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erage Planning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33초

상세 공간정보를 활용한 국지기온 분석 개선 - 서울 은평구 뉴타운을 사례로 - (Improvement of Air Temperature Analysis by Precise Spatial Data on a Local-scale - A Case Study of Eunpyeong New Town in Seoul -)

  • 이채연;안승만;김규랑;최영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4-158
    • /
    • 2012
  • 도시의 국지기후 분석에 충분한 공간해상도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이를 지원할 정밀한 공간정보가 필요하다. 1~4m 해상도의 항공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자료와 KOMPSAT-2(Korea Multi-Purpose Satellite-2)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초고해상도(5m) 입체적 지형 지면 토지피복 모델을 개선하였다. CAS(Climate Analysis Seoul)를 이용하여 도시내부의 지표면 속성비율과 건물의 밀집도 높이 면적에 따른 열적용량과 국지규모 기온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정밀도 향상 결과가 국지규모 기온 분석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개선이전 및 이후 국지기온 분석 결과와 ASTER 위성영상 지표면온도 및 지상 기온관측 자료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선이후 국지규모 기온분석 결과와 ASTER 지표면온도 비교시, 건물(BS)지역에서 높은(R=0.76)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지상 기온관측과의 비교에서도 그 편차가 개선이전 1.27K보다 개선되어 0.70K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초고해상도 공간정보가 현실을 잘 반영할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상세한 기온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도시 개발 계획 시나리오에 대한 상세도시기후 예측 및 분석에 본 연구의 정밀한 지형 지면 토지피복 모델 기술 등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GIS 기반 연안 용도해역 적성평가 방안 (GIS-Based Suitability Assessment Plan of Coastal Zoning System)

  • 이근상;임승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5-8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연안용도해역제 법제화에 따른 실질적인 용도해역 분류에 필요한 GIS 기반의 연안해역 적성평가 모형을 개발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역과 관련된 여러 가지 법규, GIS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활용시스템을 조사하였다. 또한 용도해역 적성평가 지표들을 계산하기 위한 GIS 분석 모델은 격자자료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물리적 특성을 비롯한 해역 및 공간적 입지특성을 구성하는 지표들을 계산하기 위한 격자 기반의 분석 기법을 제시하였다. 지표들의 임계치는 연안관련 법규와 토지적성평가에서 제안된 기준들을 이용하여 제시하였으며, 특히 GIS 자료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퍼지함수와 같은 연속적인 형태의 산정 기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점수를 이용하여 적성등급을 구분하고, 이로부터 보전관리우선해역, 이용관리우선해역 그리고 계획관리우선해역을 지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안 용도해역 적성평가 모형이 실무에 적용될 때, 대상지역의 공간적 범위와 GIS 데이터베이스를 고려한다면 매우 효과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GIS 기반 경기도 광역영역의 부지지진응답 특성 및 연계 지진 취약지역 분석 (Regional Assessment of Seismic Site Effects and Induced Vulnerable Area in Gyeonggi-do, South Korea, Using GIS)

  • 김한샘;선창국;조형익;남지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9-35
    • /
    • 2018
  • 최근 경주지진과 포항지진과 같이 중규모 이상 지진이 빈번이 발생함에 따라 피해기능성이 커질 수 있는 중서부 도시 지역들에 대한 종합적 지진재해 대책 수립의 필수기본 정보인 지역적 부지고유 지진응답 공간정보 예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정량적 부지고유 지반응답 특성 파악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대상 확장영역 내 전략적 지반조사 자료의 확보 및 연계적 부지특성 파악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진취약지역 도출 및 부지고유 지진응답특성 분석을 위한 위사결정 프레임웍을 제시하였다. 시추조사 자료 및 수치표고모델 등의 지표피복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지반지진공학적 연계활용을 위한 GIS 플랫폼 기반의 Geo-Data를 구축하였다. 지구통계학적 공간보간 기법의 최적화 설계를 통해 지층분포 특성 및 연계 취약도 성분 도출을 위한 지반 공간그리드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진지반응답 매개변수의 공간구역화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경기도 지역의 정량적 부지효과를 고려한 경기도 맞춤형 지진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기저 정보로서 활용하였다.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 서식하는 양서류와 파충류 개체군 특성 (Characteristics of Amphibian and Reptile Populations in a Coniferous Plantation and a Deciduous Forest)

  • 박창득;손승훈;황현수;이우신;이은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147-151
    • /
    • 2014
  • 본 연구는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서 양서류와 파충류의 개체군 특성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7월부터 9월까지 강원도 홍천군 일대의 국유림에서 실시되었다. 임상별 산림의 수직구조를 파악한 결과, 관목층(1~2 m)과 아교목층(2~8 m), 수관층(20~30 m)의 엽층별 피도량은 침엽수림이 활엽수림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으나, 흉고직경분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에 각각 2개 조사구, 총 4개 조사구 내에서 월별 1회씩 총 12번의 선형횡단조사를 통해 양서류는 4종 52개체, 파충류는 3종 11개체가 확인되었다. 임상에 따른 양서류와 파충류의 평균 종수와 개체수, 평균 종다양도 차이를 파악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상별 각 종의 평균관찰 개체수를 파악한 결과, 청개구리는 침엽수림에서만 관찰되었고 도롱뇽과 아무르장지뱀, 대륙유혈목이는 활엽수림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임상에 따른 양서류와 파충류의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이고 정밀한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공지 기저 국소 피판을 이용한 회음부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Defect in Perineum using Local perforator based flap)

  • 이주홍;윤인식;이동원;이원재;나동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65-570
    • /
    • 2009
  • Purpose: Numerous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to reconstruct the perineal area in order to preserve function of both the recipient and the donor site while satisfying aesthetic results.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of using the pudendal aretery perforator based flap in that it provides thin coverage of defect area and a relatively excellent circulation through perforators. The perineal region can be divided into two areas : the urogenital triangle and the anal triangle. Since each area differs in structure and function so does its reconstructive plan. The authors of this article report clinical results obtained from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reconstructed cases according to each differrent triangles. Methods: A total of 15 patients who underwent perineal reconstruction were enrolled in our study between the year 2002 and 2006. There were 4 cases of vaginal cancer, 4 cases of extramammary Paget's disease, 1 case of rectovaginal fistula in females and 2 cases of Paget's disease and 4 cases of Fournier's gangrene in male cases. The follow up period was on average 6 month. In female, superfic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local flap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urogenital triangle defects, while internal pudendal artery perfoator based local flaps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anal traingle defects. In males the gracilis myocutaneous flap and intern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local flaps were used in reconstruction of the scrotum and perineal defect. Result: In females, there was 1 case of partial flap necorsis that employed the superfici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ut secondary repair through the internal pudendal artery perforator based local flap was done. In addition, there were 4 wound dehiscence cases in females and 2 cases in males. Conclusion: We believe that a better aesthetic and functional outcome can be achieved in perineal reconstruction if discrete surgical planning is carried out systematically categorizing the choice of flap employed acccording to distinct anatomical regions : the urogenital and the anal triangle.

Cyberknife Dosimetric Planning Using a Dose-Limiting Shell Method for Brain Metastases

  • Yoon, Kyoung Jun;Cho, Byungchul;Kwak, Jung Won;Lee, Doheui;Kwon, Do Hoon;Ahn, Seung Do;Lee, Sang-Wook;Kim, Chang Jin;Roh, Sung Woo;Cho, Young Hy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6호
    • /
    • pp.753-760
    • /
    • 2018
  • Objective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ptimization in dose-limiting shell method on the dosimetric quality of CyberKnife (CK) plans in treating brain metastases (BMs). Methods : We selected 19 BMs previously treated using CK between 2014 and 2015. The original CK plans ($CK_{original}$) had been produced using 1 to 3 dose-limiting shells : one at the prescription isodose level (PIDL) for dose conformity and the others at low-isodose levels (10-30% of prescription dose) for dose spillage. In each case, a modified CK plan ($CK_{modified}$) was generated using 5 dose-limiting shells : one at the PIDL, another at intermediate isodose level (50% of prescription dose) for steeper dose fall-off, and the others at low-isodose levels, with an optimized shell-dilation size based on our experience. A Gamma Knife (GK) plan was also produced using the original contour set. Thus, three data sets of dosimetric parameters were generated and compared. Results :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formity indices among the $CK_{original}$, $CK_{modified}$, and GK plans (mean 1.22, 1.18, and 1.24, respectively; p=0.079) and tumor coverage (mean 99.5%, 99.5%, and 99.4%, respectively; p=0.177), whereas the $CK_{modified}$ plans produced significantly smaller normal tissue volumes receiving 50% of prescription dose than those produced by the $CK_{original}$ plans (p<0.001),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ose volumes compared with GK plans (p=0.345).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ignificantly steeper dose fall-off is able to be achieved in the CK system by optimizing the shell function while maintaining high conformity of dose to tumor.

<소쇄원30영(소쇄원삼십영(瀟灑園三十詠))>을 통하여 본 소쇄원 외원(外園)의 공간구성 (A Study on Exterior Configuration of Soswaewon in <30 Poems of Soswaewon>)

  • 천득염;정지윤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85-92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outer garden of Soswaewon that appears in Gyeong-Ji Yang's "30 Poems of Soswaewon" and examine its significance and symbols. These poems by Gyeong-Ji Yang are important historical records that portray the appearance of Soswaewon and the space outside it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Unlike "48 Poems of Soswaewon" or "Soswaewondo," these poems arenot limited to Soswaewon and its surroundings; theyalso include areas from the village entrance upwardto the peak of the mountain behind the village. These poems can be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Jiseok-ri and Changam-dong in poems 1 and 2 provide first impressions of the village in which the main Soswaewon garden is located, whereas poems 3 to 8 and poems 10 to 12 describe the space inside Soswaewon. Poems 13 to 30 depict the beautiful scenery around the outer garden of Soswaewon. In general, about 30% of the compilation in "30 Poems of Soswaewon" celebrates the inner Soswaewon, and the remaining 70% depicts the scenery around Soswaewon (i.e., views of the outer garden). It is presumed that Gyeong-Ji Yang employed this structure to achieve some type of order. Between the "48 Poems of Soswaewon" - also describing Soswaewon - and "Soswaewondo," which is a woodprint drawing of Soswaewon, "30 Poems of Soswaewon" offers the widest coverage of Soswaewon. Compared to "48 Poems of Soswaewon," which addresses the scene inside Soswaewon, new buildings such as the Jaeweoldang, Buhweondang, and Hancheonsa appear in "30 Poems of Soswaewon." Thus, the latter covers a much wider range. Chimgye Munbang - Gwangpunggak, Yangdandongo - Aeyangdang, Byeongseogjuggeun - Jajukchong, etc. are mentioned in both compilations. The use of a wide range of natural objects in these 30 poems, including mountains, birds, and the sky (instead of trees and flowers), shows that the author perceived Soswaewon as an area with a much higher and wider view than that of a typical living space. Moreover, natural regression ideologies, or seclusion ideologies, are evident.

지하공동구 내 무선 네트워크 환경구축을 위한 무선채널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Wireless Channels to Construct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s)

  • 이병진;정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7-34
    • /
    • 2024
  • 지하 공동구 화재 발생에 따른 직·간접적 피해는 사회 전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사전에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하 공동구를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하여 화재 침수 등의 재난을 예방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각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플랫폼까지 전송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망이 필요하다. 본질적으로 지하 공동구 터널이 외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 범위가 부족하여 지하 공동구 환경에서 무선망을 적용하기 위한 분석이 필요하며, 지하 공동구 내에는 송, 배전 케이블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기파 간섭, 내부의 구조물, 장애물 및 수도관 등의 금속 재질 관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난반사 등으로 인해 무선 신호가 왜곡되거나 크기 감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센싱을 통한 원격 감시, 모니터링 작업을 위한 실시간 연결을 보장하려면 지하 공동구 내에 무선 범위를 측정하고 분석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 공동구 내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음영지역을 최소화고, 공동구 내부에서 무선환경 연결에 문제가 없도록 실제 공동구 환경을 측정하였으며, 지하 공동구 지형별 각 구간에 따른 데이터 전송속도 및 신호의 세기, 신호 대 잡음비를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는 지하 공동구에서 무선 네트워크 설치를 위한 적절한 무선 계획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화생방 오염확산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 구축 및 활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cenario Analysis System for CBRN Hazard Prediction)

  • 이병헌;서지윤;남현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13-26
    • /
    • 2024
  • 화생방 확산 예측 모델은 전쟁 상황에서 생화학 작용제 및 방사능 물질을 활용한 공격 시 사건 발생 시간, 위치, 작용제 종류 및 투발 수단과 기상정보의 필수 시나리오 정보와 지형 및 건물정보를 바탕으로 피해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보다 나은 지휘관의 결심을 돕는 시스템이다.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화생방 보고관리 및 모델링 S/W 시스템(Nuclear, Biological, and Chemical Reporting And Modeling S/W System)은 화생방 사건 분석을 위해 독자적으로 개발된 모델로 여러 군사작전과 훈련 계획 수립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NBC_RAMS의 오염확산 및 피해 예측 핵심 엔진을 사용하여 다양한 화생방 시나리오가 반영된 대용량 오염확산 예측 결과를 생성하고 분석할 수 있는 화생방 오염확산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을 소개하고 이 시스템의 시나리오 입력정보 요소인 사건, 기상, 지형 및 건물정보를 상세히 설명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기술하였다. 실사용 사례로 화생방 오염확산 시나리오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생성된 대용량 데이터를 인공지능 기술로 학습하여 오염운의 원점을 추적하는 기술과 화생방 탐지 센서 최적의 위치를 선정하는 기술 개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인공지능에 특화된 화생방 상황 분석 자료를 생성할 수 있으며 화생방 야전 상황 예측 및 분석으로 군사작전 지원 등의 다방면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피나클치료계획시스템에서 자동모델화과정으로 얻은 Jaw와 다엽콜리메이터의 투과 계수 평가 (Estimation of Jaw and MLC Transmission Factor Obtained by the Auto-modeling Process in the Pinnacle3 Treatment Planning System)

  • 황태진;강세권;정광호;박소아;이미연;김경주;오도훈;배훈식;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0권4호
    • /
    • pp.269-276
    • /
    • 2009
  •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뿐만 아니라 3차원 입체조형치료(3D-CRT)와 같이 광자선을 이용한 방사선 치료 기술은 방사선을 받아야 하는 표적의 면적을 충분히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정상 조직은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정확한 선량 계산을 필요로 한다. Jaw 콜리메이터와 다엽 콜리메이터가 그러한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우리 기관에서 사용하는 피나클 치료계획시스템은 모델기반의 광자선량 알고리듬을 사용하기 때문에 Jaw 콜리메이터 투과계수(JTF)와 다엽 콜리메이터 투과계수(MLCTF)와 같은 모델변수들의 집합이 측정된 데이터로부터 결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모델화과정에 의해서 얻어진 모델변수들이 직접 측정하여 얻은 것들과 다를 수 있는데, 이는 선량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 우리는 피나클 치료계획시스템에서 자동모델화과정에 의해 얻은 JTF와 MLCTF를 평가하였다. 먼저 우리는 이 연구에서 Jaw 콜리메이터 투과계수(JTF)와 다엽 콜리메이터 투과계수(MLCTF)를 직접 측정하여 얻었는데, 이것은 물팬톰 내 기준깊이에서 조사면이 $0{\times}0\;cm^2$일 때의 선량과 $10{\times}10\;cm^2$일 때의 선량의 비로 얻었다. 또한, JTF와 MLCTF는 치료계획시스템내 자동모델화 과정에 의해서도 얻어서, 이 값들이 3차원 입체조형치료시에 선량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팬톰 연구와 환자 연구를 통해서 평가하였다. 직접 측정한 경우 JTF는 6 MV의 경우에 0.001966, 10 MV의 경우에는 0.002971이었고, MLCTF는 6 MV의 경우에 0.01657, 10 MV의 경우에 0.01925이었다. 한편, 자동모델화 과정에 의해 얻은 경우, JTF는 6 MV의 경우에 0.001983, 10 MV의 경우에는 0.010431이었고, MLCTF는 6 MV의 경우에 0.00188, 10 MV의 경우에 0.00453이었다. JTF와 MLCTF의 경우에 직접 측정한 것은 자동모델화 과정에 의해 얻은 값과 큰 차이를 보였으나, 6 MV와 10 MV의 선질을 고려하면, 보다 합리적이었고, 이러한 값의 차이는 낮은 선량의 영역에서 선량에 영향을 미쳤다. JTF와 MLCTF의 잘못된 값은 선량의 오차를 다소 발생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JTF와 MLCTF를 자동모델화과정에 의해서 얻은 값과 직접 측정하여 얻은 값을 비교하는 것은 빔커미셔닝 단계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