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pus Generatio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s of Fatty Acids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Behavioral Development of the Second Generation Rat

  • Hwang, Hye-Jin;Um, Young-Sook;Chung, Eun-Jung;Kim, Soo-Yeon;Park, Jung-Hwa;Lee, Yang-Cha-Ki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65-272
    • /
    • 2002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hospholipid fractions in regions of the brain and on behavioral development in rats. Th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3~4 wks prior to the conception.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of 10% fat(wt/wt) which were from either safflower oil (SO, poor in $\omega$3 fatty acids), mixed oil MO, P/M/S ratio : 1:1.4:1, $\omega$6/$\omega$3 ratio = 6.3), or mixed oil supplemented with vitamin E (+500 mg/kg diet). At 3 and 9 weeks of age, frontal cortex (FC), corpus striatum (CS), hippocampus (H), and cerebellum (CB) were dissected from the whole brain. The fatty acid content was determined in the different phospholipid fractions: phosphatidylcholine (PC), phosphatidyl-serine (PS),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PE) in the rat brain regions. In the visual discrimination test, the order of the cumulative errors made in Y-water maze test were SO > MO > ME. This suggested that the balanced diet supplemented with vitamin I had the most beneficial effect on learning ability.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orrelation between fatty acids and behavior development were that the frequency of cumulative err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s), ie., 18:1 $\omega$9 and 22:1 $\omega$9. Docosa-hexaenoic acid (22:6 $\omega$3) of PS in frontal cortex (FC)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errors made in the Y-water maze test.22:5 $\omega$6 PS in hippocampus (H), PC and PE in corpus striatum (CS), PC in cerebellum (CB)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umulative errors. And these err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20:4 $\omega$ 6 of PE in corpus striatum (CS) and PC in cerebellum (CB). Especially, O1eic acid (18:1 u 9) in all phospholipid fractions (PC, PS, PE) of hippocampu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error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UFAs were might be essential for proper brain development, especially in hippocampus which is generally thought to be the regions of memory and learning.

유아 언어학습에 대한 하이퍼망 메모리 기반 모델 (Hypernetwork Memory-Based Model for Infant's Language Learning)

  • 이지훈;이은석;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2호
    • /
    • pp.983-987
    • /
    • 2009
  • 유아들의 언어습득에 있어서 중요한 점 하나는 학습자에 대한 언어환경의 노출이다. 유아가 접하는 언어환경은 부모와 같은 인간뿐만 아니라 각종 미디어와 같은 인공적 환경도 포함되며, 유아는 이러한 방대한 언어환경을 탐색하면서 언어를 학습한다. 본 연구는 대용량의 언어 데이터 노출이 영향을 미치는 유아언어학습을 유연하고 적절하게 모사하는 인지적 기제에 따른 기계학습 방식을 제안한다. 유아의 초기 언어학습은 문장수준의 학습과 생성 같은 행동들이 수반되는데, 이는 언어 코퍼스에 대한 노출만으로 모사가 가능하다. 모사의 핵심은 언어 하이퍼망 구조를 가진 기억기반 학습모델이다. 언어 하이퍼망은 언어구성 요소들 간의 상위차원 관계 표상을 가능케 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유사구조의 적용과 이용을 도모하여 발달적이고 점진적인 학습을 모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11 개의 유아용 비디오로부터 추출한 문장 32744개를 언어 하이퍼망을 통한 점진적 학습을 수행하여 문장을 생성해 유아의 점진적, 발달적 학습을 모사하였다.

반복적 기법을 사용한 그래프 기반 단어 모호성 해소 (Graph-Ba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Iterative Approach)

  • 강상우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02-110
    • /
    • 2017
  • 최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단어의 모호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계 학습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지도 학습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정답을 부착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므로 최근 연구들은 비지도 학습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단어 모호성 해소(word sense disambiguation)를 위한 비지도 학습연구는 지식 기반(knowledge base)를 이용한 방법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 방법은 학습 데이터 없이 지식 기반의 정보을 이용하여 문장 내에서 모호성을 가지는 단어의 의미를 결정한다. 지식 기반을 이용한 방법에는 그래프 기반방식과 유사도 기반 방법이 대표적이다. 그래프 기반 방법은 모호성을 가지는 단어와 그 단어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들의 집합 간의 모든 경로에 대한 의미 그래프를 구축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불필요한 의미 경로가 추가되어 오류를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구축을 위해 불필요한 간선들을 배제하면서 반복적으로 그래프를 재구축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구축된 의미 그래프에서 더욱 정확한 의미를 예측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유사도 예측 모델을 적용한다. 또한 제안된 모델은 다국어 어휘 의미망 사전인 BabelNet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정 언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에도 적용 가능하다.

대화체 문장 번역을 위한 토큰기반 변환중심 한일 기계번역 (A Token Based Transfer Driven Koran -Japanese Machine Translation for Translating the Spoken Sentences)

  • 양승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40-4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음성언어 자동 통역시스템의 일부 모듈로 구현한 한일 기계번역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이 번역시스템은 예제중심 기계번역(EBMT)에 기초를 둔 변환중심 기계번역(TDMT) 방법을 기반으로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토큰(TOKEN)이라는 새로운 번역단위를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토큰단위의 번역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한국어 문장의 매우 비 정형적인 점을 해결하고 번역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본 시스템의 구문분석 단계에서는 대역어를 선정하기에 적합한 정도까지의 의존트리를 생성하는 간이파싱만을 함으로써 필요없는 노력을 경감시켰다. 대역어 사전은 한국전자통신 연구원이 수집한 음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 말뭉치를 사용해 구성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여행 계획영역에서 수집된 600 발화 안의 문장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는데 제한된 환경에서 87%, 아무런 제약이 없는 환경에서는 71%의 성공률을 보였다.

  • PDF

Heuristic-based Korean Coreference Resolution for Information Extraction

  • Euisok Chung;Soojong Lim;Yun, Bo-Hyun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2년도 Language, Information, and Computation Proceedings of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 /
    • pp.50-58
    • /
    • 2002
  • The information extraction is to delimit in advance, as part of the specification of the task, the semantic range of the output and to filter information from large volumes of texts. The most representative word of the document is composed of named entities and pronou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solve coreference in order to extract the meaningful information in information extraction. Coreference resolution is to find name entities co-referencing real-world entities in the documents. Results of coreference resolution are used for name entity detection and template gener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heuristic-based approach for coreference resolution in Korean. We constructed the heuristics expanded gradually by using the corpus and derived the salience factors of antecedents as the importance measure in Korean. Our approach consists of antecedents selection and antecedents weighting. We used three kinds of salience factors that are used to weight each antecedent of the anaphor. The experiment result shows 80% precision.

  • PDF

벡터 회귀 트리를 이용한 한국어 에너지 궤적 생성 (Generating Korean Energy Contours Using Vector-regression Tree)

  • 이상호;오영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3-32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TTS 시스템을 위한 에너지 궤적 생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에너지 궤적 생성을 위해 스칼라 회귀 트리를 확장한 벡터 회귀 트리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벡터 회귀 트리는 특징 벡터로부터 목적 벡터를 예측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 음소당 10개의 에너지 값을 예측한다. 실험을 위해 500 문장의 문장 코퍼스와 그 문장들을 발성한 음성 코퍼스를 수집하였고, 이중 300 문장을 이용하여 트리들을 학습하고 200 문장에 대해 실험하였다. 에너지 궤적의 예측 정확률을 높이기 위해 배깅 트리 (bagged tree)와 재구축 트리 (born again tree)도 함께 구현한 결과, 원음의 에너지 궤적과 예측된 에너지 궤적간의 상관계수가 0.803으로 기존의 방법보다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웹을 이용한 개체명 부착 말뭉치의 자동생성과 정제 (Automatic Generation of Named Entity Tagged Corpus using Web Search Engine)

  • 안주희;이승우;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2년도 제1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85-91
    • /
    • 2002
  • 최근 정보 추출, 질의응답 시스템 등의 고정밀 자연어처리 어플리케이션이 부각됨에 따라 개체명 인식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개체명 인식을 위한 학습에는 대용량의 어휘자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충분한 학습 데이터, 즉 개체명 태그가 부착된 충분한 코퍼스가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 자료희귀문제(data sparseness problem)로 인하여 목적한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경우가 않다. 그러나 태그가 부착된 코퍼스를 생성하는 일은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드는 힘든 작업이다. 최근 인터넷의 발전으로 웹 데이터는 그 양이 매우 많으며, 습득 또한 웹 검색 엔진을 사용해서 자동으로 모음으로써 다량의 말뭉치를 모으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웹을 무한한 언어자원으로 보고 웹에서 필요한 언어자원을 자동으로 뽑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첫 시도로 웹으로부터 다량의 원시(raw) 코퍼스를 얻어 개체명 태깅 학습을 위한 태그 부착 코퍼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말뭉치를 개체면 태깅 학습에 적용하는 비교 실험을 통해 수집된 말뭉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향후에는 자동으로 웹으로부터 개체 명 태깅 규칙과 패턴을 뽑아내어 실제 개체명 태거를 빨리 개발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PDF

Building Intelligent User Interface Agent for Semantically Reformulating User Query in Medicine

  • Lim, Chae-Myung;Chu, Sung-Joon;Lee, Dong-Hoon;Park, Duck-Whan;Park, Tae-Young;Yang, Jung-Jin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3년도 Proceeding
    • /
    • pp.57-64
    • /
    • 2003
  • Achieving the beneficiary goal of recent discovery in human genome project still needs a way to retrieve and analyze the exponentially expanding bio-related information. Research on bio-related fields naturally applies knowledge discovered to the current problem and make inferences to extract new information where shared concepts and data containing information need to be defined and used in a coherent way. In such a professional domain, while the need to help users reduce their work and to improve search results has been emerged. methods for systematic retrieval and adequate exchange of relevant information are still in their infancy. The design of our system aims at improv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retrieval in a professional domain by utilizing both corpus-based and concept-based ontology. Meta-rules of helping users to make an adequate query are formed into an ontology in the domain. The integration of those knowledge permits the system to retrieve relevant information in a more semantic and systematic fashion. This work mainly describes the query models with details of GUI and a secondary query generation of the system.

  • PDF

식이지방산 조성 및 비타민 E의 보충이 제 2 세대 흰 쥐 뇌조직의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atty Acid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in Antioxidant Systmes of the Second Generation Rat Brain Sections)

  • 황혜진;엄영숙;정은정;김수연;이양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1호
    • /
    • pp.14-22
    • /
    • 2001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antioxidant systems in the rat brain regions. Th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3-4 wks prior to the conception. Experimental diet consisted of 10% fat(wt/wt) which were safflower oil(SO, poor in $\omega$3 fatty acids), mixed oil(MO, P/M/S ratio=1.03:1.45:1,$\omega$6/$\omega$3 ratio=6.3) and mixed oil supplemented with vitamin E(ME:MO+500mg vitamin E/kg diet). At 3 and 9 weeks of age of the newborn rats, frontal cortex(FC), corpus striatum(CS), hippocampus(H) cerebellum(CB) were dissected out from the whole brain. Activities of glutathione peroxidase(GSH-P(sub)x, superoxide dismutase(SOD) concentrations of malondialdehyde(MDA) were mesaured. Dietary fatty acids were not effective in antioxidative system for rat brain. However, when vitamin E was supplemented to the diet(ME), the activities of GSH-P(suh)x tended to increase in comparison to MO group. Therefore, the activites of GSH-P(suh)x of FC and H at the age of 3 wee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05). The activities of Total-SOD tended to decrease in ME group compared to MO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FC and CS at the age of 3 weeks. The activities of Mn-SOD tended to increase and Cu, Zn-SOD tended to decrease when vitamin E was supplemented. The activity levels of antioxidative enzymes at the age of 3 weeks and 9 weeks were similar. This suggested that the activity level of antioxidative enzymes reached to the adult level at the age of 3 weeks which is the end point of lactation period. The concentrations of MDA were not altered by experimental diets. Whe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compared,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the lowest in H and FC. In conclusion, the antioxidative system were not altered by dietary fatty acid at the age of 3 weeks and 9 weeks, but the supplementation of vitamin E altered the antioxidative systems. Therefore,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comprehensively in scope of the balance of various antioxidative systems and their interactions(Korean J Nutrition 34(1):14-22, 2001)

  • PDF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백강잠 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抗酸化) 작용(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ntioxidant action of Bombycis corpus extraction in renal tissues)

  • 이무형;윤철호;정지천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87-98
    • /
    • 1998
  • 백강잠 추출물이 신장조직에서 반응성 산소기들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와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상조직과 t-BHP를 처리한 조직에서 백강잠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지질의 과산화와 LDH 유출은 t-BHP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으나, 백강잠 추출물의 첨가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그리고, t-BHP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 및 LDH 유출은 백강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또한, 백강잠 추출물은 oxidant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조직에서도 지질의 과산화 및 LDH 유출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그리고, catalase 활성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정상 조직과 t-BHP를 처리한 조직에서는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한편, 반응성 산소기의 발생은 백강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백강잠 추출물은 신장 조직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직접 반응성 산소기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신장 조직에서 지질의 과산화와 세포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