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 growth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35초

SNP마커 개발을 통한 사료용 옥수수 품종판별 (Distinguishing the Korean Silage Corn Varieties through Development of PCR-Based SNP Marker)

  • 김상곤;이진석;배환희;김정태;손범영;백성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8-175
    • /
    • 2017
  • 옥수수 품종판별 마커 개발을 위하여 SNAP 방법을 변형하여 2bp 불일치 SNP PCR 방법을 옥수수 품종판별에 적용하였다. SNP 마커개발을 위하여 MaizeGDB 웹사이트(www.maizegdb.org)를 통해서 200 SNP 위치를 확인하였으며, 표준맵으로 알려진 B73 옥수수 게놈서열을 바탕으로 2bp 불일치 Primer을 디자인하였다. PCR 생성물은 200-500bp 사이에서 결정되었으며 SNP site가 있을시 PCR 생성물이 생성되지 않게 디자인 되었다. 선행연구에서 선발된 16개의 Primer조합을 이용해서 농촌진흥청에서 개발된 사료용 옥수수 10품종(강다옥, 광평옥, 다평옥, 안다옥, 양안옥, 신광옥, 장다옥, 청다옥, 평광옥, 평안옥)과 수입 사료용 옥수수 40품종과의 판별 가능성을 검정하였다. SNP PCR 결과를 바탕으로 한 Cluster분석에서 신광옥과 PI1395 그리고 몇몇 수입 사료용 옥수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판별 가능한 것으로 검정되었다. SNP 통한 품종판별 최소조합수를 선발한 결과 강다옥은 IBM911과 IBM1798, 장다옥은 IBM440과 IBM549, 평강옥은 IBM440과 IBM1269, 평안옥은 IBM795와 IBM1601였다. 이는 SNP 마커 개발을 통해 빠르고, 손쉽게 품종판별이 가능한 마커로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흰쥐 정자형성과정에 미치는 Di-(2-ethylhexyl)phthalate의 영향 (Effect of Di-(2-ethylhexyl)phthalate(DBHP) on Spermatogenesis in Rat Testes)

  • 김완종;길영천;이종화;신길상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285-292
    • /
    • 1999
  •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며, 최근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져 있는 di-(2-ethylhexyl)phthalate(DEHP)를 흰쥐에 15일 동안 구강 투여(1g/kg/day, 2g/kg/day, 3g/kg/day)한 후, 정자형성과정에 연관된 정소의 기능과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EHP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율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소의 무게도 감소하였다. 또한 세정관의 직경이 고농도군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세정관내의 세포층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실험군은 세정관내 세포사이 공간이 증가하였으며 정원세포와 정모세포의 수가 감소하였고, 세포질내 공포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세정관내 Sertoli 세포의 전체 세포질 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정원세포의 경우 핵막 이중층이 분리되는 현상을 보였다. 특히 고농도군의 세정관내에서는 Sertoli 세포 이외의 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세포사이 공간과 공포들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Sertoli 세포의 핵막은 심하게 함입된 형태를 나타냈으며 이질염색질이 증가하여 염색질의 덩어리를 이루고 있었고, Sertoli 세포들을 지지하는 기저판은 심하게 굴곡된 형태를 보였다. Leydig 세포의 미세구조에 있어서도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세포질내의 활면소포체와 핵막 이중층이 심하게 팽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핵내에 이질염색질이 상당히 증가하고 세포질내 리소솜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또한 혈청내 테스토스테론 함량에 있어서도 실험군은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DEHP는 정소의 발달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고, Leydig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합성기능을 저해하며, 이어서 세정관내부의 Sertoli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손상시켜 생식세포들의 괴사를 유도하는 과정을 통해 일련의 정자형성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가 돼지고기의 n-3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seed Oil and Canola Oil Feeding on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Pork)

  • 박병성;강환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37-1543
    • /
    • 2004
  • 본 연구는 아마인유와 채종유내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의 돈육내 축적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 수퇘지(체중 50 kg) 12마리를 이용하여서 4가지 실험사료중 한가지를 급여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우지, 아마인유, 채종유 또는 아마인유와 채종유의 혼합유를 함유하였다. 110 kg 시판 체중 도달시에 희생하였다. 아마인유와 채종유속에 들어있는 n-3 지방산은 돼지의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액 포화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11.84%~16.54% 낮게 나타났다(p<0.05). 혈액 n-3 지방산 함량은 우지 첨가구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아마인유 첨가구, 채종유 첨가구 또는 혼합유 첨가구는 우지 첨가구보다 4.68%~12.83% 높게 나타났다(p<0.05). n-3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3가지 지질 급원 모두는 우지 첨가구에 비교하여 돼지고기 삼겹살 내 $\alpha$-linolenic acid(18:3n-3) 함량을 9.43%까지 유의적으로 높였다(p<0.05). 아마인유 또는 채종유 급여는 삼겹살내 n-3:n-6 비율을 0.68로 높였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비율은 0.70으로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아마인유와 채종유 급여에 의해 n-3지방산이 강화된 새로운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시설하우스 재배농가의 우수토양관리 사례연구 (Case study of good soil management in plastic film-house cultivation)

  • 현병근;김이열;김무성;조현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8-104
    • /
    • 2001
  • 가. 우수 토양관리농가의 토성은 대부분 SiL이나 SL이었으며 점토함량은 7%~15%범위이었다. 토양의 용적밀도는 우수 토양관리농가 0.89, 인근농가 1.10이었고, 작토심은 평균 23.1cm로 인근농가 17.8cm 보다 깊었으며, 토양입단함량은 우수 토양관리 농가 61.6, 인근농가 54.2%이었다. 나. 토양의 화학성은 우수토양관리농가가 인근농가에 비해 pH, OM, $NO_3-N$가 양호한 편이었다. 다. 토양선충밀도는 우수 토양관리농가가 인근농가에 비해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나, 방선균의 밀도는 우수 토양관리 농가가 인근농가나 노지에 비하여 많은 편이었고, 토양병원성세균인 후사리움밀도는 두 농가를 제외하고는 우수토양관리농가가 인근에 비해 적었다. 라. 우수 토양관리농가의 공통특징은 정식전에는 담수+심경, 거친유기물을 시용하고 화학비료를 지양했으며, 정식 후에는 정적판수와 자가액비(+영양제)위주로 양수분을 공급하며, 휴한기에는 담수+태양열소독이나, 우기시 피복물제거, 옥수수 등 제염작물 재배 및 논으로의 환원 등이었다.

  • PDF

친환경 복합효소제 첨가가 이유자돈의 설사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co-friendly Multi-enzyme on Diarrhea and Immune Response of weaned Pigs)

  • 민예진;김준수;김신아;장기범;문다예;김병현;최지환;송민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51-161
    • /
    • 201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enzyme on diarrhea and immune responses of weaned pigs. A total 36 weaned pigs ($5.92{\pm}0.48kg\;BW$; 28 d old) were randomly allotted to 2 dietary treatments (3 pigs/pen, 6 replicates/treatmen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 typical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 and CON with 0.1% multienzyme (Multi; mixture of ${\beta}-mannanase$, xylanase, ${\alpha}-amylase$, protease, ${\beta}-glucanase$, and pectinase). Pigs were fed their respective diets for 6 wk. Frequency of diarrhea, levels of packed cell volume (PCV), white blood cells (WBC), immunoglobulins, cortisol,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 and C-reactive protein (CRP) were measured. Multi group tended to decrease (p<0.1) diarrhea frequency than CON group during 2 wk after weaning. Lower values of PCV on d 3 (p<0.05) and d 7 (p<0.1) were found in Multi group compared with CO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WBC number and immunoglobulin (Ig) M and A between Multi and CON groups. However, Multi group tended to increase (p<0.1) Ig G on d 7 than CON group. Moreover, Multi group showed modulated immune responses, indicated by decreased levels of cortisol (p<0.05) on d 7 and 14, $TNF-{\alpha}$ on d 3 (p<0.05) and d 7 (p<0.10), $TGF-{\beta}$ on d 2 (p<0.05) and d 7 (p<0.10), and CRP (p<0.10) on d 3 and 7 after weaning compared with CON group. Consequently, inclusion of multi-enzyme in diets for weaned pigs improved gut health and modulated immune responses of weaned pigs.

Appropriate level of alfalfa hay in diets for rearing Simmental crossbred calves in dryland China

  • Kobayashi, Nobuyuki;Hou, Fujiang;Tsunekawa, Atsushi;Chen, Xianjiang;Yan, Tianhai;Ichinohe, Toshiyos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2호
    • /
    • pp.1881-1889
    • /
    • 2018
  • Objective: In dryland areas of China, alfalfa hay (AH) is a possible substitute for concentrate feed for beef cattle. To evaluate the potential benefits of this substitution, we studied the effect of the ratio of AH intake to total dry matter (DM) intake on average daily body-weight gain (ADG), dietary energy utilization status, and economic benefit in Gansu province. Methods: In each of two feeding trials in 2016 (trial 1 [T1], July 3 to 17; trial 2 [T2], August 15 to September 23), crossbred male Simmental calves were allocated to low AH (LA), medium AH (MA), and high AH (HA) feeding groups (n = 4 per group). The target ADG was set as 1 kg for both trials. In a one-way-layout design based on conventional feeding practices in the province, calves received diets containing the different AH amounts, with a constant ratio of corn stover:total DM and decreasing rations of concentrate feed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in AH. Calves in T1 received AH at 15% (T1-LA), 23% (T1-MA), or 31% (T1-HA) of their dietary DM allowances; those in T2 received 9% (T2-LA), 24% (T2-MA), or 34% (T2-HA) AH. Results: Among the T1 groups, both ADG and economic benefit were highest in T1-LA; whereas in T2, they were higher in the T2-LA and T2-MA groups than in T2-HA. Energy digestibilit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groups in either trial. The dietary AH inclusion ratios of 14% in the warm season and 8% to 21% in the cool season appeared to yield optimal ADG, metabolizable energy intake, and economic benefit. Conclusion: Low-level inclusion of AH, ranging from 8% to 21%, is a practical approach for beef cattle feeding. This modified feeding regimen likely will promote increased growth performance during the fattening stage of beef steers in dryland areas of Gansu province, China.

꽃송이버섯 병재배 적합 배지 개발 (Development of suitable substrate of Sparassis latifolia for bottle cultivation)

  • 권희민;이윤혜;최종인;전대훈;이용선;이영순;김정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6-131
    • /
    • 2019
  • 병재배에 적합한 꽃송이버섯 안정생산 재배기술 개발 연구를 위하여 낙엽송발효톱밥을 주배지로 하여 영양원으로 밀가루, 파옥쇄, 면실피, 비트펄프, 옥분, 옥피 6종을 혼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낙엽송발효톱밥+비트펄프+옥분(80:15:5, v/v) 처리에서 재배기간이 단축되고 수량이 높아 병재배에 적합한 배지로 선발하였다. 선발 배지의 균사배양 기간이 64일로 다른 처리에 비해 길었으나 균사배양과 원기형성이 동시에 진행됨에 따라 생육실로 입상하여 발생되는 기간이 단축됨으로써 생육 및 수확 기간이 단축되었다. 또한, 총 재배기간은 약 94일로 대조배지에 비해 약 17일정도 단축되었으며 첫 수확일부터 마지막 수확일까지 약 4일정도 소요됨으로써 수확기간이 짧아 재배사 운용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집균주인 GMSL69033 계통은 선발 배지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수량이 높았다. 대조배지 104.3g에 반해 126.6g으로 약 18% 증가하였다. '너울' 품종에서 면실피와 옥분(15:5, v/v)처리와 선발한 배지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수량이 높았으며 각각 121g, 128.5g이었다. 이 때 생물학적 효율은 면실피와 옥분(15:5, v/v) 배지에서 53.3%, 선발 배지에서 60.0%로 생물학적 효율 또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발 배지에서 균주 간 차이 없이 수량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너울' 품종에서는 선발 배지가 대조배지에 비해 수량이 약 21%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꽃송이 버섯 병재배 시 낙엽송발효톱밥+비트펄프+옥분(80:15:5, v/v)가 안정생산용 배지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의 이화학성은 수분함량 70%, pH 4.7, C/N율 106.4, 공기충전공극률 38%이었다.

1,2-Dichloropropane (1,2-DCP)-Induced Angiogenesis in Dermatitis

  • Jin, Meiying;Hong, Youngeun;Lee, Hyunji;Tran, Quangdon;Cho, Hyeonjeong;Kim, Minhee;Kwon, So Hee;Kang, Nak Heon;Park, Jisoo;Park, Jongs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361-369
    • /
    • 2019
  • 1,2-Dichloropropane (1,2-DCP) has been used as an industrial solvent and a chemical intermediate, as well as in soil fumigants. Human exposure may occur during its production and industrial use. The target organs of 1,2-DCP are the eyes, respiratory system, liver, kidneys, central nervous system, and skin. Repeated or prolonged contact may cause skin sensitization. In this study, 1,2-DCP was dissolved in corn oil at 0, 2.73, 5.75, and 8.75 mL/kg. The skin of mice treated with 1,2-DCP was investigated using western blotting,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stry. 1,2-DCP was applied to the dorsal skin and both ears of C57BL/6J mice. The thickness of ears and the epidermis increased significantly following treatment, and the appearance of blood vessels was observed in the dorsal skin. Additionally,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which is tightly associated with neovasculariz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levels of protein kinase-B (PKB), phosphorylated PKB,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and phosphorylated mTOR, all of which are key components of the phosphoinositide 3-kinase/PKB/mTOR signaling pathway, were also enhanced. Taken together, 1,2-DCP induced angiogenesis in dermatitis through the PI3K/PKB/mTOR pathway in the skin.

표고 수출용 완성형 배지의 적합 배지조성 선발 (Evaluation of medium composition for developing an export-quality complete medium for Lentinula edodes)

  • 이관우;전종옥;김주형;김인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5-240
    • /
    • 2022
  • 수입되는 중국산 완성형 배지를 대체하고, 수출에 적합한 표고 완성형 배지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참나무톱밥+미송톱밥+파옥쇄(40:40:20, v/v) 혼합배지인 T13에서 pH 5.3으로 대조구와 비슷하였으며 C/N율은 82로 대조구 52 대비 높게 나타났다. 배지조성별 균사 생장을 조사한 결과 영양원으로 파옥쇄 혼합 시 균사 생장이 빨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조구 대비 균사 생장이 빠르고 밀도가 높은 3가지 처리를 1차 선발하였다. 1차로 선발된 3가지 처리를 본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특성을 조사한 결과 T12, T13, T18 3처리 모두 대조구 대비 배양기간이 단축되었고, 그 중 T13에서 대조구 대비 '농진고'는 12일, '참아람'은 10일 배양기간이 단축되었으며 특히 2품종 모두 갈변 소요일수가 크게 단축되었다. 1차 선발한 3처리를 재배생육한 결과 '농진고'는 T13에서 대조구 대비 갓이 크고 두꺼웠으며, 대도 길고 굵어 개체중이 높게 나타났다. '참아람' 품종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대 직경은 대조구 대비 가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1주기부터 5주기까지의 배지조성에 따른 혼합배지별 수량은 파옥쇄가 영양원으로 혼합된 T12, T13, T18 배지조성에서 대조구 대비 모두 수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중 T13에서 대조구 대비 '농진고'는 5.9%, '참아람' 12.6% 증수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참나무톱밥+미송톱밥+파옥쇄(40:40:20, v/v) 혼합배지를 표고 완성형 배지의 적합 배지로 최종 선발하였다.

배지영양원 및 톱밥종균 저장기간에 따른 표고 '화담'의 자실체 생산성 (Fruiting body productivity of Lentinula edodes 'Hwadam' as determined by nutrient supplements and storage period of sawdust spawn)

  • 김정한;백일선;최종인;강영주;하태문;정구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5-60
    • /
    • 2022
  • 표고 '화담' 자실체 생산에 적합한 배지 영양원과 톱밥종균의 적정 사용기간 설정을 위하여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실체 생산에 적합한 배지 영양원은 미강(5%)+옥분(5%) 혼용구로 이때의 수량은 676.3 g으로 미강 단용구(551.6 g) 및 밀기울 단용구 (546.7 g)보다 우수하였다. 톱밥종균 저장기간별 생육결과, 저장기간과 상관없이 배양기간은 27일, 갈변기간 81일, 발이기간 5일, 생육기간 11~13일로 1주기 수확까지 총 124~126일이 소요되었다. 저장 1~3개월 톱밥종균은 3주기 평균발이수 5.2~6.1개, 총수량은 537.8~621.2 g이었는데, 이후부터 발이수와 수량이 감소하여 저장 12개월차에는 평균발이수 2.9개, 총수량 294.4g으로 낮아졌다. 따라서, 표고 '화담'의 자실체 안정생산을 위한 톱밥종균의 적정 사용기간은 1~3개월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