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ystal violet assa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In vitro cytotoxicity of Acanthamoeba spp. isolated from contact lens containers in Korea by crystal violet staining and LDH release assay

  • Shin, Ho-Joon;Cho, Myung-Soo;Jung, Suk-Yul;Kim, Hyung-Il;Im, Kyung-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8권2호
    • /
    • pp.99-102
    • /
    • 2000
  • In order to observe the cytotoxicity of Acanthamoeba spp., which were isolated from contact lens containers as ethiological agents for the probable amoebic keratitis in Korea, the crystal violet staining method and LDH release assay were carried out. In the crystal violet staining method, among eight contact lens container isolates, isolate 3 (Acanthauloeba KA/LS5) showed 83.6% and 81.8% of cytotoxicity, and isolate 7 (Acanthamoeba KA/LS37) showed 28.2% and 25.1% of cytotoxicity, in 1 mg/ml and 0.5 mg/ml Iysate treatments, respectively. Acanthamoeba cutbertsoni and A. healyi showed 84.0% and 82.8% of cytotoxicity.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A. costellunii and A. hafchefti which showed 83.6% and 75.5% or cytotoxicity. Acanthamoeba roureba and A. polyphaga showed 9.0% and 1.7% of cytotoxicity. In the LDH release assay, isolate 3 (20.4%) showed higher cytotoxicity than other isolates in 1 mg/ml Iysate treatment. The results provide that at least isolate 3 has the cytotoxic effect against CHO cells and seems to be the pathogenic strain.

  • PDF

A549 폐암세포주에서 ALA와 632nm Diode Laser를 이용한 광역학치료 유도성 세포사 (Photodynamic Therapy induced Cell Death using ALA and 632nm Diode Laser in A549 Lung Cancer Cells)

  • 김윤섭;박재석;지영구;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2호
    • /
    • pp.178-186
    • /
    • 2004
  • 연구배경 : 광역학치료는 체내의 풍부한 산소, 외부에서 공급되는 레이저 그리고 레이저 빛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광감작제를 이용한 새로운 항암치료 방법으로, 그 원리는 체내의 산소와 빛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광감작제가 레이저에 의하여 화학적인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단일항 산소와 이에 의하여 유발되는 자유라디칼이 암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이다. 광역학치료에 의한 세포사의 주요 형태로 아포프토시스가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A549 폐암세포주에서의 광역학치료에서 세포독성이 광감작제의 농도, 레이저 조사량,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세포사의 특징으로 아포프토시스 유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폐암세포주로 A549 폐암세포주를 이용하였고, 광감작제로 ALA를, 그리고 레이저는 632nm diode 레이저를 사용하였다. ALA 의 용량은 $10{\mu}g/m{\ell}$, $100{\mu}g/m{\ell}$, 그리고 $1mg/m{\ell}$를 사용하였고 레이저의 조사량은 1.6, 3.2, $6.4J/cm^2$ 이었다. 세포독성검사는 crystal violet assay를 이용하였고 아포프토시스 유무는 Hoechst 33342 와 propium iodide 이중염색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A549 폐암세포주에서 ALA를 이용한 광역학치료시 ALA의 농도증가에 따른 세포독성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또한 레이저의 조사량 증가에 따라서도 세포독성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세포독성의 형태는 아포프토시스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광역학치료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포독성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ALA를 이용한 광역학치료는 A549 폐암세포주의 항암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아포프토 시스의 유도에 의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광역학치료-유도성 아포프토시스의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ersistence of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Isolates Harboring blaOXA-23 and bap for 5 Years

  • Sung, Ji Youn;Koo, Sun Hoe;Kim, Semi;Kwon, Gye 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8호
    • /
    • pp.1481-1489
    • /
    • 2016
  • The emergence and dissemination of carbapenemase-producing Acinetobacter baumannii isolate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and A. baumannii isolates harboring blaOXA-23 are often resistant to various antimicrobial agents. Antimicrobial resistance can be particularly strong for biofilm-forming A. baumannii isolates. We investigated the genetic basis for carbapenem resistance and biofilm-forming ability of multidrug-resistant (MDR) clinical isolates. Ninety-two MDR A. baumannii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the Chungcheong area of Korea over a 5-year period. Multiplex PCR and DNA sequencing were performed to characterize carbapenemase and bap genes. Clon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REP-PCR. In addition, imaging and quantification of biofilms were performed using a crystal violet assay. All 92 MDR A. baumannii isolates involved in our study contained the blaOXA-23 and bap genes. The average absorbance of biomass in Bap-producing strains was much greater than that in non-Bap-producing strains. In our study, only three REP-PCR types were found, and the isolates showing type A or type B were found more than 60 times among unique patients during the 5 years of surveill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solates have persisted and colonized for 5 years, and biofilm formation ability has been responsible for their persistence and colonization.

Paeonia lactiflora Inhibits Cell Wall Synthesis and Triggers Membrane Depolarization in Candida albicans

  • Lee, Heung-Shick;Kim, You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395-404
    • /
    • 2017
  • Fungal cell walls and cell membranes are the main targets of antifungals. In this study, we report on the antifungal activity of an ethanol extract from Paeonia lactiflora against Candida albicans, showing that the antifungal activity is associated with the synergistic actions of preventing cell wall synthesis, enabling membrane depolarization, and compromising permeability. First, it was shown that the ethanol extract from P. lactiflora was involved in damaging the integrity of cell walls in C. albicans. In isotonic media, cell bursts of C. albicans by the P. lactiflora ethanol extract could be restored, an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P. lactiflora ethanol extract against C. albicans cells increased 4-fold. In addition, synthesis of $(1,3)-{\beta}-{\small{D}}-glucan$ polymer was inhibited by 87% and 83% following treatment of C. albicans microsomes with the P. lactiflora ethanol extract at their $1{\times}MIC$ and $2{\times}MIC$, respectively. Second, the ethanol extract from P. lactiflora influenced the function of C. albicans cell membranes. C. albicans cells treated with the P. lactiflora ethanol extract formed red aggregates by staining with a membrane-impermeable dye, propidium iodide. Membrane depolarization manifested as increased fluorescence intensity by staining P. lactiflora-treated C. albicans cells with a membrane-potential marker, $DiBAC_4(3)$ ((bis-1,3-dibutylbarbituric acid) trimethine oxonol). Membrane permeability was assessed by crystal violet assay, and C. albicans cells treated with the P. lactiflora ethanol extract exhibited significant uptake of crystal viole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findings suggest that P. lactiflora ethanol extract is a viable and effective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tifungal agents to treat Candida-associated diseases.

Tuberostemonine에 의한 Staphylococcus aureus의 생물막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uberostemonine on Staphylococcus aureus biofilm)

  • 염수진;김승민;권준혁;정희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41-246
    • /
    • 2022
  • 본 연구는 S. aureus에 대한 tuberostemonine의 항균 및 항생물막 효과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S. aureus에 대한 tuberostemonine의 생장 저해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나, crystal violet 염색법과 CLSM 이미지 측정을 통해 tuberostemonine이 유의한 S. aureus 항생물막 효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 aureus의 생물막 형성과 분해 관련 유전자인 icaA와 agrA의 발현은 tuberostemonine를 처리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각각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생물막 형성 저해 및 분해 효과가 확인된 천연화합물인 tuberostemonine은 S. aureus의 내성 발생 위험이 적은 새로운 항생물막제제로서 사용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내수 양식어와 인체에서 분리한 Aerornonas hydrophila의 병원성에 관한 연구 (The Pathogenicity of Aeromonas hydrophila Isolated from Freshwater fish and Human)

  • 이명원;김호훈;이연태;맹은호
    • 환경위생공학
    • /
    • 제6권1호
    • /
    • pp.31-46
    • /
    • 1991
  • Aeromonas hydrophila which bacause various diseases in human also infects fresh water fish, severly damaging the fishing industries. To prevent disease in humans and reduce damaging on the fishing industries, We have examined several characteristics of Aeromonas hydrophila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All of the strains gave a posive voges-proskauer, methyl-red, salicin and esculin reaction. Seventeen(94.4%) A. hydrophila strains presented the phenotype SP-PAB- in autoagglut-ination test, but only strain AH 997 showed $SP^{+}PAB^{+}$. in autoagglut ination test, but only strain AH 997 $SP^{+}PAB^{+}$ All of the strains took up the censored to various degrees. Three of 18 strains showed positive reaction in crystal violet binding test. Hemolytic activity ranged from titers of 0 to 1/256. Seven of the 17(38.8%) A. hydrophila strains were positive in sucking mouse assay. Cytotoxin activity on vero and RK cells was displayed various titers.(1/2-1/1024)

  • PDF

Biofilm-forming ability and adherence to poly-(methyl-methacrylate) acrylic resin materials of oral Candida albicans strains isolated from HIV positive subjects

  • Uzunoglu, Emel;Bicer, Arzu Zeynep Yildirim;Dolapci, Istar;Dogan, Arif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1호
    • /
    • pp.30-3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adhesion to acrylic resin specimens and biofilm formation capability of Candida albicans strains isolated from HIV positive subjects' oral rinse solu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e material tested was a heat-cured acrylic resin (Acron Duo). Using the adhesion and crystal violet assays, 14 oral Candida albicans isolated from HIV-positive subjects and 2 references Candida strains (C. albicans ATCC 90028 and C. albicans ATCC 90128) were compared for their biofilm production and adhesion properties to acrylic surfaces in vitro.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hesion (P=.52) and biofilm formation assays (P=.42) by statistical analysis with Mann-Whitney test. CONCLUSION. Denture stomatitis and increased prevalence of candidal carriage in HIV infected patients is unlikely to be related to the biofilm formation and adhesion abilities of C. albicans to acrylic resin materials.

Honokiol as an Effective Antimicrobial Compound against Causative Agent of American foulbrood, Paenibacillus larvae

  • Song, Hyunchan;Kim, Ki-Young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1-136
    • /
    • 2019
  • Recently, number of honeybees (Apis mellifera) has visibly decreased because they are vulnerable to some diseases like American foulbrood disease. American foulbrood disease, which is caused by Paenibacillus larvae, is emerged as great cause of decrease in number of honeybees. After antibiotic-resistant strain emerged, it is now more difficult to treat those pathogens successfully. Researches on finding alternative antibacterial compound are ongoing.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honokiol on P. larvae. Honokiol showed great antibacterial effect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12.5 ㎍/mL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of 50 ㎍/mL. An agar diffusion test also confirmed the anti-Paenibacillus larvae activity of honokiol with an inhibitory zone of 9±0.5 mm. Since honokiol is known to interact membrane of some bacteria, we measured 260 nm absorbing particles, which could be induced by leakage of cells, and confirmed that the leakage of P. larvae occurred in dose-dependent manners. However, result of crystal violet assay suggested that honokiol has only mild anti-biofilm formation effect on P. larvae, which means honokiol controls the bacteria by inducing the bursting of membrane. Finally, an additive effect of honokiol with tetracycline and terramycin was found using a checkerboard assay with a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index value of 0.5.

대전지역에서 분리된 생물막 형성 Acinetobacter baumannii 임상분리주의 분자유전학적 특성과 항균제 감수성양상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iofilm-forming Acinetobacter baumannii Clinical Isolates from Daejeon, Korea)

  • 성지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0-109
    • /
    • 2018
  • 다제내성(multidrug-resistant, MDR) Acinetobacter baumannii 균주의 출현 및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보고되어 왔는데, 이들 대부분은 생물막 형성능력을 가지고 있다. 생물막 형성은 소독 및 건조에 대해 세균이 저항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병독성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막을 형성하는 A. baumannii 임상 분리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내성 기전에 대한 유전적 기초를 조사하였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분석법을 통해 생물막 형성능력을 확인한 결과 46균주가 생물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REP-PCR을 수행하여 서로 다른 클론에 속하는 16 균주를 선택한 후 이 균주들을 대상으로 항균제 내성 인자를 검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9개 non-MDR (0.96) 균주와 7개의 MDR (1.05) 균주의 평균 생물량은 서로 달랐지만, 이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생물막 형성 MDR 균주는 다양한 항균제 내성인자 ($bla_{OXA-23}$, armA 및 gyrA 및 parC의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non-MDR 균주는 항균제 내성인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결과는 A. baumannii 균주의 생물막 형성능력이 항균제 감수성과 상관관계가 적음을 시사한다. 또한 MDR A. baumannii 임상 분리주의 출현은 대개 항균제 내성과 관련된 유전자의 돌연변이나 또는 다양한 항균제 내성인자의 획득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폐상피세포에서 Nitric Oxide (NO)에 의한 세포사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Nitric Oxide (NO)-Induced Cell Death in Lung Epithelial Cells)

  • 용화심;김윤섭;박재석;지영구;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2호
    • /
    • pp.187-197
    • /
    • 2004
  • 연구배경 : Nitric Oxide(NO)는 매우 다양한 생물학적 조절기능을 수행하는 분자로서 심혈관계, 신경계, 면역기능 등에 관여함은 물론 최근 세포 사에도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NO의 이렇게 복잡한 생물학적 기능 수행은 reactive oxygen species(ROS), metal ions 및 단백질 등과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며 NO가 나타내는 생물학적 효과는 용량-의존적이며, 세포-특이적이라고 밝혀져 있다. NO는 간세포 및 현관내피세포에서는 아포프토시스를 억제하지만 종양세포 및 신경세포 등에서는 아포프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NO는 여러 호흡기질환의 병태생리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천식과 같은 염증성 기도 질환에서 호기 NO가 증가되어있는 반면 흡연자나 일차성 폐 고혈압 환자에서는 감소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NO가 폐 상피 세포의 세포 사에 미치는 영향과 신호전달 경로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폐 상피 세포로는 A549 세포 주를, NO donor로서는 SNAP (S-nitroso-N-acetyl-penicillamine)과 SNP(sodium nitroprusside)를 사용하였다. 세포 독성 검사는 crystal violet assay를 이용하였고 아포프토시스 assay는 Hoechst 33342와 propium iodide(PI) 이중 염색 후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핵의 형태학적변화를 관찰함으로써 괴사(necrosis)와 감별하였다. 철에 의한 NO 유도성 세포 사 억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RBC와 FeSO4를 이용하였다. NO 유도성세포사의 신호전달 경로에 bcl-2와 p53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bcl-2 과 발현 세포 주 (A549-bcl-2)와 p53 knock out 세포 주 (A549-E6)를 대상으로 세포독성을 비교하였고 p53 활성화는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A549 세포 주에서 SNAP과 SNP 모두 농도-의존적 세포독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아포프토시스 assay에서 SNAP은 저 농도에서는 아포프토시스를, 고농도에서는 괴사를 유도함을 관찰하였고 SNP는 농도에 상관없이 세포사가 괴사의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SNP가 순순한 NO donor가 아니라 cyanide에 의한 세포독성의 결과라고 생각되며 고농도의 SNAP에 의한 괴사 유도는 peroxynitrite 생성에 의한 결과임을 시사한다. SNAP에 의한 세포 사는 RBC와 FeSO4등 철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bcl-2에 의해서 억제되었으며 p53을 활성화시키고 p53 knock out에 의해 차단되었다. 결 론 : 폐상피세포에서 NO는 저 농도에서는 아포프토시스를 고농도에서는 괴사에 의한 세포 사를 유도하며 철이 중요한 억제제이며 bcl-2 및 p53이 신호전달 경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