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Surfactant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9초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혼합물에서 내외부 분자회합을 위한 격자모델 (A Lattice Model for Intra-molecular and Inter-molecular Association in Mixture containing Surfactants)

  • 신문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768-1772
    • /
    • 2010
  • 분자내부 회합은 계면활성제계, 특히 콜로이드와 생체물질에 있어서 수소결합 중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나타낸다. 미셀과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는 양친매성 계는 분자간 회합뿐만 아니라 분자내부 회합 때문에 매우 비이상적인 거동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혼합물의 상거동을 계산하기 위하여, 내외부 분자 회합을 설명할 수 있는 수정된 베이츠만 통계역학이론과 결합된 유사화학반응 비무질도서 격자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격자모델은 알칸과 계면활성제의 실험결과를 매우 잘 설명할 수 있다.

천연 밀단백질/계면활성제 복합체의 세정에 있어 피부보호 (The Cutaneous Protection for Detergent Formulation of Nature Wheat Protein Surfactant Complexes)

  • 정환경;박흥조;김명수;남기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9-85
    • /
    • 2002
  • The cutaneous tolerability of detergent formulations can be improved by means of suitable additives. They complex the surfactant molecules lowering the concentration of their free monomeric species. Proteins derivatives used as additives for detergency are usually prepared by partial hydrolysis of plant reserve proteins. The main purpose of the hydrolytic cleavage is to make them water soluble and suitable for liquid products. Water solubility and stability are obtained by means of complexation with surfactants which also increase their actual hydrophobicity, an important parameter affecting cosmetic properties of proteins.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nd electric capacitance (EC) have been adopted as investigation technigues to evaluate the skin integrity/damage in vitro tests, The performance of native wheat protein / surfactant complexes has been compared with traditional protein hydrolysates as detergent additives. The results show a noticeable reduction of skin irritation in surfactant formulations with addition of native wheat protein.

Skin care 화장료로서 단상형 액정조성물의 제조 및 응용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Lamella Liquid Crystal to Skin Care Product)

  • 박병덕;이명진;이종기;이승헌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3-106
    • /
    • 2000
  • 비이온 계면활성제, 다가알코올, 물과 오일을 사용하여 단상형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소수성기가 Y 형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POE octyldodecyl ether series와 친수성기가 Y 형인 POE glyceryl monostearate series가 2:1로 혼합한 계면활성제 system에 다과알코올이 혼합됨에 따른 상의 변화를 관찰하여 본 결과 7:3, 6:4, 5:5 인 비율에서 라멜라 백정상의 구조(In)가 잘 발현됨을 보여 주었으며, 상기 비율에 유성성분의 함량에 따른 라멜라 액정상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계면활성제의 친수성이 높고, 계면활성제와 화가알코올의 비가 7:3인 system 011서 상대적으로 높은 오일을 함유한 라멜라 백정구조 형성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전상이 되지 않은 상태로 라멜라 백정조성물의 친수성 층011 수분의 함유 정도를 관찰하여 본 결과 제조된 라멜라 액정조성물은 25 - 40% 정도의 수분을 라멜라 층간에 함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백정조성물의 피부 도포 시에 우수한 피부 수분 함유 효과를 보여 주었다.

  • PDF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에서 보습효과 (Moisturizing Effect in Emulsion Body Cleansing System)

  • 신문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5
    • /
    • 2010
  • 최근 불용성의 결정성 수산화 왁스, 불용성의 결정성 계면활성제 구조, 캡슐 입자, 스멕타이트 점토를 이용하여 고함량의 친유성 보습제를 함유할 수 있는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에서 바세린,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다양한 밀폐제의 보습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설험결과에 따르면, 유화제형 바디클렌저에서 바세린이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비하여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로션, 크림과 같은 "바르는" 제형에서는 바세린이 최고의 보습력을 가지지만 본 연구의 "씻어내는" 유화바디클렌정 제형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고함량의 음이온 양성이온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유화제형 바디클렌징시스템에서, 바세린은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비해 용해도가 커서, 헴굼과정에서 피부로의 부착량이 떨어짐으로 인해, 보습력이 부족함을 밝혀내었다.

Microemulsion gel system에 있어서 Polyol의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FLUENCE OF POLYOL ON MICROEMULSION GEL SYSTEM)

  • 윤중;진병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2-149
    • /
    • 1992
  • 이 논문은 외관, 안정도, 얇고 균일하게 끈적이지 않는 Film 형성 등의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Cosmetic preparations의 여러 방면에 응용하고 있는 Microemulsion gel에 관한 것이다. 우리의 연구는 Microemulsion의 Clarifying agent 또는 Coupling agent로 이용되고 있는 Polyol류가 Microemulsion에 미치는 영향을 해명함으로써, Consistency, Stability, Clarity, Pick-up from a container등이 우수한 최적의 Microemulsion gel의 형성 조건을 확립하여 Cosmetic preparations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한 System은 De-ionized water, Oil로는 Polar한 Ester oil, Emulsifying agent는 Nonionic syrfactant, Coupling agent는 Polyol로 구성하였으며, Three component phase diagram과 Tetrahedral phase diagram을 이용하여, Polyol의 비율에 따라 Microemulsion gel의 투명 영역, Consistency, 충격에 의한 Resonance 효과, Pick-up from a container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구성 성분 중 De-ionized water의 Coupling agent의 비율변화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Coupling agent로 사용된 Glycerine의 물에 대한 비율이 63-75%일 때 최적 Microemulsion gel 형성 영역이 가장 넓게 나타났다. 특히 Polyol의 비율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최근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최소의 유화제량으로 최대의 유상량을 함유한 Microemulsion gel을 얻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mulsion Properties of Pseudo-Ceramide PC104/Water/Polyoxyethylene Cholesteryl Ether and Polyoxyethylene Cetyl Ether Mixtures.

  • Kim, Do-Hoon;Oh, Seong-Geun;Lee, Young-Jin;Kim, Youn-Joon;Kim, Han-Kon;Kang, Hak-Hee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330-342
    • /
    • 2003
  • The formation of emulsions and micelles in water/ceramide PC104/CholE $O_{20}$/C$_{16}$E $O_{20}$ and water/ceramide PC104/CholE $O_{20}$ mixture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phase behavior studies. The phase diagrams showed the existence of micelle and emulsion regions in both systems. The mixed surfactant system (CholE $O_{20}$/C$_{16}$E $O_{20}$) showed the wider micellar and emulsion regions than the single surfactant system (CholE $O_{20}$). From FT-IR measurements, it was found that the polyoxyethylene (POE) groups of surfactants formed the hydrogen bonds with amido carbonyl group in ceramide PC104.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hydrophilic part (EO) of surfactants could stabilize the lamellar structure and emulsion of ceramide PC104. The mixed surfactant system (CholE $O_{20}$/C$_{16}$E $O_{20}$) resulted in the smaller emulsion droplet size due to the effect of curvature at the interface, thus further increasing emulsion stability. With the penetration of $C_{16}$E $O_{20}$into the interfacial layer of surfactants in emulsion, the curvature of the interface might be altered for the formation of smaller emulsion droplets. The mixed surfactant system could incorporate up to 4 wt. % of ceramide PC104 into emulsion more than single surfactant system.ystem.m.

  • PDF

계면활성제 유도 건성피부에 대한 Palmarosa, Neroli & Jasmin blending Oil의 유효성 비교 연구 (The Study of Efficiency by Palmarosa, Neroli & Jasmin Essential Oil on Dry Skin Induced by Surfactant)

  • 정현미;최정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69-572
    • /
    • 2007
  • The effectiveness of Palmarosa, Neroli and Jasmin blending oil on dry skin of rat induced by kitchen detergent a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the control group, group treated with surfactant, group treated with Palmarosa and Neroli, and group with Palmarosa, Neroli and Jasmin. Observation of epidermis and the alteration of mast cell were performed with photomicroscope. According to the epidermis morphological changes analysis, the A3 group treated with Palmarosa, Neroli and Jasmin blending oil was appeared the most similar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A2 group applied with Palmarosa and Neroli blending oil was sequently displayed similar characteristics. The collagen layer's breakaway resulting from Palmarosa essential oil, the collagen layer's restoration resulting from Neroli essential oil, the collagen layer's retention hyperkeratosis resulting from Jasmin essential oil were observed in the structure of the epidermal layer. In photomicrosope observation of mast cell to examine the inflammatory reactions, the increase in size and number of mast cell were showed in A1 group treated with surfact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mast cells definitely decreased in groups which were treated with Palmarosa, Neroli and Jasmin blending oil.

유처리제용 양이온 계면찰성제의 임계미셀농토에서 온도의 효과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of Cationic Surfactant for Chemical Dispersants)

  • 김영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5-148
    • /
    • 2008
  • 화장품과 유처리제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N-octadecyl pyridinium bromide를 사용하여 온도 $40{\sim}60^{\circ}C$ 범위에서 적하법을 이용한 임계미셀농도를 적용 미셀형성에 따른 열역학적 특성(자유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열용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유에너지 변화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이온 계면 활성제가 화장품의 방부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onionic surfactant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ervatives in cosmetic products)

  • 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2-63
    • /
    • 1992
  • 방부제와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하였을 경우 미생물에 대한 방부력 변화를 검토하고자 Imidazolidinyl urea, Methylparaben, Imidazolidinyl urea와 Methylparaben 혼합체 3종의 농도에 따른 각 농도별 계면활성제 Tween 20, Tween60, Tween 80의 첨가가 S. aureus ATCC E. coli ATCC 10536, P. aeruginosa NCTC 10490에 대한 방부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으며, 아울러 제품내에서 Tween 60 계면활성제 농도에 변화를 주었을 때의 방부력 변화를 조사하였다. 1. S. aureus ATCC 6538 Methylparaben과 Imidazolidinyl urea 혼합체에 대해 내성을 전혀 갖지 않았다. 2. E. coli ATCC 10536은 Mithylparaben에 대하여 내성을 전혀 갖지 않았다. 3. Mithlparaben과 Imidazolidinyl urea 혼합체는 Gram 음성균, Gram 양성균에 넓은 향균 spectrum을 나타났다. 즉, 방부제는 단일 사용시보다 혼합 사용시 상승효과를 가졌다. 4. Imidazolidinyl urea는 Polyoxyethylene(20) Sorbitan fatty acid ester류에 의해 전혀 방부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에 시험균주 3종에 대해 내성이 잘 되었다. 5. Muthylparaben은 Polyoxyethylene(20) Sorbitan fatty acid ester류에 의해 불활성화가 큰 폭으로 나타났다. 6. 방부제 Methyparaben 0.2%를 함유하는 제품에 비이온 계면활성제 Tween 60의 량을 0.5, 1.0, 2.0%로 달리 첨가하였을시 D-value는 제품내 비이온 계면활성제 Tween 60의 량이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커졌다. 즉, 비이온 계면활성제 Polyoxyethylene(20) Sorbitan monostearate에 의해 Methylparaben이 제품내에서도 불활성화 되었다.

  • PDF

색소-계면활성제 상호작용에 관한 흡수분장학적 연구 (Absorption Spectroscopical Studies on the dye-surfactant interactions)

  • 박노윤;이홍;배현옥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28
    • /
    • 1991
  • Spectral behaviors of cationic dye, crystal violet(CV), in aqueous solution an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Triton X-100(TX-100), sodium dodecylsulfate (SDS) and cetyl trimethyl amonium bromide(CTAB) were studied.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absorption spectra observed in the dye-SDS interacting systems with the SDS concentration are analyzed. The behaviors of both a- and J-bands of the each componet dye suggest that the following four sequential steps are occurring : the formation of dye-SDS complex, the stacking of the dye molecules arising from the association of the dye-SDS complex, breaking of the dye stacking due to the formation of micelles, redistribution of the dye molecules in the surface of micelles at high SDS concent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