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nine

검색결과 1,673건 처리시간 0.022초

울산지역 어린이들의 혈중 연, 요중 비소 및 카드뮴 농도 변화추이 - 3년 추적조사 (Trend of the Changes in the Level of Blood Lead, Urinary Arsenic and Urinary Cadmium of children in Ulsan ; 3-year Follow-up Study)

  • 유철인;이지호;이헌;김양호;이충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2호
    • /
    • pp.166-174
    • /
    • 2001
  • Objectives : To obtain basic data on blood lead level and urinary level of arsenic and cadmium of children living near a petrochemical estate and a suburban area in Ulsan, Korea and to observe the trend of the changes. In the level of these metals in these children. Methods :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626 children living near a petrochemical estate and 299 children living in a suburban area of Ulsan. We analyzed the level of lead, arsenic and cadmium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Results : The mean levels of blood lead in children living near the petrochemical estate were $5.25{\mu}g/dl,\;5.24{\mu}g/dl,\;and\;7.24{\mu}g/dl$, and in the years 1997, 1999, and 2000,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children living in the suburban area were $3.81{\mu}g/dl,\;4.75{\mu}g/dl,\;and\;7.19{\mu}g/dl$ respectively. The mean levels of urinary arsenic in children living near the petrochemical estate were $4.57{\mu}g/g$ creatinine, $4.78{\mu}g/g$ creatinine, and $6.02{\mu}g/g$ creatinine in the year 1997, 1999, and 2000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children living in suburban area were $2.35{\mu}g/g$ creatinine, $4.75{\mu}g/g$ creatinine, and $7.07{\mu}g/g$ creatinine, respectively. The mean levels of urinary cadmium in children living near the petrochemical estate were $1.15{\mu}g/g$ creatinine, $1.05{\mu}g/g$ creatinine, and $1.71{\mu}g/g$ creatinine in the year 1997, 1999, and 2000,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the children living in the suburban area were $0.74{\mu}g/g$ creatinine, $1.29{\mu}g/g$ creatinine, and $1.48{\mu}g/g$ creatinine, respectively. There were increasing trends in the level of blood lead, urinary arsenic and cadmium of children in Ulsan, an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these metals were disappearing between the children living in other areas year by year.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mount of exposure to lead, arsenic, and cadmium is increasing from year to year, and there is a need for periodic biological and atmospheric monitoring of these metals in Ulsan.

  • PDF

LC-MS/MS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 중 N-니트로사민류 분석법 확립 (Analysis Method of N-Nitrosamines in Human Urine by LC-MS/MS System)

  • 박나연;정웅;고영림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51-56
    • /
    • 2017
  • N-니트로사민은 이차 아민과 아질산이 산성조건 하에서 니트로소화 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니트로소 화합물이다. 약 300여종이 존재하며, 그 중 90%가 동물실험을 통해 발암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1987년 IARC에서 NDMA와 NDEA를 Group 2A로 지정하였고, NDPA, NDBA, NPYR, NPIP, NMOR을 Group 2B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N-니트로사민류의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위하여 소변 중 N-니트로사민류의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소변시료는 고체상추출(Solid phase extraction, SPE)을 통하여 전처리 한 후, LC-(APCI)-MS/MS를 이용하여 정량분석 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의 정확도는 85.8~110.2% 이었고, 정밀도는 1.1~10.5%로 나타났다. 검출한계는 0.0002 (NDBA) ~ 0.0793 (NDMA) ng/ml 이었고, 검량선 회귀식의 상관계수($r^2$)은 0.999 이상으로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실제 소변 중 N-니트로사민류의 평균 농도는 NDMA 2.645 mg/g creatinine, NDEA 0.067 mg/g creatinine, NMEA 0.009 mg/g creatinine, NDBA 0.011 mg/g creatinine, NPIP 0.271 mg/g creatinine, NPYR 0.413 mg/g creatinine 이고, NDPA와 NMOR은 검출되지 않았다. 추후 N-니트로사민류의 인체 노출량 평가 및 위해평가를 위한 기기분석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크레아티닌치가 높은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 후 신장기능의 변화와 처치 (Changes of Renal Function and Treatment after CABG in Patients with Elevated Serum Creatinine)

  • 최종범;이미경;이삼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46-151
    • /
    • 2005
  • 배경: 수술 전 크레아티닌이 상승된 환자에서 심폐기를 이용한 관상동맥 우회술은 수술 후 사망률과 이환율이 증가라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에 수술 전 크레아티닌 치가 상승된 환자에서 신장기능의 변화를 조사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처치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최근 심폐기를 이용하여 관상동맥 우회술을 한 74예 중 수술 전 일주일 이내에 1.5 mg/dL이상의 혈청 크레아티닌치를 가진 환자 11예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크레아티닌 치가 2.0 mg/dL이상인 환자가 7예였고 그중 3예는 수술 전 혈액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였다 후자의 3예에서는 수술전날에 혈액투석을 하였다. 혈액투석을 받던 환자나 수술 후 급성신부전이 발생한 환자에서는 체액량 및 크레아티닌의 조절을 위해 수술 직후 복막투석을 시작하였다 결과: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보다 수술 후 크레아티닌치의 상승을 보였으며 퇴원 시에 수술 전 크레아티닌치로 회복되었다. 2.0mg/dL 이상의 크레아티닌치를 가진 환자 4예 중 2예와 혈액투석을 받던 3예에서는 수술 후 복막투석만으로 체액량과 크레아티닌치를 조절할 수 있었고 혈청 전해질치도 유지할 수 있었다 결론: 관상동맥우회술 후 일시적으로 크레아티닌치가 상승하며, 급성신부전이 발생한 환자나 수술 전 혈액투석을 받던 환자에서는 수술 후 복막투석만으로도 체액 량과 크레아티닌치의 조절이 가능하였다.

운동(運動)이 혈청(血淸) 지질(脂質) 및 뇨중(尿中) Creatinine과 Methylhistidine 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Exercise on Serum Lipids, Urinary Creatinine and 3-Methylhistidine in Human)

  • 송경희;최혜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7권4호
    • /
    • pp.305-312
    • /
    • 1984
  • The effect of exercise on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on urinary creatinine and 3-methylhistidine excretion was studied in eight healthy women, aged 21 to 25yr. Subjects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a 3-day experimental period, during which 1000 times rope-jumping a day were performed.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Urinary excretion of creatinine and 3-methylhistidine slightly increased after exorcise.

  • PDF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ly-related Blood Metabolites and Gastrointestinal Parasites in Nguni Goats of South Africa

  • Gwaze, F. Rumosa;Chimonyo, M.;Dzam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9호
    • /
    • pp.1190-1197
    • /
    • 2010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ecal egg counts and nutritionally-related blood metabolites in Nguni goats of South Africa. Body weights, body condition scores (BCS), FAMACHA scores, faecal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96 Nguni castrates. Faecal samples were analysed using the modified McMaster technique for nematodes and the sedimentation method for trematodes. Blood was analysed for packed cell volume (PCV), glucose, 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urea and creatinine. Season had an effect on glucose, globulin, total protein, creatinine, PCV and faecal egg counts (FEC). Globulin, PCV, creatinine and FE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wet season compared to the dry season. A quadratic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faecal egg count loads and BCS whilst negative linear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faecal egg counts and creatinine, albumin and cholesterol levels of Nguni goats.

크레아틴의 방해영향을 줄인 크레아티닌 바이오센서 (A Creatinine Biosensor with Reduced Interference from Creatine)

  • 구현우;권기학;임은혜;신재호
    • 전기화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9-255
    • /
    • 2012
  • 크레아티닌 센서의 생체시료 측정 시 가장 심각한 방해 작용을 발생하는 물질인 크레아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creatine kinase와 adenosine triphosphate를 사용한 두 번째 효소층을 도입하여 크레아틴에 대한 방해작용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또한 평면형 소형 크레아티닌 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탄소전극 표면에 Pt black(Pt-B)을 도입하여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기화학적 감응 특성을 증가시킨 스크린 프린팅 방식의 Pt-B/C 전극을 제작하였다. 최적화된 소형 크레아티닌 센서를 흐름계 카트리지에 장착하여 미지시료를 측정한 결과 5% 이내의 오차 범위 내에서 우수한 측정 정확성과 재현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노출평가를 위한 TLV 근거 - 2-BUTOXYETHANOL(8)

  • 김치년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379호
    • /
    • pp.9-16
    • /
    • 2019
  •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지수 설정에 필요한 자료는 상당수 존재한다. 다양한 실험실 및 직업적 현장연구는 2-butoxyethanol에 노출된 후 소변에서 butoxyacetic acid의 배설을 조사하여 생물학적 노출지수를 구축할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였다. 실험실 연구는 작업시간 동안보다는 짧은 시간을 노출시킨다. 휴식 중에 실시한 실험 자료들을 20ppm에 8시간 노출로 외삽하면 작업시작 종료 시점의 소변 중 butoxyacetic acid의 농도가 각각 192, 272, 190 mg/g creatinine이었다. 작업부하 30 watts와 50 watts의 연구 결과를 외삽하면 각각 304 butoxyacetic acid/g creatinine과 313 butoxyacetic acid/g creatinine이었다. 작업현장 연구는 소변을 가수분해시킨 후 총 butoxyacetic acid의 검출 범위가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외삽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1ppm 미만의 노출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피부 흡수의 가능성과 2-butoxyethanol의 상대적으로 낮은 휘발성을 감안할 때 현장 연구에서는 피부 경로가 흡입 연구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조사는 휴식을 취한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흡입 연구와 비교하면 소변 중 butoxyacetic acid 농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활용 가능한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휴식 시 2-butoxyethanol의 TLV-TWA 20ppm에 8시간 전신(흡입과 피부) 노출되는 경우 가수분해된 총 butoxyacetic acid가 210 mg/g creatinine이 예상되고 작업부하 50 watts에서는 373 mg/g creatinine이 예측된다. 50 watts의 작업량으로 20ppm에서 8시간 노출되는 경우 생물학적 노출지수(BEI)는 약 400 mg/g creatinine일 것이다. 그러나 생물학적 노출지수는 외삽에 대한 불확실성, 심각한 피부 노출 및 작업장 노출평가 자료의 부족을 반영하여 200 mg butoxyacetic acid/g creatinine으로 설정하였다. 인용한 자료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원 봉사자 연구와 시뮬레이션 연구의 자료들이 일치성이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butoxyacetic acid는 측정 가능한 양으로 존재하며 작업 교대 중에 검출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고 있다. Sakai 등의 연구 자료와 일부 모델링 자료에서 노출농도가 높은 경우 주중에 약간의 축적 가능성을 보고하였지만 작업장에서 일반적으로 노출되는 농도 범위에서는 누적이 예상되지 않으며 작업 종료 후에 소변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다수의 연구에서 소변 중 butoxyacetic acid 농도 수준의 개인 간 다양성을 보고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작업현장 연구에서는 2-butoxyethanol의 주변 환경 농도수준과 소변 중 butoxyacetic acid 수준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상호 연관성이 결여된 원인은 대부분 피부 노출의 영향으로 추정하였다. 개인 보호 장갑을 착용한 근로자들에게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 PDF

중증 화상에서 초기 수액치료 이후 소변량, 혈중젖산, 크레아티닌 수치 변화와 이에 따른 사망률 예측 (Serum Lactate, Creatinine and Urine Output: Early Predictors of Mortality after Initial Fluid Resuscitation in Severe Burn Patients)

  • 오세열;김도헌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20
  • Purpose: PL, creatinine and urine output are biomarkers of the suitability and prognosis of fluid therapy in severe burn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predicting mortality by biomarkers and its change during initial fluid therapy for severe burn patients. Methods: A retrograde review was performed on 733 patient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18 who were admitted as severe burn patients to our burn intensive care unit (BICU). Plasma lactate, serum creatinine and urine output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admission to the BICU and after 48 hours. ABSI score, Hangang score, APACHEII, revised Baux index and TBSA were collected after admission. Results: 733 patients were enrolled. PL was the most useful indicators for predicting mortality in burn patients at the time of admission (AUC: 0.813) and after 48 hours (AUC: 0.698). On the other hand, mortality prediction from initial fluid therapy for 48 hours showed different results. Only creatinine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P<0.05) in mortality prediction.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mortality prediction with PL and UO (P>0.05). Conclusion: In this study, PL was most useful predictor among biomarkers for predicting mortality. Improvement in creatinine levels during the first 48 hours is associated with improved mortality.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creatinine levels.

갑상선기능이상 환자에서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을 이용한 사구체여과율 검사결과의 상관성 연구 (A Correlation Analysis of Serum Creatinine Based eGFR and Serum Cystatin C Based eGFR with Thyroid Dysfunction Patients)

  • 임구;박형두;성호중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03-213
    • /
    • 2017
  •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과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을 측정하는 것은 신장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이다. 갑상선호르몬은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과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갑상선기능이상 환자에게서 신장기능평가에 대한 위의 두마커의 임상적 의미는 아직 명료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갑상선기능이상 환자에서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과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에 대한 갑상선호르몬의 영향과 상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442명의 갑상선기능저하 환자와 284명의 갑상선기능항진 환자를 대상으로 갑상선호르몬과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갑상선기능이상 환자들에서 갑상선호르몬과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이 갑상선호르몬과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보다 독립적으로 신장기능을 평가할수 있는 지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갑상선기능이상 환자에서 혈청 Cystatin C 기반 eGFR이 혈청 크레아티닌 기반 eGFR보다 정확하게 신장의 기능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인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어린이와 청소년의 요중 크레아티닌 농도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Creatinin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진헌;안령미;강희숙;최석남;홍춘표;김진경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1-299
    • /
    • 2012
  • Creatinine-adjustment is an important process in the urinary monitoring of the environmental exposur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creatinin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m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e recruited 1,025 persons from 128 extracted schools. They were from three to 18 years old and supplied urine samples for measuring creatinine.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creatinine were 98.18 mg/dl (SD, 67.67) in arithmetic mean and 72.05 mg/dl (GSD 2.49) in geometric mean,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male children/adolescents than females in all age groups, and higher values appeared following increasing ages, heights and BMIs. The rates of the number who were below the lowest limit recommended by WHO (<30 mg/dl) were 25.57% among three to four year olds, 21.77% among five to six year olds, 20.0% among seven to eight year olds and 14.69% among nine to ten year olds, respectively. The rates of those above the highest limit (>300 mg/dl) were 0.0% among three to twelve year old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are of the fitted regression model for urinary creatinine was 27.4% with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of sex, age, BMI and height. The significant variables among these were height (standardized beta = 0.372) and age (standardized beta = 0.129). Another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are was 15.3% with dietary habit variables of smoking, drinking, dining area, number of meals and snacks, and intake of milk food, cup-noodles, canned foods, popcorn, nachos, and hamburgers. In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of urinary creatinine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ildren than in adults, and was ver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eight of children. Therefore, children need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s for urinary creatinine, as distinguished from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