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op Land

검색결과 775건 처리시간 0.035초

조건 불리 한계농경지에서의 조, 수수, 기장의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Comon Millet Cereal Crops on Marginal Agricultural Lands)

  • 윤성탁;이명철;김정순;장경우;허진우;김영복;김태호;남중창;남민희;이용환;황재복;심상인;김성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50-356
    • /
    • 2010
  • 경사도가 높거나 농지의 지형적 토성적 이유로 농기계의 작업효율이 낮은 한계경지는 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 이와 같은 불량환경에 적응성이 큰 조, 기장, 수수의 생육 및 수량특성을 검정하여 한계경지 적응 적정 작목 및 품종을 선발코자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pH는 평탄지인 대조구가 7.85로 약 알카리성을 나타내었으며, 경사지 및 척박지는 각각 6.3, 6.2로 약산성을 나타내었으나, 자갈밭은 5.1로 강한 산성을 나타내었다. EC는 대조구에 비해 한계농경지(경사지, 척박지, 자갈밭)가 낮았으며, 특히 척박지는 0.05 dS $m^{-1}$로 가장 낮았다. 2. 조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간장은 경사지에서 169.5 cm로 가장 컸으며, 자갈밭이 143.7 cm로 가장 작았다. 1수립수는 대조구를 제외하면 경사지가 4913.9립으로 많았으며, 3.3 $m^2$당 이삭수는 자갈밭이 85.3이삭으로 대조구에 비해 25% 적었다. 품종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12~113일로 차이가 없었다. 3. 기장의 파종기로부터 출수소요일은 한계경지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경사지가 787.1립으로 대조구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간 1수립수는 벼룩기장이 827.2개로 가장 많았으나, 1000립중은 5.5g으로 황기장 6.2g에 비해 작았다. 4. 한계경지별 수수의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598.1, 2563.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삭수도 대조구와 경시지가 각각 26.7, 26.0이삭/3.3 $m^2$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22~123이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목탁수수가 2357.6립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가 2071.8개로 가장 적었다. 1000립중은 장목수수가 23.8g으로 가장 무거웠다. 5. 조의 수량은 대조구가 295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282.0 kg/10a으로 많았다. 품종별로는 몽당조가 252.3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많았다. 기장의 수량은 대조구가 217.0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196.0 kg/10a으로 많았다. 품종별로는 벼룩기장이 173.8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흰기장이 122.2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낮았다. 수수의 수량은 대조구가 313.0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경사지가 301.7 kg이었으며, 품종별로 는 목탁수수가 236.5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WAMIS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토양유실량 분석 - 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 (The Soil Loss Analysis using Landcover of WAMIS - for Musimcheon Watershed -)

  • 김주훈;이충대;김경탁;최윤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22-13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역의 토지피복변화에 따라 토양유실량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유역전체에서 토양유실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토지피복형태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유역으로는 금강의 제2지류인 무심천 유역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토지피복별 단위면적당 평균 토양유실량은 밭작물 재배지역과 논지역에서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유실량 산정결과 100년빈도 강우량 자료를 이용한 경우 무심천 유역 전체의 연토양 유실량은 약 14,000ton/yr 정도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피복별 토양유실량은 무심천 유역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는 산림지역(48%)의 경우 약 1,000ton/yr 정도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밭 지역에서는 1985년도에 4,900ton/yr(34.6%)에서 2000년에 8,100ton/yr(56.1%) 토양유실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밭작물 재배지역의 토지피복변화가 8%에서 14%정도로 증가한 것이 토양유실량이 크게 증가한 원인으로 판단된다. 연토양유실량이 $200ton/km^2/yr$이상인 지역을 분석한 결과 밭작물 재배지역이 74%에서 96%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축분자원화물의 작물재배 농지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livestock resources run-off from land for agricultural crop)

  • 한기봉;이영신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4호
    • /
    • pp.74-8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축분자원화물을 농지에 주입 시 유출 및 삭감되는 축분자원화물의 전환율을 산정하고자 현장 시험을 실시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축분자원화물을 농지주입 시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작물재배된 시험구 수확량은 $0.437kg/m^2$이며, 수확물 내 영양물질 함량은 N가 $0.024{\pm}0.006%$, P이 $0.020{\pm}0.004%$로 나타났다. 대조구의 경우 수확량은 $0.153kg/m^2$이며, 수확물 내 영양물질 함량은 N가 $0.007{\pm}0.001%$, P이 $0.006{\pm}0.001%$로 나타났다. 농지로 전환된 퇴비 내 오염물질 거동을 파악한 결과, 재배기간 60일 경과 후까지 오염물질 농도는 계속 감소하여 축분자원화물 주입전의 수준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농지로부터 유출유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간당 10mm/h 이하의 강우강도에 대하여 농지유출비를 비교 조사한 결과, 강우강도 8mm/h 까지는 각 오염물질별 농지유출비가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S의 경우는 다른 오염물질항목보다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계화간척지에서 돈분뇨 퇴.액비 시용이 청보리 (Hordeum vulgare L.) 수량 및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Method of Pig Compost and Liquid Pig Manure on Yield of Whole Crop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Gyehwa Reclaimed Land)

  • 이상복;조광민;백남현;이정준;오영진;박태일;김기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53-360
    • /
    • 2011
  • 간척지에서 청보리 재배를 위한 가축분뇨 퇴 액비 시용 방법을 구명하기 위해서 계화간척지 문포통에서 무처리를 대비로 화학비료 및 돈분뇨 퇴 액비를 기비와 추비로 분시하여 청보리를 재배한 후 토양 양분변화, 식물체 양분 흡수량 및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토양중 $NO_3^-$-N 함량은 액비시용 후 생육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였고. 보리생육 초기에는 액비 전량시용구가 높았으나 후기에는 퇴 액비 혼용구와 화학비료 시용구에서 높았다. 토양 중 $NO_3^-$-N와 $NH_4^+$-N 함량은 표토에서 퇴 액비 혼용구와 화학비료 시용구에서 높았으나 심토에서는 처리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후 토양의 화학성중 유기물, 유효태 인산, 총질소, 치환성 칼슘과 나트륨이 퇴 액비 혼용구에서 무시용구 보다 현저히 높았다. 식물체 양분흡수량은 액비 전량시용구 보다 화학비료 시용구와 액비분시 및 퇴 액비 혼용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질소이용률은 화학비료 시용구>액비분시구=화학비료 추비구>퇴 액비 혼용구>액비 전량시용구 순으로 나타났다. 청보리 수량은 무처리구 $309kg\;10a^{-1}$ 대비액비 전량시용구에서 2.3배였으나 화학비료 시용구와 퇴 액비 혼용구에서 3.2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청보리 사료가치는 퇴 액비 분시구에서 액비전량 시용구보다 조단백질과 TDN 값이 1.0~1.5%가 높아졌다. 따라서 간척농경지에서 가축분뇨 퇴 액비시용에 의한 청보리 증수를 위해서는 일시에 전량 시용하는 것보다는 분할 시용해야 높은 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Straw Mulching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 Ryu, Jin-Hee;Kang, Jong-Gook;Kim, Young-Joo;Oh, Yang-Yeol;Lee, Su-Hwan;Kim, Sun;Hong, Ha-cheol;Kim, Young-doo;Kim, Sun-Lim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2-16
    • /
    • 2016
  •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raw mulching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reclaimed saline soil,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3 years (2010~2012)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Soil series of the experimental field was Munpo and soil texture was fine sandy loa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 field with EC of $2.4dS\;m^{-1}$ (field I) and the other field with EC of $5.6dS\;m^{-1}$ (field II). Each experimental field was treated with rye straw incorporation, mulching with rye straw and control. In 2010 rye straw produced from other field was used for the experiment and in 2011~2012 rye straw cultivated at the same experimental field was used. After rye straw application, soybean was cultivated. After 3 years field experiment, by rye straw incorporation, soil salinity decreased from $2.4dS\;m^{-1}$ to $0.6dS\;m^{-1}$ at field I but increased from $5.6dS\;m^{-1}$ to $7.6dS\;m^{-1}$ at field II. By mulching with rye straw soil salinity decreased from $2.4dS\;m^{-1}$ to $0.5dS\;m^{-1}$ at field I and also decreased from $5.6dS\;m^{-1}$ to $0.5dS\;m^{-1}$ at field II. By rye straw incorporation and mulching soil organic matter increased from $2g\;kg^{-1}$ to $4g\;kg^{-1}$. At field I yields of soybean were similar between rye straw incorporation and mulching but at field II yield of soybean increased apparently by mulching with rye straw compared to rye straw incorporation and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