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s ingredient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6초

해조류 청각(Codium fragile)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weed Sea Staghorn(Codium fragile) Ethanol Extract for Antioxidant)

  • 이주희;김보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467-472
    • /
    • 2019
  • 해조류는 무기질, 비타민, 단백질, 섬유소가 풍부하며 녹조류에 속하는 청각(Codium fragile)은 청각과이며, 우리나라,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해안에 분포해 있고 우리나라와 각국에서 식재료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을 주정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활성, FRAP과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소거능 측정 결과 6.25, 12.50, 25, 50, $100{\mu}g/mL$ 농도에서 0.83, 22.83, 38.27, 40.93, 45.60%의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 23.13, 33.63, 33.93, 44.07, 59.07%의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FRAP과 ABTS도 앞에서 했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농도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천연 소재인 청각을 이용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국가별 자외선차단지수 측정법의 비교 분석 및 자외선차단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Comparative Analysis of UV Protection Factor Measurement Methods for Each Country and Factors Affecting UV Protection Factor)

  • 김예진;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3-203
    • /
    • 2021
  • 자외선차단제는 자외선을 차단 및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제품으로 이제 화장품을 넘어서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국내 소비자들은 자외선차단제에 아낌없이 투자하며 2019 년 1 인당 선케어 소비액으로 세계 1 위를 차지했다. 자외선차단제는 규제, 원료, 제형, 임상 시험법, 제품 표기 등 다양한 인자들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제품의 수요량이 증가할수록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차단지수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인자들에 관하여 조사, 분석하여 세계적 자외선차단제 규제와 국내 규제와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자들이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수출 시 장애 요인이 되지 않고 현재보다 국제 경쟁력을 가지고 수출시장이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조사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할 것이다.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Ceramide를 함유한 보습크림의 피부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Effect of Moisturizing Cream containing Ceramide from Evening Primrose Oil on the Moisturiza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Human Skin)

  • 박상현;이건국;이광식;박현지;이병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43-1249
    • /
    • 2018
  • 세라마이드는 일반적으로 화장품 산업에서 피부의 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합성 세라마이드가 아닌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세라마이드들 함유하지 않은 보습크림과 비교하여 피부보습력과 경피수분손실량에서 우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인자 표시 현황과 독성자료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Labeling Status and Toxicity Data of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 이지윤;김지효;문명희;이기영;지경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43-456
    • /
    • 2019
  • Objectives: Children are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through contact with children's products. We investigated the KC mark, certification number, and contained substances labeled on children's products through market research and collected the toxicological data on these substances. Methods: The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labeled on children's products (n=6576), including toys (n=2812), personal care products (n=2212), stationary/books (n=1333), and playground equipment (n=219) were examined. For the components that could be identified by CAS number, toxicological data on oral, inhalation, and dermal routes, cancer slope factor, and reference dose were collected. Results: Among the investigated products, KC marks or certification numbers were found for 4557 products (69.3%). Except for cosmetics and cleansers, the material information was labeled on most of the products. The frequency of labeling substance information in toys and stationary/books was low since this information could be omitted if KC certification was obtained. In the target products, 617 substances were identified by CAS number, and polypropylen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nd polyester were the most frequently displayed. Chronic toxicity data was found for only 32.4%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nformation on toxicity through the dermal route was also highly limited. Conclusion: Our study suggested that labeling guidelines should be required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contained in children's products. In addition, the toxicological data on many ingredients in children's products were insufficient. The data gap for toxicity data should be filled for future risk assessment.

생태교란종 영국갯끈풀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효능 연구 (A Study on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s of the invasive plant Spartina anglica)

  • 송솔이;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4-15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되어 대량으로 방제되는 영국갯끈풀의 에탄올 추출물을 활용하여 여러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고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라디컬 소거법인 DPPH와 ABTS assay 및 환원력을 통한 FRAP과 같은 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영국갯끈풀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각 추출물 농도 0.5 mg/mL 이하 조건에서 RAW264.7 cell과 NHDF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LPS로 활성화 된 RAW264.7 세포에서 증가된 염증매개물질 NO와 사이토카인 생성량은 지하부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NHDF cell을 지상부와 지하부 두 추출물로 처리하여 collagen 합성과 피부 수분 유전자 발현을 조사한 결과 높은 항주름 및 보습 효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영국갯끈풀 에탄올추출물은 기능성화장품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유용한 바이오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유령멍게(Ciona intestinalis)와 노랑꼭지유령멍게(Ciona savignyi)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on Effect of Ethanol Extracts from Ciona intestinalis and Ciona savignyi)

  • 이정은;강상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86-193
    • /
    • 2021
  • 유령멍게와 노랑꼭지유령멍게는 국내의 경우, 항만, 선박의 바닥, 양식장에 대량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혀, 위해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을 이용하는 측면에서 화장품 원료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유령멍게와 노랑꼭지유령멍게를 70% 에탄올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능을 측성하였다. 유령멍게와 노랑꼭지유령멍게 추출물 20 mg/mL에서 DPPH는 각각 71.80%, 21.40%를 보였고, ABTS는 각각 95.47%, 27.53%, nitric oxide 생성 억제능은 각각 97.47%, 88.90%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유령멍게와 노랑꼭지유령멍게에서 각각 0.081, 0.041 mg gallic acid/mg extract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노랑꼭지유령멍게보다 유령멍게에서 다소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들은 추출물은 동물성 유래 항산화물질들로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발현 조절을 통한 마름열매 추출물의 Melanin 생성 억제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Water Chestnut Extracts on Melanogenesis through Regulation of Tyrosinase Expression)

  • 김영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7-31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Trapa natans var. bispinosa 열매인 마름(water chestnut)의 anti-pigmentation 효능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유래 melanocytes인 B16F10세포에 마름 7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의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200 ㎍/mL 추출물을 처리시 100 ng/mL α-MSH를 처리한 대조군 (100%) 대비 43.26%로 멜라닌생성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멜라닌합성에 주요한 단백질인 tyrosinase의 활성 및 발현을 100 ng/mL α-MSH를 처리한 대조군(100%) 대비 tyrosinase의 활성은 23.65%, tyrosinase의 발현은 62.35%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마름 70% 에탄올 추출물은 α-MSH에 의한 melanin 생성을 방지하여 미백 기능성 소재로써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모자반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Sargassum Extracts)

  • 심하은;노대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142-146
    • /
    • 2024
  • 전세계적으로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화학합성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천연물에서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모자반은 우리나라의 해안 전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갈조류의 일종으로서 식용으로도 이용되는 만큼 안전성이 확보되어있는 해조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 짝잎 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 쌍발이 모자반(Sargassum patens)의 3가지 종류의 모자반으로부터 열수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으며,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 및 항염증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자반추출물은 세포독성시험결과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결과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으며 tyrosinase inhibition을 이용한 미백효과시험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의 미백효과가 상당히 우수하였다. 그러나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와 항염증효과는 비교적 낮았다. 결론적으로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은 세포독성이 적었고,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화장품소재로서 곽향 추출물 및 발효물의 생리활성 연구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gastachis herba Extract and Fermented Products as Cosmetic Materials)

  • 이정로;한갑훈;오태구;강정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557-1566
    • /
    • 2023
  • 곽향은 서양에서 Korea mint라고 불릴 정도로 허브와 쓰임새가 매우 유사하다. 서양의 허브는 화장품의 소재로 많이 사용하지만 곽향은 우리나라에서 약재로 더 많이 사용되어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성을 비교해보았다. 곽향 추출물과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과 효모 발효물, 에센셜오일, 플로럴워터에 대한 항산화, 미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균력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모든 샘플에서 높은 효과가 보였고, 미백과 폴리페놀, 항균력에서 에센셜오일이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반면에 플라보노이드는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이런 결과로 에센셜오일이 기능적으로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추출물을 가지고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들이 에센셜오일 만큼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해 에센셜오일의 적은 추출량에 비해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가 화장품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올리브 오일의 에스터 교환반응 생성물의 TLC를 이용한 조성비 분석 및 화장품에의 응용가능성 평가 (Composition Ratio Analysis of Transesterification Products of Olive Oil by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Their Applicability to Cosmetics)

  • 박소현;신혁수;김아랑;정효진;현송화;홍인기;이대봉;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342-3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올리브 오일의 에스터 교환반응으로 생성된 복합소재(olive oil esters)의 화장품 응용을 위해 물리화학적 성질, 유화력, 보습력 및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는 반응시간이 짧은 olive oil esters S와 반응시간이 긴 olive oil esters L을 사용하였다. 먼저 TLC 이미지 분석으로 조성비를 확인한 결과, olive oil esters S의 조성은 mono-, di-, tri-glyceride가 5.2, 24.1, 46.4%이었고, fatty acid ethyl ester는 21.9%이었다. Olive oil esters L은 mono-, di-, tri-glyceride가 4.1, 24.7, 40.6%이었고, fatty acid ethyl ester는 28.8%이었다.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화장품에 사용하기 위한 기준 및 시험방법 설정을 위해 요오드가, 산가, 검화가, 불검화물, 굴절률, 비중 및 순도시험을 수행하였고 표준화시켰다. 또한 올리브 오일 에스터의 유화력 평가로서, 계면활성제 없이 O/W 에멀전을 제조하여 유화 입자를 확인하였다.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사람 피부에 도포 5일 후, 피부 수분 보유량은 초기보다 13.1% 개선되었다.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 올리브 오일 에스터는 $0.2-200{\mu}g/mL$에서 세포 생존율 90% 이상을 나타내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올리브 오일 에스터는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무독성 원료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