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wn length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5초

하중의 위치 및 경사에 따른 임플랜트 보철의 유한요소법적 응력분석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Position and Direction of Load)

  • 배숙진;정재헌;정승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9권4호
    • /
    • pp.257-26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oading distributing characteristics of implant prosthesis according to position and direction of load, under vertical and inclined loading using FEA analysis. The finite element model was designed according to standard fixture (4.1mm restorative component x 11.5mm length). The crown for mandibular first molar was made using UCLA abutment. Each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was created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mplant and surrounding bone. This study simulated loads of 200N at the central fossa in a vertical direction (loading condition A), 200N at the outside point of the central fossa with resin filling into screw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loading condition B), 200N at the centric usp in a $15^{\circ}$ inward oblique direction (loading condition C), 200N at the in a $30^{\circ}$ inward oblique direction (loading condition D) or 200N at the centric cusp in a $30^{\circ}$ outward oblique direction (loading condition E) individually. Von Mises stresses were recorded and compared in the supporting bone, fixture, and abutment screw.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made based on this study: 1. Stresses were concentrated mainly at the ridge crest around implant in both vertical and oblique loading but stresses in the cancellous bone were low in both vertical and oblique loading. 2. Bending moments resulting from non-axial loading of dental implants caused stress concentrations on cortical bone. The magnitude of the stress was greater with the oblique loading than with the vertical loading. 3. An offset of the vertical occlusal force in the buccolingual direction relative to the implant axis gave rise to increased bending of the implant. 4.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resultant line of force from occlusal contact and the center of rotation seems to be more important. 5. The magnitude of the stress in the supporting bone, fixture and abutment screw was greater with the outward oblique loading than with the inward oblique loading and was the greatest under loading at the centric cusp in a $30^{\circ}$ outward oblique direction. Conclusivel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bending moments resulting from non-axial loading of dental implants caused stress concentrations on cortical bone. But it seems to be more important that how long is the distance from center of rotation of the implant itself to the resultant line of force from occlusal contact(leverage). The goal of improving implants should be to avoid bending of the implant.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의 측정과 소나무 내 분포 (Measurement and Within-tree Distribution of Larval Entrance and Adult Emergence Holes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Coleoptera: Cerambycidae))

  • 정영진;이상명;김동수;최광식;이상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5-321
    • /
    • 2003
  •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임지 내에서 고사목을 대상으로 솔수염하늘소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 및 번데기방의 크기와 갱도길이 등을 측정하고, 소나무 내 분포를 분석하였다. 소나무 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침입공수는 1$m^2$당 수관부가 56.2 개인데 비해 수간부는 27.7개로서 수관부가 훨씬 많았다. 직경이 8-l0 cm인 공시목에 침입공의 27.5%와 우화공의 22.4%가 분포하였고 이보다 굵거나 가는 공시목에는 적었다. 침입공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입구의 표면적은 평균 65.8$\textrm{mm}^2$ 이었다. 성충탈출공은 원형으로서 직경은 평균 7.0mm 이었다. 공시목의 표면에서 번데기방까지의 깊이는 평균 24.8 mm이었고 번데기 방의 부피는 200-2,000 ㎣이었다 성충의 탈출공은 수관부가 수간부보다 많았으며, 공시목의 직경이 8-10cm에서 22.4%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유충 침입공과 성충 탈출공까지의 목질부 표면에서 직선거리는 평균 3.3 cm이었으며, 침입공에서 탈출공까지의 갱도 길이는 평균 46.2 nm이었다.

관중숭불도에 나타난 16세기 복식연구 (A Study of Costumes in the Palace Painting Depicting the Worship of Buddha during the Reign of King Myungjong)

  • 홍나영;김소현
    • 복식
    • /
    • 제38권
    • /
    • pp.305-321
    • /
    • 1998
  • The costume style of the Chosun dynasty changed greatly after Imjinwaeran (the Japanese Invasion of Chosun Korea, 1592∼1598). Most of the extant costumes come from the late Chosun, but some costumes produced be-fore Imjinwaeran have been excavated, and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se older constumes is contained in contemporary literature. Of especial value in the study of pre-Imjinwaeran Chosun constumes is a mid-sixteenth century palace painting depicting the worship of Buddha, a painting in the collection of the Ho-Am Art Museum in Seoul. The present study of costume during the middle Chosun dynasty focuses on this painting, and compares it with other contemporary palace paintings, and with other contemporary palace paintings, and with Nectar Ritual Paintings.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drawn : * Concerning woman's hair styles of the time, married women wore a large wig. Un-married women braided their hair, and then either let it fall down their back or wore it coiled on top of their head. * The major characteristic of woman's costumes was a ample, tube-like silhouette, with the ratio of the Jeogori(Korean woman's jacket) and skirt being one-to-one. * The style of Jeogori in the painting was like that of excavated remains. Some Jeogoris were simple (without decoration), while some Jeogoris were worn with red sashes. Here we can confirm the continuity of ancient Korean costumes with those of the sixteenth century * Although the skirt covered the ankles, it did not touch the ground. Because the breadth of the skirt was not wide, it seems to have been for ordinary use. Colors of skirts were mainly white or light blue. * All men in the painting wore a headdress. Ordinary men, not Buddhist monks, wore Bok-du (headstring), Chorip (straw hat), or Heuk-rip (black hat). In this painting, men wore a Heukrip which had a round Mojeong (crown). * The men wore sashes fastened around their waist to close their coat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late Chosun, in which men bound their sashes around their chest. That gave a ration of the bodice of the coat to the length of the skirt of one-to-on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at of woman's clothing. * In this painting, we cannot see the Buddhist monk's headdress that appeared later in the Chosun, such as Gokkal (peaked hat), Songnak (nun's hat), and Gamtu (horsehair cap). These kinds of headdresses, which appeared in paintings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were worn widely inside or outside the home. Buddhist monks wore a light blue long coat, called Jangsam (Buddhist monk's robe) and wore Gasa (Buddhist monk's cope), a kind of ceremonial wrap, round their body. We can see that the Gasa was very splendid in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a continuing tradition of Buddhist monk's costumes from the Koryo dynasty.

  • PDF

모형시험 및 수치해석을 통한 경사 시스템 록볼트의 보강효과 분석 (Evaluation on Reinforcing Effect of Inclined System Bolting by Model Tests and Numerical Analysis)

  • 이재덕;김병일;유완규;한진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1529-1539
    • /
    • 2013
  • 최근에 일본의 시공사례에 따르면 터널확대를 위해 보호공(프로텍터)을 설치하고 기존 터널을 사용하면서 시공하는 경우에는 록볼트를 굴착방향에 수직하게 타설할 수 없어서 경사지게 타설하는 경우가 있다. 운용 중인 터널을 확대 시공하는 경우에는 작업조건이 매우 나쁘기 때문에 록볼트의 패턴(경사 록볼트 설치, 사전 록볼트 시공, 록볼트 제외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모형시험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터널 굴착방향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시스템 록볼트의 보강효과와 터널 굴착방향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 시스템 록볼트의 보강효과를 비교하였다. 모형 록볼트의 설치각도, 설치간격, 정착 길이 등을 변화시켜 총 24회의 모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모형시험 결과 모형볼트 1개가 부담하는 면적에 대한 이완하중 발생률은 부담면적 감소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볼트 정착 길이 변화에 따른 이완하중 발생률은 정착 길이가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터널 지보재 설치효과를 주변 지반의 공학적 특성 증가로 간주하는 지보재 모형화 방법에 의한 2차원 수치해석 결과가 모형시험의 처짐 증가량 발생경향을 유사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해석 기법이 경사 시스템 록볼트의 보강효과를 적절히 모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태아 척추 골화과정에서 연골관의 역할 (The Role of Cartilage Canals in Osteogenesis and Growth of the Vertebrae in the Human Fetuses)

  • 정성택;남광일;김백윤;윤재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3호
    • /
    • pp.287-305
    • /
    • 2001
  • 태생기 성장골에 출현하는 연골관은 골화와 무관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통로라 하였고 일부 학자들은 연골관 말단부에서 골화가 일어남을 발표하였다. 추체에서 연골관은 골화중심부 출현이전에 나타나 전 태생기동안 존재하기 때문에 연골관과 골화와의 관계를 관찰하는 것은 골화과정을 이해하는데 의의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연골관이 추체연골부 골화중심부 출현에서부터 골화가 진행하는 과정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새로운 지견을 얻었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좌고 60mm(태령 12주)때 추체에 연골관이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80mm(13주)때 추체 중앙부에는 석회화연골세포와 비대연골세포로 구성된 석회화소가 출현하였으며 심연골관이 비대연골세포대에서 관찰되었다. 비대연골세포의 형태는 다양하였고 불규칙하게 배열하고 있었다. 심연골관의 끝부분에는 골형성세포, 골모세포 및 파연골세포들이 관찰되었고 이것이 1차 골화중심부 출현이었다. 비석회화 연골기질은 연골관내에 존재한 혈관주위 결합조직들에 의해 주로 흡수되었고 파연골세포에의한 석회화 연골기질의 흡수는 활발하지 많음을 볼 수 있었다. 120mm(16주)때 추체 연골내골화가 전 후방으로 진행되었고 전 후방 연골막에서 막내골화가 시작되어 막성골층판이 신생되었다. 결론적으로 추체의 골화과정은 장골의 골단연골의 골화과정과 유사하였고, 특히 추체에 출현하는 연골관의 주위에 존재하는 결합조직성 세포들이 골형성세포 및 골모세포로 분화 발육하여 신생골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호르린스극구흡충의 실험실 내 생활사에 대한 연구 (Experimental life history of Echinostoma hortense)

  • 이순형;황순옥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61-172
    • /
    • 1991
  • 실험실 내에서 호르텐스극구흡충(Echinostoma hortense)의 생활사를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 생물학적 현상을 관찰하였다. 충란은 $29~30^{\circ}C$ 항온기에서 배양 약 13일에 miracidium으로 발육하였고, miracidium은 평균 $93.8{\times}53.6{\;}{\mu\textrm{m}}$의 크기였으며 체표에 $7~11{\;}{\mu\textrm{m}}$ 길이의 섬모가 덮혀 있었다. Miracidium을 패류 Lymnaea pervia에 접촉 감염시켰던 바, 접촉 후 14일에 평균 $1.19{\times}0.27{\;}mm$ 크기의 제 1기 redid로, 30일에는 평균 $1.40{\times}0.26{\;}mm$ 크기의 성숙한 제 2기 redid로 발육하였다. Cercaria는 평균 $295.5{times}145.0{\;}{\mu\textrm{m}}$의 크기였으며, 두관의 발육이 미약하였고 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올챙이에 이 cercaria를 접촉시킨 결과, 모든 올챙이가 감염되었으며 피낭유충 회수율도 평균 88.5%로 높았다. 올챙이로부터 회수한 피낭유충은 타원형이었으며 평균 $167.7{\times}129.9{\;}{\mu\textrm{m}}$의 크기였다. Cercaria감염 후 올챙이 체내에 약 12시간 동안 머문 피낭유충은 마우스에 대한 감염력이 5.0%였으나 점차 증가하여 9일간 머문 것은 90.0%로 최대치를 보였고 이후 감소하여 50일 머문 것은 55.0%의 감염력을 보였다. 피낭유충이 마우스 체내에서 성충이 되기까지는 약 11~12일이 소요되었다. 이상과 같이 실험실 내에서 E. hortense의 전 생활사를 완료시키는 데에 최소한 55~58 일이 소요되었다.

  • PDF

치과용 CBCT를 이용한 상악 정중치의 3차원 분석 및 정중치와 정중이개와의 관계분석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axillary Mesiodens Using Dental CBC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Mesiodens and Diastema)

  • 강은주;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0-267
    • /
    • 2013
  • 본 연구는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를 이용하여 상악 정중치의 크기, 형태, 위치 등의 3차원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영구치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006년 6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내원하여 CBCT를 촬영한 환자 중 15세 이하의 환자,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정중이개를 보이는 43명을 대상으로 정중치의 크기, 위치와 정중이개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중치는 남성에서 약 3.9배 많이 발견되었고 7세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균 길이는 13.0 mm, 폭경은 6.8 mm이였으며, 원추형이 59.2%로 가장 많았다. 정중치는 순측보다 구개측에 다수 존재하였고 수직적으로는 영구치의 치관부위에 근접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정중치의 63.0%가 역위 형태였으며 정중치에 의해 유발된 병발증은 맹출지연이 39.0%, 정중이개 23.6%, 치아회전이 15.9%를 차지하였다. 이 중 정중이개량은 정중치의 크기와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중치의 근원심 위치도 정중이개량과 통계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정중치의 3차원 분석을 통해 정중치의 크기, 위치, 병발증의 발생분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 중 정중이개량은 정중치의 크기, 근원심 위치와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T rotary file을 이용한 근관성형법과 충전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CANAL SHAPING METHODS WITH GTTM ROTARY FILE AND CONDENSATION METHODS)

  • 강유미;진정희;유미경;이세준;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521-52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haping time of two shaping methods and the leakage of three different obturation techniques. Ninty three canaled human molar teeth were used, which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f forty teeth each and ten control teeth. After working length determination, the one group was prepared crown-down technique using rotary root canal instruments of GT rotary files .12/20, .10/20, .08/20 and .06/20 taper(Maillefer Instrument SA. Switzerland). The other group was instrumented with Gates Glidden burs(#1, #2, and #3) to coronal preparation and GT rotary files .08/20 and .06/30 taper to apical preparation. Shaping time was measured. After root canals were instrumented, they were divided to three subgroups and obturated as follows : Subgroup 1, obturated with single cone method Subgroup 2, obturated with lateral condensation : Subgroup 3, obturated with continuous wave technique. Three subgroups were obturated using non-standardized gutta-percha cone(Diadent, Korea, .06 or .08 taper) and AH-26(Dentsply DeTrey, Germany) as a root canal cement. Ten unobturated teeth served as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s. After immersion in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1 month, the teeth were washed during 24h. The teeth were demineralized in 10% nitric acid and dehydrated by immersion in 80, 90 and 100% ethyl alcohol. The teeth were finally cleared and stored in 100% methylsalicylate, and apical dye penetration was evaluated under stereomicroscope(Leica M420, LC, U.S.A)at $\times$8.75 magnification. Liner measurement of dye penetration was assessed with the use of digitalized image analysing system (analySIS, GmbH, Germany) The data were analysed statistically using independent T-test and Two-way ANOVA and Tukey test.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In canal prepared with GT$^{TM}$ rotary file, shaphing time taked more than the group of using Gates Glidden drill to coronal preparation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2. The group of single cone obturation using canal preparation of GT$^{TM}$ rotary files showed significantly more apical leakage than those of lateral condensation and continuous wave technique regardless of shaping method (p<0.05). 3 The group of single cone obturation using canal preparation of GT$^{TM}$ rotary files and Gates Glidden drill showed significantly more apical leakage than those of continuous wave technique regardless of shaping method (p<0.05). 4. Regardless of shaping method, The group of continuous wave obturation showed less apical leakage than those of lateral condensation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5. The group of single cone obturation using canal preparation of GT$^{TM}$ rotary files and Gates Glidden drill showed more apical leakage than the group of lateral condensation using same shaping method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딸기 '대왕', '싼타', '옥매', '설향' 및 '매향' 품종의 수경재배시 착과수 조절 효과 (Effect of Fruit Thining for Hydroponics on the New Domestic Strawberry Cultivars 'Daewang', 'SSanta', 'Okmae', 'Seolhyang' and 'Maehyang')

  • 정호정;노일래;김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4호
    • /
    • pp.265-271
    • /
    • 2013
  • 이 시험은 국내에서 육성된 딸기 5품종에 대한 적정 착과수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방 당 착과수를 4~5과, 7~9과 그리고 적과를 하지 않은 방임구를 비교한 결과, 적과를 함으로써 모든 품종의 평균 과중이 증가하였으며, 당도는 높아지고 산도는 낮아져 상품성이 향상되었다. 적과 정도가 강할수록 화경장은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잎 수, 엽병장, 관부직경 등은 차이가 없었다. 적과를 실시한 후 각 화방의 1번 과중을 조사한 결과, 설향과 매향 품종은 2화방에서부터 뚜렷이 과중이 커졌으며, 대왕과 싼타 품종은 3화방의 1번 과중이 무거워졌다. 옥매 품종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대왕과 매향은 화방 당 4~5과를 남기는 강한 적과를 하는 것이 방임구에 비해 각각 4.3% 및 6.6% 증수되었으며, 싼타, 옥매, 설향 품종은 7~9과를 남기는 가벼운 적과를 하는 것이 방임구에 비해 각각 3.1, 3.5, 9.1% 증수되었다. 결과적으로 각 품종의 개화습성에 맞게 착과 수를 조절함으로써 과실 품질을 향상시키고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임신 중 수은을 섭취한 CD-1 마우스 태아의 성장발육과 기형발생에 미친 티아민의 효능 평가 (The effect of thiamin on fetal growth and development in CD-1 mice exposed with mercury for the gestation period)

  • 김진석;최석화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9-75
    • /
    • 1994
  •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은 이미 밝혀졌으나 이에 대한 치료가능 약제들의 효과에 대하여는 아직 밝혀진바 없다. 임신한 CD-1마우스에 20ppm의 수은(methylmercuic chloride)을 음수를 통해 임신 6일째 부터 15일 사이에 투여하고 이와 동시에 투여계획에 따라 기존 치료제 BAL과 티아민(thiamin)을 피하로 투여한 후 임신 18일째에 제왕절개술을 실시하였다. 티아민(200mg/체중 kg)과 BAL(5.0mg/체중 kg) 그리고 티아민과 BAL의 병용치료군의 태아는 체중과 두부-둔부 길이 그리고 태반의 무게가 수은 단독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무겁거나 길어 대조군에서 보인 수치에 가까왔다. 죽은 태아/재흡수율과 기형인 태아 발생율은 티아민과 BAL 치료군에서 감소되었으며 투여용량이 높을수록 발생율이 낮았다. 또한 높은 농도의 티아민과 BAL은 어미 마우스의 사료 및 음수섭취량을 증가시켰으며 간의 상대적 무게도 증가 시켰다. 이 연구 결과는 티아민을 단독 또는 키레이트제재와 병용투여할 경우 수은에 의한 기형발생을 감소시키거나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