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mbida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Lepidopterous Insects Composition in Jindo Island, Korea in Summer

  • Lee, Hyung-Keun;Kim, Do-Sung;Jeon, Yong Lak;Yoon, Hee-Nam;Lee, Jung-Hyo;Park, Seong-J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9호
    • /
    • pp.51-72
    • /
    • 2016
  • We surveyed the biodiversity of lepidopterous insects in Jindo Island using UV bucket trap in July 2016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cosystem in order to contribute to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oastal islands in Korea. Based on our survey results, a total of 262 lepidopterous insect species in 16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Jindo Island. Members belonging to families Noctuidae and Geometridae made up approximately half of the total species (86 species [32.82%] in Noctuidae and 44 species [16.79] in Geometridae). There were 29 species (11.07%) belonging to Crambidae and 28 species (10.69%) belonging to Pyralidae. As a result of all collection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nd this study, a total of 730 species belonging to 34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Jindo Island, including 33 protected species, 242 species (33.15%) belonging to Noctuidae (the most abundant), 124 species (16.99%) belonging to Geometridae, 79 species (10.82%) belonging to Crambidae, and 65 species (8.90%) belonging to Pyralidae.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species was Lamoria glaucalis in this syudy. Our results on the diversity of lepidopterous insects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investigation on diverse changes in the ecosystem of Jindo Island, Korea.

한국산 맵시벌과(벌목) 3종의 새로운 숙주 보고 (New Host Records of Three Ichneumon Flies (Hymenoptera: Ichneumonidae) from South Korea)

  • 강규원;김성수;최진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89-9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맵시벌과 3종 (운문점박이납작맵시벌, 잎말이나방살이뭉툭맵시벌, 안경꼬마자루맵시벌)의 새로운 숙주를 보고하고자 한다. 새로운 숙주는 각각 자나방과, 잎말이나방과, 풀명나방과에 속하며, 이 중 자나방과와 풀명나방과는 각각 쌍점박이납작맵시벌속, 안경꼬마자루맵시벌속의 숙주로써 처음으로 기록된다. 여기에 맵시벌과 3종의 간략한 특징과 우화된 표본의 사진, 숙주의 성충 사진을 제공하였다.

이화명나방(나비목: 포충나방과) 유충 사육을 위한 인공사료 (An Artificial Diet for Rearing of Chilo suppressalis (Lepidoptera: Crambidae) Larvae)

  • 정진교;김이현;김은영;서보윤;문윤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73-477
    • /
    • 2021
  • 벼 해충인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포충나방과) 유충을 사육하기 위해 맥아, 콩, 옥수수, 효모, 설탕, 카세인, 콜레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거대억새 건조 가루를 주 영양성분으로 구성한 인공사료를 개발하였다. 25℃와 광주기 15:9 시간 명:암 조건에서 갓부화 1령 유충을 개체별로 성충 우화 때까지 사육하였을 때, 용화율이 82.2%, 우화율이 98.6%였다. 유충 발육기간은 암컷이 평균 34.6일, 수컷이 31.0일이었고, 번데기 기간은 암컷이 8.9일, 수컷이 9.7일로 성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번데기 무게는 암컷이 평균 75.0 mg, 수컷이 57.0 mg으로 암컷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무거웠다.

Six Unrecorded Species of Micro-moths (Lepidoptera) from Korea

  • Koo, Jun-Mo;Lee, Kang-Won;Kim, Jae-Dong;Cho, Soowon;Park, Kyu-Te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1호
    • /
    • pp.35-40
    • /
    • 2020
  • From a result of surveys on the biodiversity monitoring for moths in Korea, six species of micro-moths that were never known from Korea are reported here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country. They are: Udea pseudocrocealis(South, 1901) of the family Crambidae, which has been known as endemic to Japan; Epinotia albiguttata (Oku, 1974) of the family Tortricidae, which was known belonging to Hikagehamakia Oku, 1974; and four species of the family Gelechiidae: Protoparachronistis concolor Omelko, 1986 and P. discedens Omelko, 1986, which were described from Primorisk, Russian Far East; Thiotricha pancratiastis Meyrick, 1921, which is known from Isl. Jejudo, and Thiotricha sp. which is being described in a separate paper. Here we provide images of adults and genitalia for the unrecorded species with a brief diagnosis.

Taxonomic Study of the Subfamily Lycorininae (Hymenoptera: Ichneumonidae) from Korea

  • Choi, Jin-Kyung;Cha, Jin-Yeol;Lee, Jong-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0권1호
    • /
    • pp.49-54
    • /
    • 2014
  • Korean species of the subfamily Lycorininae Cushman & Rohwer are reviewed. This subfamily along with three species, Lycorina triangulifera Holmgren, 1859, L. spilonotae Chao, 1980, and L. ruficornis Kasparyan, 2007,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In this genus, five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the Eastern Palaearctic region, six species from China and two species from Japan. Some species of this subfamily is known as parasitoids of Crambidae and Tortricidae. We report three newly recorded species from Korea, Lycorina triangulifera, L. spilonotae, and L. ruficornis, and provide diagnoses with photographs of lycorinine species and a key to the Korean species.

콩명나방의 성페로몬 생합성 (Sex Pheromone Biosynthesis in the Legume Pod Borer, Maruca vitrata (Lepidoptera: Crambidae))

  • 차욱현;박정준;이대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9-34
    • /
    • 2022
  • 나방류의 페로몬 생합성은 식도아래 신경절에서 생산된 페로몬 생합성 촉진 신경펩타이드(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의 분비로부터 시작된다. 분비된 PBAN은 페로몬샘의 상피세포막에 있는 PBAN 수용체와 결합하고, 신호전달과정을 거쳐 페로몬 생합성과정이 활성화되어, 페로몬이 외부로 방출된다. 본 종설은 콩명나방(Maruca vitrata)의 성페로몬, PBAN과 수용체, 성페로몬 생합성 경로를 소개한다.

중국 동북부 지역에서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Crambidae) 2화기 성충 발생 시기 추정 (Estimation of the Second Flight Season of Chilo suppressalis (Lepidoptera: Crambidae) Adults in the Northeastern Chinese Areas)

  • 정진교;김은영;양운호;이석기;신명나;양정욱;구홍광;김동순;박금;왕계춘;주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335-347
    • /
    • 2022
  • 중국 동북부지역 랴오닝성의 단둥(40°07'N 124°23'E)과 지린성의 궁주링(43°30'N 124°49') 및 룽징(42°46'N 129°26'E)에서 2020년과 2021년 벼 재배기간 중에 성페로몬트랩으로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나비목: 포충나방과)의 성충 발생 시기를 조사하였다. 1화기 성충은 5월 중순부터 7월 하순 사이, 2화기 성충은 7월 중순부터 9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여 세 지역 모두 연중 2회 성충 발생양상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위도가 높은 지역에서 발생시기가 더 늦었다. 각 지역에서 관찰된 1화기 발생 시기를 기준으로 발생 시기 모델링을 통해 2화기 발생 시기를 추정하고 관찰된 시기와 비교하였다. 네 개의 선행연구 자료로부터 성충, 알, 유충, 용 발육단계의 온도의존 생명현상(발육속도, 발육완성분포, 생존율, 성충 노화율, 총산란수, 산란완성분포, 성충 생존완성분포) 모델들을 수집하거나 작성하였고, 이들을 선행 연구에 따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곤충 발생 시기 추정 소프트웨어인 PopModel에서 결합하였다. 모델링 결과에서 유충 발육기간이 짧게 관찰된 선행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된 모형들이 2화기 성충 발생 시기를 더 근접하게 추정하였다. 2021년에는 단둥과 룽징에서 성충 조사 시기에 맞추어 이화명나방에 의한 벼 피해주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피해주율은 벼 재배기간 중 누적되어 2번의 증가시기가 뚜렷하게 나타났고, 이화명나방의 각 세대 유충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