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 (II) ions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6초

A Thermodynamic Investigation into the Stabilization of Poly(dA).[poly(dT)]2 Triple Helical DNA by Various Divalent Metal Ions

  • Choi, Byung-Hoon;Yeo, Ga-Young;Jung, Jin-Ah;Lee, Bae-Wook;Han, Sung-Wook;Cho, Tae-Sub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1호
    • /
    • pp.2691-2696
    • /
    • 2009
  • Effects of representative group II and transition metal ions on the stability of the $poly(dA){\cdot}[poly(dT)]_2$ triplex were investigated by the van’t Hoff plot constructed from a thermal melting curve. The transition, $poly(dA){\cdot}[poly(dT)]_2\;{\rightarrow}\;poly(dA){\cdot}poly(dT)\;+\;poly(dT)$, was non-spontaneous with a positive Gibb’s free energy, endothermic (${\Delta}H^{\circ}$ > 0), and had a favorable entropy change (${\Delta}S^{\circ}$ > 0), as seen from the negative slope and positive y-intercept in the van’t Hoff plot. Therefore, the transition is driven by entropy change. The $Mg^{2+}$ ion was the most effective at stabilization of the triplex, with the effect decreasing in the order of $Mg^{2+}\;>\;Ca^{2+}\;>\;Sr^{2+}\;>\;Ba^{2+}$. A similar stabilization effect was found for the duplex to single strand transition: $poly(dA){\cdot}poly(dT)\;+\;poly(dT)\;→\;poly(dA)\;+\;2poly(dT)$, with a larger positive free energy. The transition metal ions, namely $Ni_{2+},\;Cu_{2+},\;and\;Zn_{2+}$, did not exhibit any effect on triplex stabilization, while showing little effect on duplex stabilization. The different effects on triplex stabilization between group II metal ions and the transition metal ions may be attributed to their difference in binding to DNA; transition metals are known to coordinate with DNA components, including phosphate groups, while group II metal ions conceivably bind DNA via electrostatic interactions. The $Cd_{2+}$ ion was an exception, effectively stabilizing the triplex and melting temperature of the third strand dissociation was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the presence of $Mg_{2+}$, even though it is in the same group with $Zn_{2+}$. The detailed behavior of the $Cd_{2+}$ ion is currently under investigation.

Bis(ethylenediamine) cuprate(II)$\cdot$Dichromate의 합성 및 결정구조 연구 (Synthesis and Structure of Bis(ethylenediamine) cuprate(II)$\cdot$Dichromate)

  • 김승빈;남궁해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8-42
    • /
    • 2005
  • Bis(ethylenediamine) cuprate(II)$\cdot$dichromate $Cu(C_2H_8N_2)_2{\cdot}Cr_2O_7$의 결정구조는 a=5.682(1), b=8.567(2), c=14.839(3) ${\AA},\;{\alpha}=97.50(2),\;{\beta}=101.06(1),\;{\gamma}=109.38(2)^{\circ}$, 삼사정계(Triclinic), 공간군 P-1, 공간군 번호 2이며, Z=2, V=653.9(2) ${\AA}^3,\;D_c=2.030gcm^{-3},\;{\mu}=3.273mm^{-1}$이었다. 구조분석은 중금속법으로 풀었으며, 최소 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고, 최종 신뢰도 값들은 2291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R_1=0.0256,\;R_w=0.0708,\;R_{all}=0.0316,\;S=1.151$이었다. 구리 착이온의 Cu-N의 평균 거리가 2.010(3) $\AA$이고, 면에 거의 수직으로 Cu-O 평균거리가 2.525(2) $\AA$로써 찌그러진 팔면체 구조를 하고 있다. 두 가지 이온들은 [111]-방향을 따라서 사슬구조를 형성하고, 이 축을 포함한 이차원 (0-11)면상에 놓인 인접한 축들 사이에는 N1-O5와 N3-O1 수소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Synthesis and Spectral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Sensitive Schiff Base Transition Metal Complexes

  • Raman, N.;Sakthivel, A.;Rajasekaran, K.
    • Myco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50-153
    • /
    • 2007
  • New $N_2O_2$ donor type Schiff base has been designed and synthesized by condensing acetoacetanilido-4-aminoantipyrine with 2-aminobenzoic acid in ethanol. Solid metal complexes of the Schiff base with Cu(II), Ni(II), Co(II), Mn(II), Zn(II), VO(IV), Hg(II) and Cd(II) metal ions wer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by elemental analyses, magnetic susceptibility, molar conduction, fast atom bombardment (FAB) mass, IR, UV-Vis, and $^1H$ NMR spectral studies. The data show that the complexes have the composition of ML type. The UV-Vis. and magnetic susceptibility data of the complexes suggest a square-planar geometry around the central metal ion except VO(IV) complex which has square-pyramidal geometry. The in vitro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compounds were tested against fungi such a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flavus, Rhizopus stolonifer, Candida albicans, Rhizoctonia bataicola and Trichoderma harizanum. All the metal complexes showed stronger antifungal activities than the free ligan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the metal complexes were found in the range of $10{\sim}31{\mu}g/ml$.

하이드록실 아민으로 처리한 아크릴 섬유의 우라늄 흡착특성 (Adsorption Properties of Uranium on Acrylic Fibers Treated with Hydroxylamine)

  • 진영길;이정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8-103
    • /
    • 1990
  • Fibrous adsorbents containing amidoxime group which make chelate complexes with uranyl ions are studied for the recovery of uranium from sea water. Acrylic fibers are used as base Polymer. The adsorption properties of uranium are carried out to examine pH effect, concen-tration dependence, adsorption rate, separation, and chelate complex.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Metal capacity of U (VI) ion is in the range of pH $2\~10.2$. Amidoxime group-containing fiber recover U (VI) ions existed in sea water or waste water in extremely small quantities. 3. Using amidoxime group-containing fiber Cu (II) and U (VI) are separated with each other in dilute nitric acid solution (pH 2.3). 4. U (VI) chelate complexes are conformed by tridendate ligands, which are coordinated with one nitrogen and two oxygens onto amidoxime group-containing fiber.

  • PDF

1, 15-Bis(2-Hydroxybenzyl)-2, 6, 10, 14-Tetraazapentadecane 리간드합성, 양성자 해리상수 및 전이금속에 대한 안정도 상수결정 (Synthesis, Protonation Constants and Stability Constants for Transition Metal ions(II) of 1, 15-Bis(2-Hydroxybenzyl)-2, 6, 10, 14-Tetraazapentadecane)

  • 김선덕;김준광;이우식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810-814
    • /
    • 2000
  • The open-chain hexadentate $N_4$, $O_2$ ligands 1, 15-bis(2-hydroxybenzyl)-2, 6, 10, 14-tetraazapentadecane (BSATPD. 4HCl) has been synthesized as its tetrahydro-chloride salt and characterized by EA, IR, NMR, and Mass spectrum. Its protonation constants ($logK_n{^H}$) and stability constants ($logK_{ML}$) for $Cu^{2+}$, $Ni^{2+}$, $Co^{2+}$ and $Zn^{2+}$ ions were determined in aqueous solution by potentiometry and compared with those of analogous $N_4$, $O_2$ ligands contain ethtylenic spacers or propylenic spacers, which make six-membered chelate rings between the aliphatic nitrogen atoms.

  • PDF

Dissociation Kinetics of Linear polyaminopolycarboxylate Complexes of Lanthanides(III)

  • Ki-Young Choi;Ki Sung Kim;Choon Pyo H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9호
    • /
    • pp.782-785
    • /
    • 1994
  • The dissociation kinetics of linear polyaminopolycarboxylate complexes of lanthanide ions (L$n^{3+}: Ce^{3+},\;Eu^{3+}\;and\;Yb^{3+}$) has been studied in an aqueous solution of 0.10 M (NaCl$O_4$) at 25.0${\pm}0.1^{\circ}C$ using Cu(II) ions as a scavenger. The dissociation rates of acid-catalyzed pathway decrease in the order Ln(EPDTA$)^- > Ln(DPOT)^- > In(TMDTA)^- > Ln(MPDTA)^- > Ln(EDTA)^- > Ln(PDTA)^- > Ln(DCTA)^-$ according to the present and literature data. An increase in the N-Ln-N chelate ring from 5 to 6 and substitution of two methyl groups, one ethyl and hydroxyl group on a chelate ring carbon of these ligands leads to a decrease in kinetic stabilities of the complexes. The substitution of one methyl group and cyclohexyl ring on a ring carbon, however, results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kinetic stability of the resulting $Ln^{3+}$ complexes. Individual reaction steps taking place for each system, with different copper, acetate buffer concentration and pH dependence, are also discussed.

천연 제올라이트의 수환경 개선용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에 관한 연구 (II): 국내산 제올라이트의 중금속 이온 흡착 특성 (Study of Utilization of Natural Zeolites as Functional Materials for Water Purification (II): Adsorption Properties of Heavy Metal Ions by Domestic Zeolites)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1-213
    • /
    • 2003
  • 각종 산업폐수에서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중금속(Ag, Pb, Cr, Cu, Zn, Mn) 이온들에 대한 국내산 주요 제올라이트의 흡착 성향 및 능력을 광물 조성 및 특성 분석과 일련의 흡착실험을 통해서 광석 단위로 평가해 보았다. 국내산 제올라이트 광석의 중금속 흡착 반응은 기본적으로는 양이온 교환방식에 의존되지만, 높은 CEC 값이 반드시 보다 많은 중금속 흡착능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제올라이트 광석의 중금속 흡착성향은 광종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흡착선호도에 있어서 $Ag\geq$Pb>Cr, $Cu\geq$Zn>Mn와 같은 흡착 서열을 이루는 것으로 밝혀졌다. 휼란다이트는 Cr을 보다 더 선호하는 성향을 보이는 반면에, 클리놉틸로라이트는 Cu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제올라이트의 광종에 관계없이 Ag와 Pb는 상대적으로 월등한 흡착선호도를 나타낸다. 특히 Ag는 Na에 의한 재용출 과정에서 전혀 유리되지 않을 정도로 제올라이트에 대한 높은 흡착성향을 보인다. 제올라이트 광석의 중금속 흡착능력은 광종별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페리어라이트>클리놉틸로라이트>휼란다이트. 이에 비해서 모오데나이트는 CEC 성향으로 보아 클리놉틸로라이트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해석된다. 제올라이트의 암모늄 이온에 대한 CEC 값과 중금속 이온 흡착능력은 엄밀히 잘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제올라이트 광석들의 중금속 흡착능력은 대개 제올라이트의 함량, 즉 광석의 품위에 의존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광석에 따라 그 일반적 추이에서 크게 벗어난 흡착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제올라이트의 선택적 흡착특성, 중합단층의 존재와 같은 구조적 결함이나 천연상 교환성 양이온의 조성(특히 흡착선호도가 높은 K의 함유도)에 의한 효과로 추정된다. 국내산 제올라이트를 중금속 흡착제거용으로 응용하는 데에는 부존자원의 활용성, 경제성 및 성능을 고려하여 클리놉틸로라이트 계열의 광석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Novel Copper(Ⅱ)-Selective Senor Based on a New Hexadentates Schiff's Base

  • Ganjali, Mohammad Reza;Emami, Mehdi;Salavati Niasari, Masoud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10호
    • /
    • pp.1394-1398
    • /
    • 2002
  • A novel copper(II) membrane electrode based on diphenylisocyanate bis(acetylacetone) ethylenediimine (DIBAE), as a new hexadentates Schiff's base was prepared. The electrode exhibited a Nernstian response for Cu$^{2+}$ ions over a wide concentration range (1.0 ${\times}$ 10$^{-1}$ to 1.0 ${\times}$ l0$^{-6}$ M) with a limit of detection of 6.0 ${\times}$ 10$^{-7}$ M (39 ppb). The sensor shows a fast response time (15s) and the membrane can be used for more than 4 months without observing any major deviation. The electrode revealed very good selectivity with respect to many cations including alkali, alkaline earth, transition and heavy metal ions. The proposed sensor could be used in a pH range of 3.0-7.5. It was applied to the direct potentiometric determination of copper in black tea, and in wastewater of copper electroplating samples. The electrode was also used in potentiometric titration of the copper(II) ion with EDTA.

Dithiocarbamate 금속착물의 분배 및 추출평형(제2보). Ammonium Pyrrolidine Dithiocarbamate의 금속착물 (Studies on Partition and Extraction Equilibria of Metal-Dithiocarbamate Complexes(II). Metal Complexes of Ammonium Pyrrolidine Dithiocarbamate)

  • 이종선;최종문;최희선;김영상
    • 분석과학
    • /
    • 제8권3호
    • /
    • pp.321-334
    • /
    • 1995
  • 흔적량 금속이온인 Co(II), Ni(II) 및 Cu(II)의 ammonium pyrrolidine dlthiocarba-mate(APDC) 착물을 용매추출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킬레이트제인 $4{\times}10^{-5}M$ APDC의 클로로포름에 대한 추출에서 가장 큰 분포비 (log D=1.3543)는 pH 2.0에서 나타났으며, 이때 분배계수($K_{p.HPDC}$)는 2.489였다. 수용액과 유기용매층에서 이들 착물의 UV/Vis 스펙트럼을 얻었는데, 안정한 착물을 형성하는 pH는 각각 Co(II):5.0, Ni(II):8.0 및 Cu(II):8.0이었고 금속이온과 APDC는 1:2의 착물을 형성하였으며, 1분만 흔들어 주어도 정량적으로 유기층에 분배되었다. 유기용매로의 분배 및 추출평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M(PDC)_2$ 착물을 합성하여 클로로포름에 $10.0{\mu}g/ml$가 되게 녹이고, HCl 용액과 NaOH 용액으로 pH를 조절한 수용액으로 역추출을 하였다. 분포비와 추출률은 $Co(PDC)_2$의 경우 PH6.5~8.5에서 log D=2.834 : E(%)=99.a%9 $Ni( PDC)_2$는 pH 11.0에서 log D=5.699 : E(%)=100%, 그리고 $Cu(PDC)_2$는 pH 6.0에서 log D=2.025 : E(%)=99.1%의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추출상수와 착물의 생성상수는 각각 $Co(PDC)_2$는 log $K_{ex}=9.671$ : log ${\beta}_2=6.938$, $Ni(PDC)_2$는 log $K_{ex}=9.646$ : log ${\beta}_2=7.071$, $Cu(PDC)_2$는 log $K_{ex}=9.074$ : log ${\beta}_2=7.049$였다. 이런 결과들로부터 흔적량 금속이온을 분리 농축하는 최적의 추출과정을 작성할 수 있으며, 정밀소재 및 환경시료 등에서 매트릭스의 영향없이 정량할 수 있음이 기대된다.

  • PDF

고 기능성 수질 정화 여과재로서의 장석질 모래 활용연구 (A Study of the Utilization of Feldspathic Sand as a Fortified Functional Filtering Material for Water Purification)

  • 고상모;송민섭;홍석정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83-293
    • /
    • 2003
  • 국내 정수장에서는 여과사를 이용하여 원수를 정수하는 급속 및 완속 여과시스템을 이용하고있다. 대부분의 여과사는 해사인 규사로써, 구성광물의 광물학적 특성이 매우 제한되어 중금속이나 유기 오염물의 여과능력이 높은 편이 아니다. 따라서 항상 예기치 않게 발생될 수 있는 오염된 원수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여과물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해사를 대체할 수 있는 화강암 풍화산물인 장석질 모래에 일정량의 불석을 혼화하여 원수를 여과하였을 때 일어나는 지화학성의 변화 및 Cd, Cu, Pb와 같은 중금속의 제거능력을 시험하였다. 시험 대상 물질은 현재 정수장에서 사용하는 주문진 규사와 이 연구에서 제조된 장석질 여과사, 장석질 혼합사 I(불석 10% 혼화), 장석질 혼합사 II(불석 20% 혼화)이다. 장석질 혼합사 I 및 II는 주문진 규사와 장석질 여과사에 비해 대부분의 양이온 및 음이온이 높게 용출되었으며, Si, Ca, $SO_4$ 이온 용출은 Al,$ NO_3$, Fe, K, Mg, P 에 비해 높게 일어났다. 제올라이트의 함량을 높인 혼합사 II가 혼합사 I 비해 Na, Ca, Al과 같은 양이온의 용출농도가 보다 높게 일어났으며, 이 양이온들은 크리높틸로라이트 계열의 제올라이트로부터 주로 용출되었다. 주문진 규사와 장석질 여과사는 Cd, Cu, Pb에 대해 제거능이 거의 없거나 약한 제거율을 보였다. 이에 반하여 장석질 혼합사I, II는 Cd과 Cu에 대해 낮은 제거율을 보였으나 Pb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장석질 혼합사 I, II는 저농도(100 ppm)의 Cd, Cu, Pb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제거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석질 혼합사 II는 저농도(100 ppm)의 Pb 용액과 반응시킨 경우 상당히 높은 제거율 (90.7%)을 보였다. 고농도(500 ppm) 영역에서는 장석질 혼합사 I, II는 Cd의 흡착량이 Cu, Pb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제거율도 각각 24.0%, 2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올라이트의 혼합비가 10%에서 20%로 증가할수록 중금속의 흡착량과 제거율이 향상되었다. 이는 장석질 혼합사를 여과사로 이용 할 경우 제올라이트를 적정 비율로 혼화하면 높은 중금속 제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