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on of Job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5초

한반도의 "대운하 건설"-국토개발 측면에서 본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Korea CanaL(GKC) in the Korean Peninsular-Vision of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 정무용
    • 기술사
    • /
    • 제41권2호
    • /
    • pp.59-63
    • /
    • 2008
  •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Korea Canal(GKC) In the Korean peninsular requires consideration from a aspect of vision of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GKC will bring enormous benefits to the Korean economy. First, effect of the equitable regional development. Second, reduction In freight transport costs and contribution of innovation in physical distribution. Finally, creation of large numbers of new jobs and development of Tourism & Leisure Industry and its related industry. Lets view the construction and finance supply.

  • PDF

대형 저속 디젤엔진의 후판 다층 용접을 위한 OLP 시스템의 용접 용접/용접이력 DB 구축 (The Welding/Welding History DB Construction of OLP System For the Multi-Layer Welding on the Thick Steel Plates In Low Speed Diesel Engines)

  • 김장규;이승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60-763
    • /
    • 2004
  • This work presents OLP system made independently in HSD for sub-assembly welding robot system set already and assembly welding robot system developed lately on the low speed diesel engines. This paper focuses on the DB module and the job creation based upon it. Also, It contains the welding history DB that saves the information of jobs executed after welding.

  • PDF

The role of Universities in the Development of Local Economies: A Case Study in the western of Jeonnam

  • Sung Hyun Park;Ki Kibeom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81-88
    • /
    • 2023
  •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come generation effect generatded by regional universities for the region is KRW 130.6 billion (direct and indirect income effect KRW 90.9 billion, induced income effect KRW 39.6 billion). In addi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effect of regional universities on inducing employment in the region is 2,145 per year. Unless quality jobs are secured, the outflow of population to the metropolitan area will accelerate, and the disappearance of local areas will emerge as a social problem in the near future. Considering the effect of local universities on the local economy reveal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s, the income and job creation effects, the government will be able to prevent local extinction by providing bold financial support to local universities. If it is difficult to afford it with government finances alone, it can be solved by opening the door to universities for admission through donations, which many advanced countries are introducing..

1981-2000년간 한국 광공업 5인 이상 사업체에서의 일자리 창출과 소멸 (Job Creation and Job Destruction in Korean Mining and Manufacturing, 1981-2000)

  • 김혜원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2호
    • /
    • pp.29-66
    • /
    • 2004
  • 이 글은 1981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의 "광공업통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광공업의 사업체 수준에서의 일자리창출률과 소멸률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avis and Haltiwanger(19992)의 방법론에 따라 측정한 결과 동 기간 광공업 5인 이상 지속사업체의 일자리창출률과 소멸률은 각각 9.75, 10.33로서 다른 나라의 일자리변동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창출된 일자리의 지속성이 낮고 일자리변동의 집중성은 높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노동자 재배치 중에서 일자리 재배치가 설명하는 비중을 측정한 결과 미국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비중을 보여서 일자리변동이 노동이동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환위기 직전까지 노동이동이 감소하는 추세였던 데 비해 일자리 재배치 수준에는 변함이 없어 외환위기 직전에는 일자리 재배치가 설명하는 비중이 최대 60%까지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일자리창출과 소멸의 변화가 호황과 불황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창출률과 소멸률은 각각 경기순행적, 경기역행적으로서 일반적인 양상을 띠고 있었으며, 미국과 달리 일자리 재배치율의 경기역행성은 관측할 수 없었다.

  • PDF

산업보안관리사 개발과정에서 PMP를 활용한 단계별 창직 연구 (A Study on Job creation Using PMP in ISE development process)

  • 임헌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79-86
    • /
    • 2019
  • 창직(창직업)이란 작은 의미에서는 자격증을 만들어 직업을 개발하는 것이며, 큰 의미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신산업을 조성하고 이에 필요한 직업을 개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이에 창직 사례로 공인민간자격인 산업보안관리사(ISE, Industrial security expert)의 개발 과정을 예로 들고 프로젝트 관리의 지침서인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의 PMP(Project Management Process)와 매핑하여 단계별로 창직에 필요한 세부 요구지식을 도출하고 이 과정을 정형화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1) 창직 계획 (2) 민간자격 등록신청 (3) 직무분석 (4) 세부출제기준 확정 (5) 접수시스템 구축 (6) 교재개발 (7) 설명회 개최 (8) 자격검정 공고 (9) 양성과정 교육 (10) 자격시험 시행 (11) 직무교육 및 지속 수요확대 등 11단계를 도출하였으며, 향후 자격증을 만드는 창직사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생활체육 활성화 모델로서 스포츠지도자 협동조합의 발전 가능성 분석 (The Possibility of Sport Leaders Cooperative Model Promote Life Sport)

  • 김정동;김영미;이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363-372
    • /
    • 2021
  • 본 연구목적은 스포츠지도자의 안정된 일자리 창출을 통해 생활체육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스포츠지도자 협동조합 모델의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D 광역시 생활체육지도자 20명과 스포츠협동조합의 운영자 10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자문위원 회의를 통해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결과지의 답변을 분류하여 빈도분석과 해석하고 유형화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활체육 활성화 모델로서 스포츠지도자 협동조합은 뜻이 맞는 생활체육지도자 5인 이상이 협동조합 지원센터의 교육을 통해 명확한 목적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조합원의 소통과 단합으로 협동조합을 운영한다면 생활체육지도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생활체육 활성화와 지도자의 전문화, 프로그램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며, 스포츠 참여의 다양성과 생활체육의 발전에 필요하고 새로운 방안이 될 수 있다.

창업 중소기업 4대 보험 경감에 따른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Start-up SME's Social Insurance Costs Reduction)

  • 김주미;임성묵;이재훈
    • 정보화연구
    • /
    • 제11권1호
    • /
    • pp.81-88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업 중소기업의 4대 보험 경감에 따른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다. 우리나라의 사회보험지원 및 해외 여러 현황 고찰을 통해 사회보험료 직 간접 지원, 사회보험료 면제, 사회보험료 유예 또는 융자의 4가지 제안을 제안했다. 경제적 효과 분석을 위해 편익과 비용 요소를 도출했으며 4대 사회보험 경감 정책을 통해 발생 가능한 편익 항목으로는 고용창출, 부가가치창출, 세수증대 효과를 분석했으며 각 대안별 비용을 추정했다. 보험료 면제의 경우 비용 추정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분석에서 제외시켰다. 분석 결과, 보험료 직접 지원 및 보험료 유예/융자로 인해서는 563,469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었으며 26.82조 원의 부가가치창출 효과, 824억 원의 세수증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보험료 세액 공제인 간접 지원인 경우, 각각 105,368명, 5.02조 원, 154억 원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각 대안에 대해 각각 9.58조 원, 5.42조 원, 1.79조 원의 비용 발생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국 에너지 시장에 공급되는 바이오에너지에 관한 연구 (III) -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과 원료공급에 대하여 - (Biomass Energy in the USA: A Literature Review (III) - Bioethanol production from Biomass and Feedstock Supply -)

  • 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1-10
    • /
    • 2007
  • 최근 미국 에너지 시장에서 수송용 바이오연료 생산과 바이오매스자원으로부터의 원료공급 가능성 등에 대하여 조사 연구되었다. 미국의 국가에너지정책의 1차 목표는 수입원유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다양한 국내자원으로 에너지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2030년에는 현재 수송용 에너지의 20%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할 목표이다. 정책적으로 청정공기법령(Clean Air Act), 연방청정연료(Federal Clean Fuel) 프로그램 및 American Jobs Creation Act를 통하여 바이오연료 사용을 증가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에너지 원료로서 산림바이오매스는 년간 3억 6800만 dry tons, 농업에서 얻어지는 원료는 현재의 BT기술을 이용한 작물품종 및 경작기술 개발, 농지사용 변화를 기반으로 했을 때 년 간 총 9억 9800만 dry tons이고 이중에서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8억 1800만 dry tons이다 현재의 농업상황에서 생산되는 량의 5배에 해당하는 바이오매스 공급가능성이 예측되었다.

코로나19 시기의 제조업 경영실적과 고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Employment of Manufacturing Business in the Period of COVID- 19)

  • 최태월;임종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3호
    • /
    • pp.1-8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제조기업의 경영실적 현황과 고용 전망에 관한 연구로서 분석 자료는 통계청 마이크로 데이터 통합서비스 포털에서 제공하는 제조업 대상 2020년 3분기, 4분기 경기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대기업 83개 업체, 중소기업 435개 업체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 규모별 경영 실적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21년 경기 전망 분석에서 대기업은 매출액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고용 창출에서는 66.3%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중소기업은 매출액 부분에서 31.3%가 거의 변화가 없다와 30.3%는 증가할 것이라는 경영실적 전망을 보였으나 고용 창출에는 58.9%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코로나19 시기에 기업의 경영실적에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팬데믹 현상이 제조업 고용과 경영실적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Industrial Technology R&D Investment on Employment)

  • 김호영;어승섭;전영두;유승훈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51-672
    • /
    • 2014
  • 최근 정부는 고용률 저조로 인한 저성장세의 고착화가 우려됨에 따라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R&D 활동을 통한 신규 고용창출을 중요한 국정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되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1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정부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고용창출효과는 직접고용효과와 고용유발효과로 분해된다. 산업기술 분야를 대분류 기준 총 7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산업기술 R&D 투자액 10억원당 고용창출효과는 8-12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식서비스 기술분야의 고용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전기 전자 기술분야는 고용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용창출 우위기술에 속하는 바이오 의료 기술분야와 직접고용 우위기술에 속하는 지식서비스, 화학, 에너지 자원 기술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단기적으로 고용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고용유발 우위기술에 속하는 정보통신, 기계 소재 기술분야는 산업간 파급효과를 통한 중장기적 고용창출 효과가 중요하기 때문에 기술이전, 개방형 혁신 등을 통해 기술 확산에 주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는 산업기술 R&D 투자의 고용창출효과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