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ne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34초

펄스부하에 적합한 이차전지 연동형 선박 전력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ropriate ship power system for pulse load combine with secondary battery)

  • 오진석;이헌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8호
    • /
    • pp.962-968
    • /
    • 2013
  • 화석연료의 고갈에 따른 연료유의 가격상승과 세계온난화에 따른 그린하우스가스(Green House Gas, GHG)등의 문제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상운송사업은 연료의 소비를 줄이고 환경보호를 위해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선박(Green ship) 기술에 대하여 관심을 보이고 있다. 선박의 전력시스템은 안전한 운항을 위한 가장 주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이유로 선박 설계에 있어 대부분의 선박은 바우 스러스터(Bow thruster, B/T), 크레인 등의 장비사용에 따른 피크부하로 인하여 큰 용량의 발전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선박의 항해에 있어 대부분의 선박의 발전기는 저부하 운전구간에서 운전되게 된다. 50%또는 그 이하의 운전율인 저부하 운전에서는 발전기의 운전효율이 저하하게 되어 많은 연료유를 소비하며 발전기 수명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입출항이 비교적 많이 있는 컨테이너선박에 이차전지 적용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이차전지를 적용하여 항해 중 발전기 운전율을 높이므로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계화(機械化) 집재작업(集材作業)을 위한 노망정비(路網整備)에 관(關)한 연구(硏究)(II) - 적정임도간격(適正林道間隔) 및 임도밀도(林道密度) - (Studies on the Design of Forest Road Network for Mechanized Yarding Operations (II) - Optimal road spacing and density -)

  • 차두송;조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299-310
    • /
    • 1994
  •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군에 위치한 임업진흥촉진지역(林業振興促進地域)을 대상으로 총수확비용(總收穫費用)(임도개설비(林道開設費)+집재비(集材費))을 최소화하는 양방향(兩方向)-단계집재(段階集材) 및 이단계집재(二段階集材)를 위한 적정임도간격(適正林道間隔) 및 임도밀도(林道密度)를 산출하였다. 이때의 임도개설비(林道開設費)는 km당 천만원부터 6천만원까지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방향(兩方向)-단계집재(段階集材)에서는 케이블 크fp인이 적합하며, 적정임도간격(適正林道間隔)은 1,698m~4,192m,평균 3,087m이며, 임도밀도(林道密度)는 3.44m/ha~8.44m/ha, 평균 5.12m/ha로 산출되었다. 양방향(兩方向)-이단계집재(二段階集材)에서 중지형(中地形)은 중형집재기와 로깅부기의 조합기종이 적합하며 임도간격(林道間隔) 1,483m~3,481m, 평균 2,589m로서, 임도밀도(林道密度)는 4.05m/ha~9.46m/ha, 평균 5.90m/ha로 산출되었다. 또한 급지형(急地形)은 중형집재기와 진성윈치의 조합기종이 적합하며, 임도간격(林道間隔) 1,693m~3,982m, 평균 2,960m로서, 임도밀도(林道密度)는 3.68m/ha~8.64m/ha 평균 5.38m/ha로 산출되었다.

  • PDF

설하신경마비를 동반한 설골골절: 증례보고 (Hyoid Bone Fracture Associated with Hypoglossal Nerve Palsy: A Case Report)

  • 김신락;박진형;한예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99-202
    • /
    • 2011
  • Purpose: Hyoid bone is a U-shaped bone in the anterior of the neck. Hyoid bone fractures are exceedingly rare and represent only 0.002% of all fractures because of its protective position relative to the mandible and its suspension by elastic musculature. We report a patient who presented hyoid bone fracture associated with hypoglossal nerve palsy. We also discuss the possible complication and treatment. Methods: A 69-year-old man was transferred from another institution because of persistent purulent discharge from the left chin. He had a history of trauma in which a knuckle crane grabbed his face and neck in the construction site. A CT sca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demonstrated a comminuted fracture of the right side of the mandible and hyoid bone fracture at the junction between body and right greater cornua. The displaced fracture of hyoid bone and fullness in the pre-epiglottic space were noted, probably indicating some edema. The patient was transferred into ICU after treatment of emergency tracheostomy because the patient showed respiratory distress rapidly. When the patient was hospitalized in our emergency room, he complained of dysphagia and pain when swallowing. On examination of oral cavity, the presence of muscle wasting with fasciculation of the tongue was noted and the tongue deviates to the left side on protruding from the mouth. Pharyngolarygoscopy was performed to make sure that there was no evidence of progressive swelling and pharyngeal laceration. Results: The patient underwent surgical removal of dead and infected tissue from the wound and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bony defect by iliac bone grafting. Hyoid bone fracture was managed conservatively with oral analgesics, soft diet and restricted movement. Hypoglossal nerve palsy was resolved within 7 weeks after trauma without complications. Conclusion: Closed hyoid bone fracture is usually uncomplicated and thus it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Surgical intervention for hyoid bone fracture is recommended for patient with airway compromise, pharyngeal perforation and painful symptoms which show no response to conservative care. Furthermore, sinc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may develop quickly, close observation is required. Besides, hypoglossal nerve palsy is a rarely recognized complication of hyoid bone fracture.

자기조직화지도 신경망을 이용한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의 클러스터링 측정소고 (A Brief Clustering Measurement for the Korean Container Terminals Using Neural Network based Self Organizing Maps)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3-6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내와 외국에서 선행된 항만분야의 SOM신경망을 이용한 클러스터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간략하게 검토하였으며, 또한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8곳의 3년간(2002년, 2003년, 2004년)자료를 이용하고, 4개의 투입물[종업원수(명), 부두길이(m), 부지면적(평방m), 갠트리크레인 대수(대)])과 1개의 산출물[년간 컨테이너 처리실적(TEU)]을 이용하여 DEA방법 및 SOM신경망을 이용한 클러스터링으로 실증분석하는 방법을 보여주었으며, 그 결과가 갖는 현실적인 의미와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주요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EA분석결과에 의하면, 각 터미널의 참조터미널들이 감천터미널을 제외하고 지리적으로 근접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클러스터형성이 가능하며, 시너지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양터미널들은 지리적으로 멀지만, 감만, 우암터미널들과 클러스터를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OM신경망을 이용한 클러스터링분석결과를 보면, 클러스터 1, 클러스터 2, 클러스터 3에 위치함 감만터미널, 클러스터 4에 위치하고 있는 허치슨터미널과 신선대터미널, 클러스터 5에 위치한 15개의 터미널들이 나름대로 클러스터링에 대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DEA기법에 의한 참조터미널들에 의한 클러스터링과 SOM신경망에 의한 클러스터링 사이에서는 약67% 수준에서 일치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인 함의는 첫째, 컨테이너터미널에 대한 정책입안자는 북항에 속한 자성대, 우암, 신감만, 감만 터미널은 터미널운영을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클러스터링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부두운영사의 숫자를 줄여나가는 정책을 강제적으로 입안하여 시행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이다. 둘째, 부산북항에 위치한 터미널들의 최대약점은 터미널마다 부두운영사가 서로 달라서 화주들에게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년간 물동양의 44%가 환적화물임을 감안해 보았을 때, 북항의 컨테이너 터미널들은 향후 신항과의 화물수주경쟁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클러스터링을 하는 정책을 도입해야만 한다.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실시간 위치추적시스템 연구 (A study of ubiquitous-RTLS system for worker safety)

  • 김영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1C호
    • /
    • pp.1-7
    • /
    • 2012
  • 산업현장에서는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공정 과정에 자동화를 진행하고 있지만 전 공정에 자동화를 구축하기 어려운 반자동화 공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은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Ubiquitous-Wireless Sensor Network(이하 U-WSN) 기반 위치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두 디바이스 사이의 거리를 측청하고, 3차원 삼각측량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계산 할 수 있지만 무선 신호는 철과 구조물이 많은 산업현장에서는 신호의 반사, 멀티패스 등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한 위치를 찾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첫째, 작업현장에 적합한 원형편파 패치 안테나를 적용한 Line Of Sight(이하 LOS)에서 안테나 방사 패턴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오차를 개선한다. 둘째, 3차원에서 위치를 계산 할 수 있는 3차원 위치계산 방법과 필터링 알고리즘을 활용한 위치 정확도를 개선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항만부두 크레인에 적용하여 정확성 및 실효성을 검증 하였고 본 시스템은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 애아이노각다귀, Tipula latemarginata Alexander, (파리목, 각다귀과)의 생활사 (Life Cycle of Tipula latemarginata Alexander (Diptera: Tipulidae) in Korea)

  • 김동상;이종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9-114
    • /
    • 2005
  • 한국산 애아이노각다귀(Tipula latemarginata Alexander)의 생활사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봉화군 내성천 유역의 2개 지점에서 야외 실험을 실시하였고, 같은 기간 실험실에서 사육 실험도 병행하였다. 애아이노각다귀는 실험실에서 실온으로 사육하면, 1년에 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 9월에 산란된 알을 실험실에서 부화시켜 다음 해 3월까지 실온에서 사육했을 때, 이 종의 생활사 전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알은 산란된 후 보통 $4\~10$일에 부화되었으며, 부화한 유충은 3령기까지는 왕성하게 섭식하며 빠르게 자랐고, 1령 유충 기간은 $7\~9$일, 2령기 $5\~7$일, 3령기 $8\~12$일 정도였으나, 4령기는 6주에서 5개월이 소요되었다. 4령 유충 기간은 월동으로 인해 봄과 여름에 사육할 때 보다 그 기간이 훨씬 길게 나타났다. 용 기간은 $6\~10$일 정도였다. 애아이노각다귀는 야생 상태에서도 서식 환경이 좋은 곳에서는 1년에 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작업 안전을 위한 수신호 통일지침 마련에 관한 연구(1) - 선박의 수신호 체계 표준화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A Study on Harmonized Hand Signal Standards for Shipboard Work Safety (1): A Validity Analysis of Ship Hand Signal Standardization)

  • 김주환;조민철;김용남;최충정;김화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55
    • /
    • 2017
  • 본 연구는 수신호 통일지침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로 선박작업시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수신호 체계의 활용가능성과 표준화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실증연구에 앞서 선박안전관리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신호 활용가능성이 있는 선박작업활동을 분류하고, 이러한 작업활동 하에 작업자의 수신호 활용의사와 제도적 표준화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t-검정, 상관관계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근무형태(선원/육상선박 안전관리감독)와 근무환경(갑판부/기관부)에 관계없이 수신호 소통이 가능한 작업활동에서는 표준화된 수신호 체계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적극 수용할 의사가 있었다. 또한, 주어진 선박작업활동 종류에 따라 응답자의 수신호 활용빈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표준화 선호도와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로 응답자의 수신호 활용빈도가 높은 크레인 운용, 윈드라스 윈치 운용, 삭류 이동/전달, 화물창 운용 등 항만내 작업활동들을 우선순위로 수신호 통일지침을 설계한다면 선박작업자간 의사소통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확률프론티어분석을 통한 국내컨테이너 터미널의 효율성 측정방법 소고 (A Brief Efficiency Measurement Way for the Korean Container Terminals Using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87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내와 외국에서 선행된 항만분야의 SFA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간략하게 검토하였으며, 또한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8곳의 3년간(2002년, 2003년, 2004년)자료를 이용하고, 4개의 투입물[종업원수(명), 부두길이(m), 부지면적(평방m), 갠트리크레인 대수(대)])과 1개의 산출물[년간 컨테이너 처리실적(TEU)]을 이용하여 SFA 및 DEA측정방법으로 실증분석하는 방법을 보여주었으며, 양자의 효율성 순위를 스피어만의 상관분석을 통해 검증하여 보았다. 주요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정규분포를 갖는 기술적 비효율성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반정규분포를 갖는 기술적 비효율성효과가 존재한다는 대립가설을 채택함으로써 전통적인 평균반응함수(average response function)가 자료를 적절히 표현하지 못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트랜스로그모형에서는 검정통계량이 19.12로 이 값은 유의수준 0.5%에서 자유도 6을 가진 혼합카이자승분포의 임계치 16.074보다 크므로 유의미하다. 둘째,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콥더글러스모형과 트랜스로그모형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우리나라의 컨테이너터미널의 기술적 효율성을 살펴보면 콥더글러스모형에서는 평균 73.49%, 트랜스로그모형에서 평균은 79.04%를 나타냈다. 따라서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의 기술적 효율성은 약간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즉, 한국컨테이너터미널들은 생산요소를 생산변경(production frontier)에 어느정도 근접한 생산량을 산출하도록 약간 높은 효율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컨테이너터미널을 관리운영하는 과정에서 비효율적인 요소가 어느 정도 존재하지만, 규모에 대한 수익체증(increasing returns to scale)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국내 컨테이너터미널들이 기술적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화물처리량을 높혀야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DEA효율성수치에 의한 순위와 SFA효율성 수치에 의한 순위상관분석에서는 높은(84.45%) 순위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인 함의는 항만운영에 관여하는 정책입안가들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SFA모형을 항만의 기술적인 효율성 측정에 도입하는 한편, 기술적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컨테이너화물의 처리량(TEU)을 높이는 방법을 도입해야만 한다.

항만 양하 크레인의 성능 개선에 따른 이해관계자들의 비용 절감 효과 분석 - 여수 벌크 터미널 중심으로 - (Analysis of Cost Saving Effect on Stakeholders according to Performance Improvement of Harbor Cranes - The Yeosu Bulk Terminal)

  • 박상국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7-109
    • /
    • 2017
  • 터미널 운영사(TOC) 입장에서 하역 크레인의 교체는 하역 성능의 향상을 통해 매출 및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투자 결정을 진행한다. 또한, 이러한 투자결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결정에 대하여 항만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요하나, 항만의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에서는 당사자들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가 분명할때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될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역장비의 교체가 진행되었을 때에 항만 이해관계자들이 얻게 되는 직 간접적 비용 절감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여수항의 벌크 터미널에서 하역장비 교체에 따른 4년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접적인 효과로 선박 용선료 3,649.6백만원, 항만시설이용료 1,528.8백만원, 연료비 1,383.4백만원을 포함하여 총 6,561.8백만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간접적인 효과로는 환경오염비용 2,134.8백만원 및 화물 재고비용 972.2백만원을 합쳐서 총 3,107.0백만원의 절감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TOC의 하역장비 교체는 항만의 이해관계자인 선사, 화주 및 정부 모두에게 비용적인 측면과 다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TOC가 하역장비의 교체를 추진함에 있어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근거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루미류 취식지역의 공간적 분포 및 서식밀도와 잠자리, 도로, 인가지역과의 관계 (Spatial Distribution of Feeding Si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Roosting Site, Road and Residence) of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 유승화;권혁수;박종준;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6-525
    • /
    • 2011
  • 본 연구는 두루미류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환경요인(잠자리, 도로, 인가)의 영향범위와 영향력을 평가한 것이다. 조사는 2007년 1월에서 2월까지 4회에 걸쳐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분포를 거리측정기와 GPS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두루미류의 서식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된 지역은 총 $76.9km^2$였으며, 두루미 Grus japonensis 와 재두루미 Grus vipio 555개 무리의 분포위치를 수집한 후 환경요인과의 거리별 밀도를 분석하였다. 두루미류의 취식분포는 특정지역에 밀집한 분포를 보였으며, 인근지역에서 취식하는 두루미류 취식무리 간의 개체수는 공간적자기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루미류의 취식무리수 밀도는 잠자리와의 거리에 따라 상관이 없었다. 하지만, 포장도로와 인가지역은 가까울수록 서식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포장도로의 경우 1,500m 에서 밀도 변곡점을 보였으며, 인가지역으로 부터 취식밀도는 1,750m 에서 밀도 변곡점을 보였다. 잠자리와 취식지간의 거리별 밀도변화는 취식무리수 밀도에서만 확인할 수 없었다. 포장도로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두 종의 취식무리수 밀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개체수밀도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인가와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취식무리 밀도와 개체수밀도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양상을 나타내었다. 잠자리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두루미는 취식무리 밀도와 개체수밀도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재두루미의 경우 증감의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