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 cob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Biocomposites from polypropylene and corn cob: Effect maleic anhydride grafted polypropylene

  • Husseinsyah, Salmah;Marliza, M.Z.;Selvi, E.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3권3호
    • /
    • pp.129-137
    • /
    • 2014
  • Biocomposites from polypropylene (PP) and corn cob (CC) we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rn cob content and maleic anhydride polypropylene (MAPP) as compatibilizer were studied. Results showed that addition of corn cob (CC) in PP have decreased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whereas modulus of elasticity of biocomposites increased. The biocomposites with the MAPP as compatibilizer exhibited higher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compared biocomposites without MAPP. The morphology study of biocomposites indicates that enhanced the interfacial interaction and adhesion between filler and matrix with the presence of MAPP.

Effects of Corn Cob-based Diets on the Levels of Nutritionally Related Blood Metabolites and Onset of Puberty in Mukota and Landrace×Mukota Gilts

  • Mashatise, E.;Hamudikuwanda, H.;Dzama, K.;Chimonyo, M.;Kanengoni,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69-147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s of nutritionally related blood metabolites, age and body weight at puberty in gilts fed on corn cob-based diet in Mukota and Landrace${\times}$Mukota crossbred gilts. Ten gilts of each of Mukota and crossbred genotypes were fed two diets for 14 weeks in a 2${\times}$2 (breed${\times}$diet) factorial treatment arrangement. A corn-cob based diet, designed to contain 2,304 kcal ME/kg, and a standard pig grower diet, were used. The corn cob constituted 20 percent of the total ration. Fortnightly, bodyweights and feed conversion ratios (FCR) were record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blood glucose, urea and creatinine levels. The average daily bodyweight gain (ADG) in the Mukota was lower (p<0.05) than in the crossbred gilts. Crossbred gilts fed on the corn cob-based diet had lower (p<0.05) urea values from eight weeks from the start of the experiment (p<0.05) compared to Mukota gilts fed the same die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lood glucose and creatinine concentrations between diets and genotypes. The lack of differences in the nutritionally-related blood metabolites suggest that corn cobs could be incorporated at 20 percent inclusion without compromising blood metabolite concentrations and age at puberty of the Mukota and Landrace${\times}$Mukota gilts.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Cement-Bonded Boards Produced from Mixture of Corn Cob Particles and Gmelina arborea Sawdust

  • Adelusi, Emmanuel Adekanye;Olaoye, Kayode Oladayo;Adelusi, Felicia Temitope;Adedokun, Samuel Ayotund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79-89
    • /
    • 2021
  • Cement bonded boards of 10 mm in thickness were produced from the mixture of Gmelina arborea sawdust and corn cob particles. The strength and dimensional stability of cement bonded composites produced from these two mixtures were examined. A total of thirty experimental boards were produced at density level of 1,000 kg/㎥ with cement to fibre ratio of 2.5:1 and 3:1 and five (5) blending proportions of G. arborea sawdust to corn cob particles of 100:0; 75:25; 50:50; 25:75 and 100:0. The effect of the cement to fibre ratio and blending proportion on the Water Absorption (WA), Thickness Swelling (TS), Modulus of Rupture (MOR), and Modulus of Elasticity (MOE) were determined. The result indicates that as the mixing ratio of cement to fibre and blending proportion of maize cob (75%) to G. arborea (25%) increased, the thickness swelling, water absorption decreased, whereas the MOR and MOE increased. It also shows that most dimensionally stable and flexural strength boards were produced at the highest level of mixing ratios (3:1) and blending proportion of G. arborea to corn cob 25:75. However, the analysis of variance shows that TS and W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hereas, MOE and MOR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mixing ratios and blending proportions. Finding of this study has shown that maize cob particles are suitable for cement bonded board production.

추출시간에 따른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의 품질특성 (Effects of Extraction Tim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rple Corn Cob Extract)

  • 정지윤;박희진;김병희;김성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339-344
    • /
    • 2015
  • 본 연구는 자색 옥수수 속대의 가공식품 및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서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자색 옥수수의 속대 추출 시간을 달리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추출 시간에 따른 자색 옥수수 속대 추출물 분석 결과, 자색 옥수수 속대를 $30^{\circ}C$에 24시간까지 추출하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용성 고형물 및 적색도의 증가와 명도 및 황색도의 감소가 나타났다. 그러나 추출 시간이 24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품질 특성은 24시간 추출물과 유사하거나 가용성 고형물 및 적색도가 감소하였으며 명도 및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항산화 활성은 추출 24시간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며 24시간 이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자색 옥수수 속대는 가용성 고형물 함량, 안토시아니딘 함량, 항산화활성이 24시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기 때문에 자색 옥수수 속대의 최적 추출 시간은 24시간으로 판단되었다.

옥수수 부산물을 이용한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 활용 가능성 연구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Using Wrinkle-improving Functional Materials from Corn By-products)

  • 김혜진;최우석;이준섭;김자영;김무한;이창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7-1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 되는 옥수수 부산물을 이용하여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초당 및 찰옥수수 10 개 품종에 대해 부위별 유효성분 탐색 및 정량분석을 통하여 업사이클링(upcycling) 소재로의 활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당 및 대학찰옥수수의 부위별(알곡, 속대, 포엽, 수염)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량 측정으로 주름 개선 효능평가 결과, 속대가 100 ㎍/mL의 농도에서 각각 176.5, 140.0%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속대에서 LC-MS/MS 정성분석으로 18 개 성분이 검색되었으며, 이 중 N,N'-diferuloylputrescine (DFP)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품종 및 부위별 정량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속대 및 알곡에서만 DFP가 확인되었으며, 속대에서는 초당옥수수의 골드슈가(39.6 ㎍/g), 찰옥수수의 대학찰(38.4 ㎍/g) 품종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속대는 알곡을 탈립 후 남은 부산물로써 콜라겐 생성 촉진 소재로서 부가가치를 새롭게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를 통해 버려지는 속대의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부냉동식품에서의 Lipoxygenase와 이취발생관계 (Lipoxygenase and Off-flavor Development in Some Frozen Foods)

  • 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56
    • /
    • 1981
  • 냉동 단옥수수에서 발생하는 이취와 lipoxygenase 역가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려 여러 가지 시험이 수행되었다. 수확직후 단옥수수의 lipoxygenase 역가는 전체의 약 60%가 배아부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숙하지 않은 채 단옥수수를 냉동 저장했을 때 저장중에 이취가 발생되었으며, 이취가 발생된 단옥수수의 flavor profilerk가장 중요한 변화는 대조구에 비하여 $4{\sim}5$배 높게 나타난 hexanal peak였다. 살균 처리한 단옥수수에 lipoxygenase를 단독 또는 다른 효소와 혼합하여 첨가한 처리구에서 높은 hexanal peak가 관찰되었는데, 이런점으로 미루어보아 이취가 발생된 단옥수수의 높은 hexanal peak는 리놀레산(그리고 기타 불포화 지방산)이 lipoxygenase의 촉매작용으로 산화된데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Lipoxygenase의 역가와 리놀레산 함량분포를 근거로 관찰해 보면 이런 산화작용이 대부분 배아부분에서 일어난다고 할 수 있겠다. 냉동 저장한 대공에 붙은 단옥수수(corn-on-the-cob)의 관능시험결과와 배아부분의 hexanal peak간에는 유의성이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냉동 단옥수수의 이취발생여부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hexanal peak를 사용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 PDF

느타리버섯 압축배지 재료에 대한 최적 배합 연구 (The optimum material mixture rate of the pressing media in Pleurotus ostreatus)

  • 장현유;노문기;최병국;변재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1-178
    • /
    • 1999
  • 느타리버섯 균사 배양에 배지의 최적 혼합비를 구하기 위해 주재료인 면실피, 톱밥, 볏짚과 부재료인 제올라이트, 옥수수강, 탈지강, 백솜, 이분, 왕겨, 피이트를 사용하였다. 주재료인 면실피 톱밥 : 볏짚의 최적 혼합비는 6: 3: 1 (V/V, %)이었으며 각각 부재료의 최적 혼합비는 제올라이트 1%, 옥수수강 3%, 탈지강 5%, 백솜 1%, 이분 1%, 왕겨 7%의 순으로 균사생장과 밀도가 양호하였다. 주재료에 부재료 두 종류씩 혼합하였을때 최적 혼합비는 제올라이트:옥수수강의 경우 2:2(V/V, %), 탈지강과 백솜의 경우 3:2(V/V, %), 이분과 왕겨의 경우 1:3(V/V, %)이었다. 이를 다시 주재료와 부재료 모두를 함께 혼합할 경우 면실피 :톱밥 : 볏짚 : 제올라이트 : 옥수수강 : 탈지강 : 백솜 : 이분 : 왕겨 : 피이트를 43.0 : 17.2 : 25.8 : 2.0 : 2.0 : 3.0 : 2.0 : 1.0 : 3.0 1.0(V/V, %)로 혼합하였을 때 균사생장과 밀도가 모두 양호하였다.

  • PDF

수분(水分)첨가된 옥수수(Corn-Cob-Mix)의 펌프 운송(運送) 시(時)의 유체성질(流體性質) 구명(究明) (Flow Properties of Water Additive Corn-Cob-Mix for Handling by Pump)

  • 오인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4권1호
    • /
    • pp.33-40
    • /
    • 1989
  • The flow properties of water added com-cob-mix(CCM) were studied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signing its pumping system. For the study, a model system similar to actual situation was constructed. From the experimen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low properties of the water added CCM has close relationship with its moisture content as follows; 1. The pressure drop caused by friction was very low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water added CCM was more than 70%. However, wh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aterial is about 60%, the pressure drop increases up to 10 kPa/m at low pumping speed, and 20 kPa/m at high pumping speed, respectively. 2. The water added CCM having about 65% moisture content showed pseudo-plastic flow characteristics. 3. A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material decreases, the shear stress increases more rapidly than the shear rate does. Finally, below approximately 60% moisture, the shear stress becomes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shear rate. 4. It was possible to pump the material having the moisture content down to 58% through a pipe having 80 mm diameter by a pump operating at 234 rpm. However, by either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pipe or decreasing the pumping speed, it can be possible to pump the material having lower moisture content than 55%.

  • PDF

도입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과 식물체 부위에 대한 사료가치와 생산성 비교 (Comparison of the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According to Varieties and Plant Parts of Imported Silage Corn (Zea mays, L))

  • 김종근;;;정은찬;김학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8-105
    • /
    • 2020
  • 본 시험은 도입되는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품종과 식물체 부위에 따른 사료가치와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옥수수 품종은 미국 Pioneer Hybrid Co.에서 도입된 8개 품종(P1184, P1151, P1194, P1543, P1345, P1429, P1443 및 P2105)으로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내에 있는 시험포에서 수행하였다. 수확한 옥수수는 전체 5개 부위(leaf, stem, cob, husk 및 grain)로 분리하여 건조한 후 각 부위별 비율을 산정하였고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옥수수의 출현율은 P1151 및 P2105품종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양호하였다. 출수기는 평균 7월 24일, 출사기는 7월 27일 이었으나 P2105 품종은 7월 28일 및 8월 1일로 늦었고 나머지 품종은 비숫하였다. 초장 및 착수고에 있어서는 P1345 품종이 가장 컸으며(289 및 123 cm), P1151 품종이 가장 작았다(267 및 101 cm). 질병 저항성은 P1184, P1443 및 P1429에서 낮았고 P1197 및 P1345는 높았다. 건물함량은 경엽의 경우 P1151 품종에서 19.6%로 가장 낮았으며 P1429 품종에서 2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이삭은 만생 품종인 P2105 품종이 가장 높았고(55.5%) P1184(54.2%) 및 P1345(54.3%) 품종도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P2105, P1429 및 P1194 품종의 경엽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p<0.05), P2105, P1345 및 P1443 품종의 암이삭 건물 수량이 높았다. 5개의 부위로 분리된 식물체(Leaf, Stem, Husk, Cob 및 Grain)의 각 부위별 비율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암이삭에 해당하는 grain과 cob 합의 비율이 50~60%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비율을 보였다. 포엽(husk)와 속대(cob)의 비율은 대체적으로 비슷하였으며 잎과 줄기는 약 20% 내외의 비율을 보여주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잎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grain이었다. 줄기의 조단백질 함량은 가장 낮았으며 포엽(husk)은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ADF 함량은 곡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비슷하였지만 잎 부분이 더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줄기와 잎을 제외한 다른 부위는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NDF 함량은 husk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부위는 품종간에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품종별로 부위에 따라 특별한 차이를 보였는데, 줄기는 P2015, 잎은 P1197, 속대는 P1151 포엽은 P1197 그리고 알곡은 P1197에서 NDF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건물 소화율은 줄기와 알곡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잎과 암이삭을 구성하는 포엽과 속대에서는 품종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시험에 P2105 품종의 건물수량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알곡의 비율은 P1543 및 P1345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사료가치는 잎과 곡실 부분이 높았으며 잎과 줄기가 husk나 cob보다는 사료가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Screening of-Lyophyllum Decastes-Highly Productive Cultivable Strains

  • Wei, Shenglong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7-47
    • /
    • 2014
  • In order to explor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Lyophyllum decates on different media, ten cultivation media by using cottonseed hull, sawdust, corn cob etc. as main components were designed for seven strai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ycelial colour of all strains are mainly snow-white, and the formula of media using corn cob as main materials was better than that using cottonseed hull and sawdust for mycelial growth, but no fruiting body was formed. The cottonseed hull medium with a small amount of sawdust, plant leaves, humus or fermented material and wheat was beneficial for fruiting formation. The incubation period for fruiting formation of strain 3001 was 108 days and the highest yield was-214.80 g/bag. Fructification of the strains tasted occurs successively in order of 3001, 1035, 1004 and 1013. It was concluded that different medium composi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