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Mo 강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31초

Mod.9Cr-1Mo 강 구조의 크리프-피로 균열 거동 평가법 개발 (Development of Assessment Methodology on Creep-Fatigue Crack Behavior for a Grade 91 Steel Structure)

  • 이형연;이재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호
    • /
    • pp.103-1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의 RCC-MR A16 절차에 기초하여 Mod.9Cr-1Mo 강(ASME Grade 91) 구조의 크리프-피로 균열 개시 및 성장 평가법을 확장 개발하였다. 현재의 A16 지침은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에 대해서만 크리프-피로 균열 개시 및 성장 평가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현재 초초임계(USC) 화력발전소는 물론 미래형 원자로 시스템의 구조재료로서 폭넓게 채택되고 있는 Mod.9Cr-1Mo 강에 대한 지침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MS(페리틱-마르텐사이트강)에 대한 크리프-피로 균열 개시 및 성장 평가법을 제시하고 있고, 구조물에 대한 크리프-피로 균열 거동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결과는 구조시험을 수행한 결과 얻은 관찰 이미지와 비교하였다.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2.25Cr-1Mo 강 열화재의 미세조직 및 연성-취성천이온도 평가 (Evaluation of Microstructure and Ductile-Brittle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rmally aged 2.25Cr-1Mo Steel by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 박재원;권숙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4-291
    • /
    • 2002
  • 전기비저항법을 이용하여 2.25Cr-1Mo 강의 경년열화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25Cr-1Mo 강이 $540^{\circ}C$에서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일어나는 미세조직 변화를 모사하기 위해 인공 열화를 실시하였으며 열화에 따른 미세조직 인자 (고용원소의 함량), 기계적 성질 (연성-취성 천이온도 ),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여 이들간의 상호관계를 구하고자 하였다. 열화재에서는 기지내의 고용 원소 (Mo 와 Cr)의 고갈이 나타났다. 연성-취성 천이온도는 열화 초반부에 급격히 증가 후 포화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전기비저항은 열화 초반부에 급격히 감소 후 포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즉, 열화 시간에 따른 연성-취성 천이온도의 변화 경향과 전기비저항의 변화는 서로 반대적으로 변화하는 관계를 나타내었다.

기계재료로 쓰이는 내열강재의 현황

  • 신민교
    • 기계저널
    • /
    • 제26권4호
    • /
    • pp.284-289
    • /
    • 1986
  • 이들 기기, 장치는 대부분 철강재가 그 근간을 이루고 있지만, 특히 고온부를 형성하는 부재는 내열용 철강과 합금이다. 강을 모재로 하고 고온에서의 강도유지를 위하여 유용한 소랴의 Cr, Mo 등을 합금시킨 저합금내열강이 1차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사용조건이 고도화 되면서 이들 합금성분 량이 늘어나 주로 Cr 성분을 증가시킨 고 Cr 페라이트계, 그리고 Ni 성분을 다량으로 첨가한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이 제 2차, 제 3차대상이 되어 연구 발전되어 왔다. 그 사용한계는 사용 가스등 환경의 영향과 고온의 크리이프나 피로, 파괴에 대한 저항성등에 크게 좌우되지만, 대개 2.25Cr-1Mo 강의 저합금강에서 $550^{\circ}C$, 9~12% Cr인 페라이트계 내열강에서 $^650{\circ}C$ 까지가 한도이며 그 이상온도에서는 오스테나이트계 내열강이 고려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 같다. 이들 고온부에 사용되는 철강 재료를 중심으로 최근의 동향을 주로 금속학적 입장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 PDF

Cr-Mo계 이종재질간 용접부의 미세조직 및 기계적성질 (Metallurgical 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Weldments of Dissimilar Cr-Mo Steels)

  • 지병하;김정태;박화순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1996년도 특별강연 및 추계학술발표 개요집
    • /
    • pp.42-44
    • /
    • 1996
  • 이종재료인 2$\frac{1}{4}$Cr-1Mo강과 12Cr-1Mo-V계 강의 용접부의 용접성에 대하여 모재계열의 용접재료와 Inconel계의 용접재료를 사용하여 야금학적인 관점으로부터 미세조직적 특성 및 기계적성질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실험범위에 의하면, 내부결함, 균열 등의 용접결함을 발생하지 않는 양호한 용접부를 얻을 수 가 있었다. (2)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미세조직의 관찰에 의하면, Inconel계의 용접재료를 제외한 모재계열의 용접재료를 사용하였을 경우, 용융경계부 근방에서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백색의 밴드상이 형성되었다. (3)백색밴드상의 형성부는 인장변형에 의하여 국부적인 수축변형을 일으키나, 파단은 2$\frac{1}{4}$Cr-1Mo강의 모재에서 발생하였으며, 거시적인 인장성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적층공정법으로 제작된 CoCrMo 합금의 복합열처리 효과 (Complex heat-treatment effects on as-built CoCrMo alloy)

  • 이정일;김형균;정경환;김강민;손용;류정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250-25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3D-프린팅 적층 공정으로 제조한 인공관절용 CoCrMo 합금 소재의 HIP 처리를 포함한 복합열처리 후 소재의 인장특성, 내마모 특성 등의 기계적 특성과 결정구조 및 미세조직 등의 재료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내부마이크로 기공을 제거하기 위한 HIP 열처리와 금속탄화물 생성을 위한 상압열처리 및 금속탄화물의 균질화를 위한 용체화 열처리를 거치는 복합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인공관절 소재로서의 특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3D-프린팅 적층 공정으로 제조한 인공관절용 CoCrMo 합금 소재의 복합열처리 효과는 HIP 공정중의 치밀화 과정, 상압열처리 중의 금속탄화물 생성 및 용체화 열처리 과정중의 금속탄화물의 균질화 효과임을 XRD, FE-SEM, EDS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Spherical Indentation Testing에 의한 1Cr-1Mo-0.25V 강의 기계적 물성 평가 (Spherical Indentation Testing to Evaluate Mechanical Properties In 1Cr-1Mo-0.25V Steel)

  • 이종민;남영현;남승훈;이승석;이억섭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266-271
    • /
    • 2001
  • Spherical indentation technique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flow properties of metallic materials in carbon steel, stainless steel and alloys, etc. Through the spherical indentation test, differently degraded 1Cr-1Mo-0.25V steel's mechanical properties were observ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standard test data. The flow properties of 1Cr-1Mo-0.25V steels were estimated by analyzing the indentation load-depth curve. To characterize the flow property, we used material yield slope and constraint factor index rather than strain-hardening exponent because the variation of strain-hardening exponent was very little and the data showed irregularly. And the constraint factor's effect was small when the material yield slope was taken into account.

  • PDF

Cr-Mo 합금강의 후열처리 균열 감수성 평가 (Evaluation of PWHT cracking susceptibility of the Cr-Mo steel alloys)

  • 김상진;김기수;이영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00-210
    • /
    • 2006
  • 초기 응력부식균열에 대한 감수성 평가 시험법인 C링 시험법(C-ring Test)은 용접부의 후열처리 균열감수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으로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C링 시험법은 실제 용접부 열영향부에 노치를 제작하여 잔류응력이 열영향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C링 시험법을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 압력용기에 사용되는 Co-Mo강의 용접부 결함 발생 현상을 검토 하고자 Co-Mo강에 대하여 후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C링 시험법을 통하여 용접 열영향부의 후열처리 균열을 평가하고자한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바나듐 모디파이 합금(AMAX 3Cr-1Mo­-0.1V, JSW 3Cr-­1Mo-­V-­Ti-­B 및 JSW $2\frac{1}{4}Cr$-1Mo-­V-­Ti-­B강)은 Berkeley $3Cr-1\frac{1}{2}Mo-\frac{1}{2}Ti$$2\frac{1}{4}Cr$-­1Mo합금강보다 후열처리 균열에 대한 감수성 보다 높게 나타났다. C-ring 시험에 있어서 바나듐 모디파이 합금은 2종의 후열처리조건과 3종의 응력조건에서 모두 균열을 나타냈으나 Berkeley $3Cr-1\frac{1}{2}Mo-\frac{1}{2}Ni$강과 Luken $2\frac{1}{4}Cr-1Mo0.1C$재료는 690MPa와 더 이상의 응력조건에서 2종의 후열처리를 실시하는 조건에서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 C-ring 시험결과, 균열깊이는 바나듐 모디파이 재료인 경우, 낮은 후열처리온도와 비교해서 높은 후열처리온도인 경우가 감소하고 있다. C-ring 시험에 대한 SEM분석결과 균열은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계를 따라 파괴되는 파괴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연성파면은 나타나지 않았다.

압력용기용 Mn-Ni-Cr-Mo강에 대한 ${\gamma}$계 스테인레스강/Inconel 690 오버레이 용접부의 균열현상 및 그 방지에 대한 연구 (Cracking and Its Prevention in Overlay Welds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s/Inconel 690 on Mn-Ni-Cr-Mo Steel for Reactor Pressure Vessel)

  • 신용범;양병일;고경백;박광식;박화순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0년도 특별강연 및 추계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211-213
    • /
    • 2000
  • PDF

Cr-Mo 강과 Cr 강의 J-R곡선의 측정 및 응용 (Measurement and Application of J-R Curves of Cr-Mo Steel and Cr Steel)

  • 안승균;허용학;박재학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328-332
    • /
    • 2000
  • Following the method described in ASTM E1737, J resistance curves are measured for Cr-Mo steel SA387, and Cr steel A240 which are used as piping materials in nuclear industry. Crack driving force diagrams are generated in order to find out instability points in crack growth. The $J_{appl}$ curves, which are used in the crack driving force diagram, are obtained from EPRI J estimation method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Crack growth instability points are plotted in load-crack length plane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