농도는 E군에 비해 실험시료 급여군이 평균 14%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시료 처리군이 E군보다 평균 27% 증가하였으나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중성지방(TG) 농도는 E군에 비해 A, B, D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기능치 중 AST 및 ALT 활성은 E군보다 A, B, D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뽕잎 및 꾸지뽕잎 첨가식이 중 이들을 1:1로 혼합하여 STZ로 유도한 당뇨쥐에게 급여하였을 때 혈당상승을 억제하고 혈당관련 지표성분, 그리고 혈청 지질농도 및 간기능치 개선에도 다소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