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t Estimating Model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34초

공동주택의 건물외부조건과 에너지비용과의 관계분석 (Relation between the Building Exterior Conditions and Energy Costs in the Running period of the Apartment Housing)

  • 이강희;류승훈;이은택
    • KIEAE Journal
    • /
    • 제9권1호
    • /
    • pp.107-113
    • /
    • 2009
  • The energy cost is resulted from the energy use. Its sources are divided into some types and depended on the building use or energy-use type. The energy cost should be affected by the amount of the energy use. The cost could be calculated to consider various factors such as the insulation, heating type, building shape and others. But it can not consider all of the affect factors to the energy cost and need to categorize the factors to the condition for estimating the cost. In this paper, it aimed at providing the estimation model in linear equ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tilizing the building exterior condition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in apartment housing. Its survey are conducted in two parts of management characteristics and building exterior condi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to get rid of the multicolinearity among the inputted factors. The number of linear equation model is 11 and includes the 1st, 2nd and 3rd equation function, power function and others. Among these, it suggested the 2nd and 3rd function and power function in terms of the statistics.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building volume and management area are inputted to the estimation.

유전 알고리즘 - 서포트 벡터 회귀를 활용한 공동주택 공사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of Apartment Housing Projects Using Genetic Algorithm-Support Vector Regression)

  • 남군;최재웅;최혜미;김주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8-76
    • /
    • 2014
  • 건축 프로젝트에서 초기단계에서의 정확한 공사비 예측은 성공적인 프로젝트의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공사비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계학적인 방법이 활용되었다. 통계학적 방법 중 서포트 벡터 회기분석은 비용예측 분야에서 뛰어난 일반화 능력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서포트 회귀분석은 조정해야 할 파라미터가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최적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은 시행착오적인 방법을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적의 파라미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서포트 벡터 회귀를 효율적으로 활용한 공사비 예측이 가능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전 알고리즘과 서포트 벡터 회귀를 활용하여 공동주택의 프로젝트 초기 기획단계의 공사비 예측모델을 구축하는 것이다. 유전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파라미터를 찾아내고, 이를 서포트 벡터 회귀모델에 적용시켜 공사비를 예측하였다.

발사체 개발의 연차별 비용 추정을 위한 비용모델 개발 (Cost Model for Annual Cost Spread Estimation of Space Launch Vehicle Development)

  • 김홍래;유동서;최종권;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76-584
    • /
    • 2011
  • 성공적인 발사체 개발을 위해서는 개발비용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차별 예산 배분을 적절히 계획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개발기간 중 연차별 예산 배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차별 비용 모델링을 위해서 통계적 모델의 분석을 통해 적합성을 판단하여 베타분포모델을 선택하였고, 프로젝트의 설계와 기술의 성숙도로 추정이 가능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차별 비용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주왕복선 주 엔진(Space Shuttle Main Engine)의 실제 개발비용 분포와 본 모델을 통한 개발비용 분포의 비교 연구를 통해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개발 비용 모델을 한국형발사체 개발에 적용하여 연차별 소요 비용을 추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연차별 분포 모델은 발사체뿐만 아니라 다른 대형복합시스템의 개발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A Study on the Cost Estimate System Development Method for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 Lee, Sang Hy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Summit Forum on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 /
    • pp.133-137
    • /
    • 2017
  • Nuclear power plants in Korea are usually built based on a duplicated model; so the project cost data of the preceding unit can be used as reference when estimating the project cost for the succeeding unit. However, since the contracting method is oriented towards the price, empirical factors such as making top-down estimations using the reverse calculation method based on the completion cost of the preceding unit is dominant. In order to develop a project cost database to resolve such problems, the detailed cost boundary of the project cost data must be categorized by project and by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connect the code of account with the base quantities and the IAEA account, and proposes a database 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a project cost estimation system. The estimation system developed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utilize the proposed project cost data structure.

  • PDF

초기 기획단계의 신한옥 공사비 예측 모델 - 모듈(칸) 기반의 목공사 개략 물량 산출 중심으로 - (Preliminary Construction Cost Prediction Model Based on Module for Modernized Hanok)

  • 강승희;정영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8-56
    • /
    • 2020
  • 기획단계에서의 공사비 예측은 타당성 분석, 예산 책정, 계획수립 등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기획단계의 신한옥 공사비 예측 정확도 향상을 목적으로 전체 공사비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목공사는 다양한 조건(구조형식, 지붕형태, 평면형태 등)에 의해 개략 물량을 자동 산출하여 공사비를 예측하고, 이외의 공종은 단위단가식을 적용해 공사비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2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개략 견적 모델로써의 활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총공사비의 오차율은 각각 -4%(사례 1), -6%(사례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값은 초기 기획단계에서 실무활용 가능한 범위에서의 오차를 보였다.

공간단위 공사비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 공종별 공사비의 공간정보 부재로 인한 한계점 개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 Estimating Method based on Spatial Unit Focused on Improving Limitation Caused by Lack of Spatial Information of the Cost Based on Work Type)

  • 이기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31-139
    • /
    • 2011
  • 본 연구는 공공시설공사에서 VE의 코스트모델과 공사현장의 진도관리, 그리고 공사비 분쟁에서 공간정보의 부재로 인한 공종별 공사비 내역 정보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사비의 인식체계를 공간단위로 전환하는 개선 방안의 하나로 제안하는 건축물 세부공간단위의 공사비 원가계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공간단위의 공사원가 산정 시스템은 공사비를 구성하는 모든 공간 단위에서, 모든 공종, 공종을 구성하는 모든 자재, 노무 및 모든 비용 항목에 대한 정밀하고도 다차원적인 파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THREE-STAGED RISK EVALUATION MODEL FOR BIDDING ON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 Wooyong Jung;Seung Heon Ha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534-541
    • /
    • 2011
  • Risk evaluation approaches for bidding on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are typically partitioned into three stages: country selection, project classification, and bid-cost evaluation. However, previous studies are frequently under attack in that they have several crucial limitations: 1) a dearth of studies about country selection risk tailored for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at a corporate level; 2) no consideration of uncertainties for input variable per se; 3) less probabilistic approaches in estimating a range of cost variance; and 4) less inclusion of covariance impacts. This study thus suggests a three-staged risk evaluation model to resolve these inherent problems. In the first stage, a country portfolio model that maximizes the expected construction market growth rate and profit rate while decreasing market uncertainty is formulated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nalysis. Following this, probabilistic approaches for screening bad projects are suggested through applying various data mining methods such as discriminant logistic regression, neural network, C5.0, and support vector machine. For the last stage, the cost overrun prediction model is simulated for determining a reasonable bid cost, while considering non-parametric distribution, effects of systematic risks, and the firm's specific capability accrued in a given country. Through the three consecutive models, this study verifies that international construction risk can be allocated, reduced, and projected to some degree, thereby contributing to sustaining stable profits and revenues in both the short-term and the long-term perspective.

  • PDF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 적합한 기능점수규모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ng Function Point Count of Domestic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 박찬규;신수정;이현옥
    • 경영과학
    • /
    • 제20권2호
    • /
    • pp.179-196
    • /
    • 2003
  • Function point model is the international standard method to measure the software siz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software development cost. Function point model can successfully be applied only when the detailed specification of users' requirements is available. In the domestic public sector, however, the budgeting for software projects is carried out before the requirements of softwares ere specified in detail. Therefore, an efficient function point estimation method is required to apply function point model at the early stage of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various function point estimation methods and analyse their accuracies in domestic software projects. We consider four methods : NESMA model, ISBSG model, the simplified function point model and the backfiring method. The methods are applied to about one hundred of domestic projects, and their estimation errors are compared. The results can used as a criterion to select an adequate estimation model for function point counts.

기준모델을 사용한 종합사업관리용역비 산정방법(ICEP)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Integrated Cost Estimate based on Project(ICEP) of program management with typical model)

  • 백명창;박준모;박길범;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9-128
    • /
    • 2015
  • 국내 종합사업관리 용역비 산정을 위하여 대부분의 경우, 유사 사업관리 산정사례를 참고하여 추정하거나 과업참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비용을 산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업관리비 산정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져 사업을 주관하는 발주기관에서는 사업계획 및 예산 반영이 어려우며, 추정치에 의한 용역비 산정으로 향후 설계변경 등의 사업관리용역비 증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발주자와 용역 참여자가 보다 정확한 용역비를 산정하여 변경사항 등으로 인한 비용증가와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용역비 산정기준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종합건설사업 관리의 용역비 산정을 위해 기존의 경우에는 사례와 경험을 기초로 한 Top-Down 방식으로 접근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사업관리 업무를 세부단계 및 활동(Activity)으로 분류하고 단계별로 WBS를 부여하여 각각 부여된 코드에 일정과 비용을 산정하는 Bottom-Up 방식의 사업관리 용역비를 산정하는 것으로, 용역비 산정을 위한 프로젝트 기준모델을 개발하고 프로젝트별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용역비용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이를 ICEP이라고 명명하였다. 또한 산정된 해당 과업의 비용과 추후 실적자료를 분석하여 보완함으로써 프로젝트별 특성을 반영한 종합사업관리 용역비 산정으로 효율적인 건설사업 관리가 가능해진다.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 구현 비용 평가를 위한 확장형 기능 포인트 모델 (An Extended Function Point Model for Estimating the Implementing Cost of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

  • 임석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475-481
    • /
    • 2023
  • 머신러닝과 같은 소프트웨어가 일상생활에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프트웨어의 개발비용을 평가하는 비용 모델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비용 모델로서 LOC(Line of Code)와 M/M(Man-Month) 모델은 소프트웨어의 양적인 요소들을 측정하는 비용모델이다. 이와는 달리, FP(Function Point)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특징들을 평가하는 비용모델로서 소프트웨어의 질적인 요소를 평가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FP는 머신러닝 소프트웨어의 주요한 요소들을 평가하지 않기 때문에 머신러닝 소프트웨어를 평가하는데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은 확장형 FP(Extended Function Point, ExFP)를 제안한다. 확장형 FP는 머신러닝의 주요 특징인 하이퍼 파라미터와 그것의 최적화에 대한 복잡도를 반영하여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요소를 평가하도록 확장하였기 때문에 머신러닝과 같은 최신 소프트웨어에의 비용 평가에 적합하다. 머신러닝 소프트웨어의 특징을 반영한 평가를 통해 제안된 확장형 FP의 효용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