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tic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8초

Advanced approach to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utilizing maturity models in critical infrastructure

  • You, Youngin;Oh, Junhyoung;Kim, Sooheon;Lee, Kyungh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0호
    • /
    • pp.4995-5014
    • /
    • 2018
  • As the area covered by the CPS grows wider, agencies such as public institutions and critical infrastructure are collectively measuring and evaluating information security capabilities. Currently, these methods of measuring information security are a concrete method of recommendation in related standards. However, the security controls used in these methods are lacking in connectivity, causing silo effec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study th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maturity. Howev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research has considered the specific definitions of each level that measures organizational security maturity or specific methods and criteria for constructing such levels. This study developed an information security maturity model that can measure and manage the information security capability of critical infrastructure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by an expert critical infrastructure information protection group. The proposed model is simulated using the thermal power sector in critical infrastruc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the field and derive core security processes and goals that constitute infrastructure security maturity. The findings will be useful for future research or practical application of infrastructure ISMSs.

수정된 정책모형이론에 기반한 국가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정책 추진체계 분석 (Analysis of National Critic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NCII) Protection Policy Promotion System Based on Modified Policy Model Theory)

  • 유지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347-363
    • /
    • 2024
  • 국가정보통신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공격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관련정책 및 법제도의 제정과 개정을 통해 국가정보통신기반시설의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국가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미국, 영국, 일본, 독일, 호주 등의 국가를 선정하여, 국가별 국가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정책의 추진체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국가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체계를 사이버보안 체계와 비교하고 추진 구조를 분석하고 앨리슨 이론(Allison's theory)과 나카무라&스몰우드 이론(Nakamura & Smallwood's theory)을 수정한 정책모형이론에 근거하여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의 관점에서 국가별 추진체계모형을 분석하였다. 미국, 일본, 독일, 호주의 정책추진 모형은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이 모두 국가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 중심으로 체계화된 체계강화모형이며, 영국, 한국의 정책추진 모형은 보다 정책집행에 초점이 맞춰진 집행중심모형으로 나타났다.

기반시설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도출방안 (Cyber Security Framework for Critical Infrastructure)

  • 권성문;이석철;장지웅;손태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41-250
    • /
    • 2017
  • 폐쇄적으로 운영되던 과거의 기반시설과 달리 현재의 기반시설 네트워크는 IoT 기기와 외부 망과의 연계를 통한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과거의 기반시설 네트워크에 비해 생산성과 관리의 효율은 증대 될 수 있으나 외부 망과의 연계 접점이 생김에 따라 S/W 취약점과 이를 악용한 사이버 보안 이슈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각 기관에서 적합한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정부 기관에서 작성한 사이버보안 점검 리스트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각 기반시설 네트워크의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반시설 네트워크의 특징을 반영한 사이버 보안 가이드라인을 개발을 위해 NIST CSF[2], DoE C2M2[3] 등 주요 국가의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관련 표준과 기반시설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반시설 네트워크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개발 방안을 도출하고 검증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기반시설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Framework Design for Stable Operation of Critical Infrastructure Service)

  • 이수연;유지연;임종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3-72
    • /
    • 2016
  • Critical infrastructure has been operating in a closed environment with a completely separate information system and in the private area. However, with the current ICT environment changes due to convergence and open platforms it has increased the threats and risks to critical infrastructure. The importance of cyber security is increasing in the infrastructure control system, such as the outbreak of Ukraine blackout in 2015 by a malicious code called 'black energy'. This thesis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tecting the critical infrastructure service, designing a security framework reflecting environmental and characteristic changes, and analyzing the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a security framework. We also propose a theoretical basis for constructing a new security framework by comparing and analyzing seven international security management system standards, such as NIST 800-82 and IEC 62443-2-1, which are used in the control system. As a result,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ritical infrastructure chang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nectivity, openness, and finality was studied, and as a response to this, many scholars and institutions present critical infrastructure security frameworks as cycle enhancement type structures, risk management structures, and management domain expansion structures. In response, the security framework encompassing these structures, CISF (Critical Infrastructure Security Framework), was designed. Additionally, through the security related international standard and criterion analysis, as a newly designed security standard suitable for CISF, IEC 62443-2-1 is reviewed and suggestions are made.

통신재난의 유형 및 위험분석 (Communication Disaster Type and Risk Analysis)

  • 최재명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8-23
    • /
    • 2021
  • 초연결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정보통신의 역할이 크게 증대되고 통신재난이 발생할 경우 사회 인프라, 국가핵심기반의 서비스 중단 및 국민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초래한다. 또한 정보통신분야는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이에 대한 의존도가 급격히 증대하였기 때문에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정보통신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정보통신, 금융, 보건 및 의료 등 국가핵심기반 및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정보통신인프라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유형 및 위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정보통신인프라에 재난이 발생할 경우 국가핵심기반의 서비스 중단 및 국민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초래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기반시설에 대한 주요국 사이버보안 수준 비교·분석 연구 (A Study on Major Countries's Level of Cybersecurity for Critical Infrastructure)

  • 박향미;유지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63-176
    • /
    • 2017
  • 최근 주요기반시설은 기존의 폐쇄적인 환경에서 개방적인 환경으로 변화하고, 사이버공간으로 범위가 확장되면서 사이버위협의 새로운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주요기반시설 간의 상호의존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동향조사 및 보호정책 논의 수준에 머물러, 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현황 진단 및 적절성 판단 등의 연구는 별도로 진행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국가별 사이버보안 수준을 측정하는 국제지표 3가지를 비교 분석하여 주요기반시설의 보호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지표를 개발하고, 해당 지표를 통하여 미국과 일본, 영국, 독일, 노르웨이로 대표되는 주요국과 한국의 현재 주요기반시설의 보호수준을 측정한다. 이를 통하여 미래 사이버공간에서 한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국가 간 신뢰를 구축할 근거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Reality and Response of Cyber Threats to Critical Infrastructure: A Case Study of the Cyber-terror Attack on the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 Lee, Kyung-bok;Lim, Jong-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2호
    • /
    • pp.857-880
    • /
    • 2016
  • Due to an increasing number of cyberattacks globally, cybersecurity has become a crucial part of national security in many countries. In particular, the Digital Pearl Harbor has become a real and aggressive security threat, and is considered to be a global issue that can introduce instability to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security. Against this context, the cyberattacks that targeted nuclear power plants (NPPs) in the Republic of Korea triggered concerns regarding the potential effects of cyber terror on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CIP), making it a new security threat to society. Thus, in an attempt to establish measures that strengthen CIP from a cybersecurity perspective, we perform a case study on the cyber-terror attacks that targeted the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In order to fully appreciate the actual effects of cyber threats on critical infrastructure (CI), and to determine the challenges faced when responding to these threats, we examine fact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yberattacks and their responses, and we perform analys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yberattack under consideration. Moreover, we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event considering international norms, while applying the Tallinn Manual. Based on our analyses, we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cybersecurity of CI in South Korea, after which we propose a framework for strengthening cybersecurity in order to protect CI. Then, we discuss the direction of national policies.

A Study on Efficient Infrastructure Architecture for Intersection Collision Avoidance Associated with Sensor Networks

  • 황광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8B호
    • /
    • pp.657-666
    • /
    • 2008
  • The intersection collision avoidance service among various telematics application services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services with regard to safety. In such safety applications, real-time, correct transmission of service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study on efficient infrastructure architecture for intersection collision avoidance using a cooperative mechanism between vehicles and wireless infrastructure. In particular, we propose an infrastructure, called CISN (Cooperative Infrastructure associated with Sensor Networks), in which proper numbers of sensor nodes are deployed on each road, surrounding the intersection. In the proposed architecture, overall service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various parameters consisting of the infrastructure, such as the number of deployed sensor nodes, radio range and broadcast interval of base station, and so on. In order to test the feasibility of the CISN model in advance, and to evaluate the correctness and real-time transmission ability, an intersection sensor deployment simulator is developed. Through various simulations on several environments, we identify optimal points of some critical parameters to build the most desirable CISN.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기반시설 사이버보안 정책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rump Administration Cybersecurity Policy: Focusing on Critical Infrastructure)

  • 김근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907-918
    • /
    • 2019
  • 본 연구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발표한 행정명령, 사이버보안 전략, 법안을 분석함으로써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후 미국의 주요기반시설에 관한 사이버보안 정책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첫째, 백악관의 역할이 약화되고 국토안보부가 국가 사이버보안 기능을 총괄하게 되었다. 둘째,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기반시설의 정의를 확대함으로써 주요기반시설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정부의 역할을 확대하였다. 셋째, 필요시 정부가 민간 주요기반시설의 운영에 관여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정책방향은 백악관의 견해보다는 국토안보부와 전문 관료들의 견해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을 보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트럼프 행정부의 사이버보안 정책을 분석한 학술연구는 많지 않다.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기반시설의 사이버보안 정책에 대한 분석결과는 한국의 사이버보안 정책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trategy on the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s :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Sector

  • Chung, Sung-Ha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89-9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송분야 국가핵심기반 지정 및 관리시 연계성을 고려한 운영관리 전략을 제안한다. 산업구조가 고도화됨에 따라 국가핵심기반은 교통수송분야 연구개발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교통수송분야의 연계 협업형 연구개발 계획과 심층분석을 적용하였다. 국가경제나 국민생활의 활동이 사회의 요건에 밀착되는 등의 포괄적인 국가안전과 국민의 안전 요구 증대로 정부의 책임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의 특징은 유지관리의 필요성과 국가의 책무인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를 수행하였다. 이에, 교통수송분야 국가 핵심기반은 지속가능한 유지·관리를 위한 보호계획 수립과 가이드라인을 고려하여 작성·시행한다. 본 연구는 교통수송분야의 국가핵심기반 지정·관리시 연계성을 고려한 운영 전략을 제안함으로서 효율적인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에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