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ssed Cub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초

완전이진트리의 교차큐브에 대한 임베딩 (Embedding Complete Binary Trees into Crossed Cubes)

  • 김숙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3호
    • /
    • pp.149-157
    • /
    • 2009
  • 교차큐브는 하이퍼큐브의 변형으로서 하이퍼큐브의 절반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등의 개선된 망 성질을 가진다. N-노드 완전이진트리는 (N+1)-노드 교차큐브의 부그래프임이 알려져 있으나 [P. Kulasinghe and S, Bettayeb, 1995] 완전이진트리의 노드 개수가 교차큐브의 노드 개수보다 더 큰 경우에 대한 효과적인 임베딩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N-노드 완전이진트리를 N-노드 교차큐브에 연장을 1, 부하율 [N/M]로 임베딩할 수 있음을 보인다(N>M$\geq$2). 여기서 연장율과 부하율은 최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임베딩 방법은 같은 레벨의 트리 노드들을 교차큐브의 노드들에 골고루 분포시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이 특징은 트리 구조 알고리즘을 교차큐브에서 레벨 단위로 실행할 때 특히 유용하다.

다중 메쉬의 교차큐브에 대한 임베딩 (Embedding Multiple Meshes into a Crossed Cube)

  • 김숙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5호
    • /
    • pp.335-343
    • /
    • 2009
  • 교차큐브는 병렬처리 시스템의 상호연결망으로서 널리 알려진 하이퍼큐브와 많은 면에서 비슷하면서도 절반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등 개선된 망 성질들을 가지므로 각광 받아 왔다. 크기 $4{\times}2^m$인 메쉬의 복사본 두 개, 혹은 크기 $8{\times}2^m$인 메쉬의 복사본 네 개가 교차큐브에 연장율 1, 확장율 1로 임베딩 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Dong, Yang, Zhao, and Tang, 2008]. 그러나 양변의 길이가 모두 8 보다 큰 메쉬 다수 개가 교차큐브에 연장율 1, 확장율 1로 임베딩될 수 있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 논문에서는 크기 $2^n{\times}2^m$인 메쉬의 복사본 $2^{n-1}$개가 교차큐브에 연장율 1, 확장율 1로 임베딩될 수 있음을 보인다. $n{\geq}1$, $m{\geq}3$. 이 연구 결과는 연장율과 확장율이라는 주요 임베딩 측정 척도에서 최적이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메쉬 구조를 가지는 다수 개의 작업을 교차큐브 구조를 가지는 병렬 컴퓨터에 할당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메쉬의 교차큐브에 대한 임베딩 (Embedding a Mesh into a Crossed Cube)

  • 김숙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5A권6호
    • /
    • pp.301-308
    • /
    • 2008
  • 교차큐브는 병렬처리 시스템의 상호연결망으로서 널리 알려진 하이퍼큐브와 많은 면에서 비슷하면서도 절반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등 개선 된 망 성질들을 가지므로 각광 받아 왔다. 크기가 $2{\times}2^m$이거나 $4{\times}2^m$인 메쉬를 연장율 1로 교차큐브에 임베딩하는 연구 결과는 이미 발표된바 있다. 그러나 양변의 길이가 모두 8 이상인 메쉬가 교차큐브에 연장율 1로 임베딩되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크기 $2^n{\times}2^m$인 메쉬가 교차큐브에 연장율 1, 확장율 $2^{n-1}$로 임베딩될 수 있음을 보인다, $n{\geq}1$, $m{\geq}3$.

에지 고장이 있는 Restricted Hypercube-Like 그래프의 해밀톤 경로 (Hamiltonian Paths in Restricted Hypercube-Like Graphs with Edge Faults)

  • 김숙연;전병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8A권6호
    • /
    • pp.225-232
    • /
    • 2011
  • Restricted Hypercube-Like(RHL) 그래프는 교차큐브, 뫼비우스큐브, 엠큐브, 꼬인큐브, 지역꼬인큐브, 다중꼬인큐브, 일반꼬인큐브와 같이 유용한 상호연결망들을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그래프군이다. 본 논문에서는 $m{\geq}4$ 인 m-차원 RHL 그래프 G에 대해서 임의의 에지 집합 $F{\subset}E(G)$, ${\mid}F{\mid}{\leq}m-2$, 가 고장일 때, 고장 에지들을 제거한 그래프 $G{\setminus}F$는 임의의 서로 다른 두 정점 s와 t에 대해서 dist(s, V(F))${\neq}1$ 이거나 dist(t, V(F))${\neq}1$이면 해밀톤 경로가 있음을 보인다. V(F)는 F에 속하는 에지들의 양 끝점들의 집합이고 dist(v, V(F))는 정점 v와 집합 V(F)의 정점들 간의 최소 거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