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livestock resources run-off from land for agricultural crop

축분자원화물의 작물재배 농지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 Han, Gi-Bo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Young-S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division, Hanseo university)
  • 한기봉 (가톨릭대학교 생명환경공학부) ;
  • 이영신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1.11.11
  • Accepted : 2011.12.2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transforming (runoff and leachate) rate of the livestock resources applying to agricultural crop land as fertilizer, field scale tes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According to results of livestock resources effect to agricultural land, the total amount of harvested crop from testing bed was $0.437kg/m^2$, and nutrient contents were $0.024{\pm}0.006%$ and $0.020{\pm}0.004%$ for N and P, respectively. Dynamics of contaminants in the livestock resources to be supplied to agricultural crop land showed that concentrations were continuously decreased to the level of blank test bed until 60 days of planting. The amount of runoff from farm land showed the tendency to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ainfall intensity. Run-off ratio of 10mm/h rainfall intensity for agricultural land showed that each contaminan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due to rainfall intensity with 8 mm/h, specifically SS showed the highest increase.

본 연구에서는 축분자원화물을 농지에 주입 시 유출 및 삭감되는 축분자원화물의 전환율을 산정하고자 현장 시험을 실시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축분자원화물을 농지주입 시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작물재배된 시험구 수확량은 $0.437kg/m^2$이며, 수확물 내 영양물질 함량은 N가 $0.024{\pm}0.006%$, P이 $0.020{\pm}0.004%$로 나타났다. 대조구의 경우 수확량은 $0.153kg/m^2$이며, 수확물 내 영양물질 함량은 N가 $0.007{\pm}0.001%$, P이 $0.006{\pm}0.001%$로 나타났다. 농지로 전환된 퇴비 내 오염물질 거동을 파악한 결과, 재배기간 60일 경과 후까지 오염물질 농도는 계속 감소하여 축분자원화물 주입전의 수준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농지로부터 유출유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간당 10mm/h 이하의 강우강도에 대하여 농지유출비를 비교 조사한 결과, 강우강도 8mm/h 까지는 각 오염물질별 농지유출비가 강우강도의 증가에 따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SS의 경우는 다른 오염물질항목보다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 축산폐기물 현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pp. 56-96. (1986).
  2. 최홍림, 우리나라 가축분뇨 대책, 농어촌과 환경, 10(2), pp 16-28. (2000).
  3. 가축분뇨자원화협회, "환경축산 무엇이 문제인가?", 심포지움 발표자료 모음집. (1997).
  4. 환경부, 축산폐수배출시설 및 처리시설 관리개선 방안 연구. (2003).
  5. 권순익, 정광용, 유기성 폐기물 비료성분 표준단위 설정, 농업과학기술원 시험연구보고서, pp.74-100. (1994).
  6. 한국환경과학협의회, 영양염류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1991).
  7. 홍성구, 이남호, "축분퇴비의 농지환원 시 오염 부하 포텐셜 평가", 한국농공학회지, 43(1), pp. 66-74. (2001).
  8. 최의소, 영양염류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연구협의회. (1991).
  9.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시험법. (2005).
  10. 한국수자원공사, 다목적댐 홍수조절용지 내 경작관련 호소수질에 미치는 영향조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