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Competency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9초

융합지향 조직 구축을 위한 융합인재 측정 도구 개발 (Developing an Instruments to Measure the Convergence Talent: Building Convergence-oriented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 이서영;권상집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1호
    • /
    • pp.77-99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nvergence talent measurement. Based on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convergence and convergence talent, we draw 4 main competencies (convergence cognitive, accomplishment, problem solving, and attitude) and 10 critical aspects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cooperati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knowledge accessibility, resource utilization, trust, openness, caring) for building an effective convergence-oriented organization. A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survey were conducted for th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talent scale. With a data of 151 employees in diverse compan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tors demonstrated acceptable level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empirical evidences of our study are 10 key aspects comprising four main dimensions which suggest an available scale for measuring the convergent talent for enhancing convergence-oriented organizations. Our research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convergence, especially in convergence-oriented organizations.

Meta-Analysis of Cognitive and Affective Effects of Arduino-Based Educational Programs

  • Bong Seok Ja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2권2호
    • /
    • pp.153-158
    • /
    • 2024
  •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effects of Arduino-base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a meta-analysis. Eleven eligible primary studies were obtain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coded according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ta-analysis reveal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the studies was 0.518. Analysis of the moderator variable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Regarding the learning domains, the results were ranked in descending order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Within the cognitive domain, the effect sizes were ranked in descending order as follows: logical thinking, content knowledge, convergence competency, self-efficacy, computation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In terms of subject areas, the descending order of effect sizes was agriculture, STEAM, environmental science, practical arts, artificial intelligence, informatics, and computers. Regarding school level, the results were ranked in the following descending order: colleg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 고은정;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35-54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온타리오주, 싱가포르 및 우리나라의 과학교과 핵심역량에 대한 동향을 조사하여 과학교육을 통해 기를 수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또한, 현장 과학교사들이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특히 최근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교육과정을 접한 경기도 지역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것이었다. 외국의 역량 기반 과학과 교육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각종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현장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위해, 135명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외국의 역량기반 과학과 교육과정 탐색 결과, 각 국가들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범교과 역량과의 연계', '과학 내용과 과학 활동의 결합', '의사소통 능력중시', '역량별 성취 수준 제시' 등이 나타났다. 또한, 각국에서 강조하는 과학과 핵심역량으로는,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탐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이해력', '학문간 통합능력', '적용능력', '개인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있었다. 현장 과학교사들은 현재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 및 과학수업에서의 실행 정도는 보통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가르쳐야 한다는 움직임과 가르칠 의사에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임으로써,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다. 중요한 핵심역량으로는, 초 중 고 세 학교급 모두에서 '창의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탐구 능력'을 꼽았으며,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창의적 사고력'이었다. 경기도 지역의 교사들이 다른 일반지역의 교사들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의사소통능력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수업 운영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점, 많은 수업 준비시간 등을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해외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 분석 (Analysis of Elements Related to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in Overseas Informatics Curriculums)

  • 양혜지;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18
  • 한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정보교육을 통한 창의적 융합 인재양성을 강조하였다. 정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정보기술 기반의 정보윤리 지식을 축적하여 윤리적으로 판단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정보문화소양을 핵심역량으로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문화소양을 육성할 수 있는 내용 요소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 영국, 인도, 일본, 호주, 독일의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보문화소양이라는 용어는 한국의 정보과 교육과정에만 포함되었다. 둘째, 각국이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내용 요소는 (개인)정보보호, 정보보안, 저작권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한국의 정보사회와 진로, 인도의 부상 피하기, 독일의 건강 보호, 환경 보호는 해당 국가의 교육과정에만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 정보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정보문화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내용 요소 구성 개선에 방향성을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48-259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패러다임과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3명이 한 학기 동안 팀 토의 중심 수업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자료인 토의 보고서는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교육은 정보통신기술, 윤리관, 융합교육, 창의성, 인성교육, 협업으로 예비교사는 이와 같은 교육을 위해 융합교육, 지역연계학습, 거꾸로 학습, 혼합학습 등의 학습자 중심 학습과 평가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교사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은 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정보처리 역량, 공감 및 이해 역량, 창의적 교수 및 교수설계 역량, 협업 및 의사소통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비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 - 성취도 분석을통한 NCS 교육 개선 방안 (A Plan to Improve Hair Beauty NCS Education through Importance - Performance of Hair Beauty Field by NCS Ability Unit)

  • 최은화;이순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73-784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교육 효과성의 확인과 향후 개선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이 평가하는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와 그들이 평가하는 신입디자이너들의 성취도를 IPA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중요도-성취도 간의 차이와 이를 통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결과 헤어미용분야의 NCS교육은 기존 41개 능력단위 중 중점 개선 항목 6개, 유지 강화 항목 21개, 장기개선 항목 14개, 개선 고려 항목 1개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창의성의 부족, 최신 정보수집 및 분석 능력부족 등이 나타나 NCS 교육현장에서 헤어디자이너로서의 창의적 능력개발에 대한 노력의 필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수학을 기반으로 하는 STEAM 아웃리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TEAM Outreach Program based on Mathematics)

  • 황선욱;김남준;손정숙;송원희;이갑정;최성자;유경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389-407
    • /
    • 2017
  • 우리나라의 창의성교육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종합적 사고력과 논리력을 키우기 위해 융합(STEAM)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STEAM의 각 요소들은 서로 연결되어 종합적으로 문제해결 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창의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런 활동과 경험은 교실을 벗어난 다양한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초 중고등 학생들에게 다양한 수학 창의활동 교육이 강조되기는 하였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교과 학습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어 창의적인 융합적 사고를 키우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연구는 초 중고등 학생들의 흥미를 극대화하고 수학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STEAM의 요소들을 기반으로 학교의 장을 벗어나서 경험할 수 있는 아웃리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과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흥미나 만족도가 높은 수준이었으며 STEAM 역량 전체점수 및 융합교육 인식은 초, 중, 고 모든 학생들에게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며 학교급 별로 하위요인은 약간씩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STEAM 아웃리치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를 높임과 동시에 수학 관련 분야의 진로를 정할 때 도움이 되는 활동을 제공하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다양한 활동들을 활용한 흥미있는 창의적 STEAM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Developmental Research of Design Thinking-based Program for Optimal Learning Experience in University

  • Sung-Wa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9호
    • /
    • pp.287-297
    • /
    • 2024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성, 협업능력, 의사소통능력이라는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ISD) 모형인 ADDIE를 기초로 설정한 모형(학습내용분석, 수업활동설계, 평가도구개발, 수업실행, 평가 및 수정)에 따라 디자인씽킹 수업을 개발하고 8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양적 효과성 검증을 위해 창의성, 협업능력,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t-test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모둠별 최종프로젝트에서 기술된 성찰일지내용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사전-사후역량 변화를 검증하고자 실시한 t-test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t=-4.955, p<.01), 협동력 (t=-3.179, p<.01), 의사소통력 (t=-4.293, p<.01) 측면에서 디자인씽킹 수업이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양적 성과뿐만 아니라 질적 성과 측면에서도 유익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모둠원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 참여경험, 학습경험, 가치경험을 증진시켜 최적의 학습경험을 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수업에 참여했던 학습자들은 특히 다른 조원들과 다양한 아이디어 공유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Effects of the 4C Core Competencies on Work Ability among Dental Hygienists

  • Kim, Do-Young;Jang, Kyeung-A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0-227
    • /
    • 2019
  • Background: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4C core competencies and work ability among dental hygienists. Methods: From November 2018 to January 2019, data were collected-from 190 dental hygienists workong in dental clinic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 province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ental hygienis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he level of the 4C core competencies and work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was calculated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4C core competencies on work ability.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he 4C core competency levels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as follows: communication ability 3.34, critical thinking ability 3.41, creative problem-solving 3.40,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3.27. Meanwhile the mean score for work ability level was 3.65. Th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work ability were communication ability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p<0.001), and the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hat affect work ability were sound conferences (p<0.01), intellectual fairness (p<0.05), intellectual enthusiasm (p<0.05), and self-confidence (p<0.001). Finally, the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at affect work ability were planning and execution (p<0.01) and performance evaluation (p<0.05).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education programs covering the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rather than the existing theoretic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nhance 4C core competencies that affect work ability.

인체비례론에 근거한 EBS 유아동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신비율 분석 (By Theory of Proportion the Human Body, An Analysis on Character's Proportion in Kids TV Animation on EBS)

  • 김석래;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491-499
    • /
    • 2015
  • 중요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하나인 애니메이션 산업의 경우, 작품을 근간으로 하는 다양한 파생 콘텐츠를 양산, 관련 콘텐츠산업의 동반성장과 콘텐츠시장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는 잠재적 역량을 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과 발전의 가능성이 높은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국내 유아동 TV 애니메이션의 경우, 디지털콘텐츠의 핵심 기능인 오락적 가치에 교육적 가치를 더함으로서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라는 융합형 콘텐츠로서, 대중적 인지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내외 경쟁력을 확보,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 성장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조형요소로서 인체비례론이 가지는 이론적 중요성을 근간으로, 현재 EBS에서 방영중인 작품들의 캐릭터들을 대상으로 세분화된 비율을 측정, 그 결과를 분류, 분석하는 연구방법을 통하여, 현재 선호하는 유아동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등신비율에 대한 현황파악과 함께, 캐릭터 개발에 실질적 활용과 적용이 가능한 디자인 창작지표를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