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ph-Based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Iterative Approach

반복적 기법을 사용한 그래프 기반 단어 모호성 해소

  • 강상우 (가천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 Received : 2017.04.06
  • Accepted : 2017.04.27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Current word sense disambiguation techniques employ various machine learning-based methods.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to address this problem, including the knowledge base approach. This approach defines the sense of an ambiguous word in accordance with knowledge base information with no training corpus. In unsupervised learning techniques that use a knowledge base approach, graph-based and similarity-based methods have been the main research areas. The graph-based method has the advantage of constructing a semantic graph that delineates all paths between different senses that an ambiguous word may have. However, unnecessary semantic paths may be introduced, thereby increasing the risk of errors. To solve this problem and construct a fine-grained graph,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hat iteratively constructs the graph while eliminating unnecessary nodes and edges, i.e., senses and semantic paths. The hybrid similarity estimation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a more accurate sense in the constructed semantic graph. Because the proposed model uses BabelNet, a multilingual lexical knowledge base, the model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anguage.

최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단어의 모호성을 해소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계 학습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지도 학습에 사용되는 데이터는 정답을 부착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므로 최근 연구들은 비지도 학습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단어 모호성 해소(word sense disambiguation)를 위한 비지도 학습연구는 지식 기반(knowledge base)를 이용한 방법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 방법은 학습 데이터 없이 지식 기반의 정보을 이용하여 문장 내에서 모호성을 가지는 단어의 의미를 결정한다. 지식 기반을 이용한 방법에는 그래프 기반방식과 유사도 기반 방법이 대표적이다. 그래프 기반 방법은 모호성을 가지는 단어와 그 단어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들의 집합 간의 모든 경로에 대한 의미 그래프를 구축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불필요한 의미 경로가 추가되어 오류를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구축을 위해 불필요한 간선들을 배제하면서 반복적으로 그래프를 재구축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구축된 의미 그래프에서 더욱 정확한 의미를 예측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유사도 예측 모델을 적용한다. 또한 제안된 모델은 다국어 어휘 의미망 사전인 BabelNet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정 언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에도 적용 가능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