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competency index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1초

기업의 핵심역량 집중도와 IT 아웃소싱 성숙도 평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tensity Index of Core Competency and Evaluation of Maturity Index of IT Outsourcing)

  • 이학선;김정포;오승호;남기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2권2호
    • /
    • pp.45-61
    • /
    • 2005
  • Recently,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IT outsourcing and core competency of the corporation. Many companies are expected to focus on core competency rather than reduce IT cost from IT Outsourcing. But, by this time there are no a framework for evaluating intensity of core competency and maturity of IT outsourcing capability. This paper is conducted to provide a framework for evaluating intensity of core competency and maturity of IT outsourcing capability. This paper is to verify if the company's core competency and IT outsourcing capabil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ach other.

  • PDF

병동 간호사의 임상등급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in General Wards)

  • 박미란;김남초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7-271
    • /
    • 2014
  • Purpose: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done to develop a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based on the clinical ladders of nurses working in wards. Methods: Thirty clinical experts and 501 ward nurses evalu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A survey using the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was conducted with 114 nurses to evaluate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Res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dentified 13 components of nursing competencies and 30 core nursing competencies based on each of the 4 grade clinical ladder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or the total was .92. Cronbach's ${\alpha}$ reliabilities of each clinical ladder grade were .83 for Grade I, .84 for Grade II, .81 for Grade III, and .84 for Grade IV.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of the scale with 120 individual items was 0.976~1.000 for Grade I scale, 0.986~1.000 for Grade II scale, 0.984~1.000 for Grade III scale, and 0.992~1.000 for Grade IV scale. The expert group nurses' average degree of nursing competence measured using the scale was 3.38~3.75 out of 4.0. Conclusion: Through this process, 120 final questions were confirmed to represent items of the Nursing Competency Measurement Scale based on clinical grade.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Model of Intellectual Capital of the Public Library)

  • 장우권;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71-397
    • /
    • 2012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지적자본과 평가지표를 통한 도서관의 지적자본 평가모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지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창출자이다. 연구에서는 정보생태환경에 기반을 둔 도서관의 핵심역량과 지표, 지적자본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평가모형을 도서관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의 내외적 환경에 대한 가치와 역량을 정량과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 진출역량 계량화 연구 (Quantification of a Global Construction Core Competencies for Korean Construction/Engineering Firms)

  • 김상범;김용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2541-2549
    • /
    • 2013
  • 국내 건설 및 엔지니어링 산업은 근래 복지를 중시하는 정치, 사회적인 풍조로 인하여 인프라에 대한 투자 감소, SOC 예산의 감소, 대형 건설 산업에 대한 국민적 반감 등 총체적인 위기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하여 건설 및 엔지니어링 기업들은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업체 및 인력의 해외진출 관련 역량에 대하여 명확히 판단할 수 있는 정량적 바로미터가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부분에서 건설산업 역량 및 지표관련 연구 및 문헌을 조사하여 현재 도출된 건설산업 해외진출 관련 역량 및 분석법을 조사하고 이후, 거시적 미시적 환경분석을 통하여 건설산업과 연관된 역량들을 도출하여 앞서 진행한 연구 및 문헌조사의 결과와 함께 분석하여 국내 건설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역량들을 도출한다. 이후 실무자 위주의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AHP 분석을 실시하여 각 역량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역량별 가중치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각 역량별 가중치를 이용한 건설 해외역량 지표를 시공 및 엔지니어링의 관점에서 각각 도출하였다.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도출된 지표는 주로 사업관리 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며 금융관리 부분의 PF 사업 진출확대 및 글로벌 협력 역량을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엔지니어링 분야의 기존 업무인 설계 뿐만 아니라 사업관리 및 금융관리부분으로의 업무영역 확대의 필요성을 느끼고, 확대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공 분야에서 도출된 지표는 모든 영역에서 고르게 분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실제 현장에서 활용하는 기술의 필요성은 의심의 여지가 없으나 사업관리 및 금융관리 에서도 건설 기술과 비등하게 가중치가 높게 도출되어 현재 해외에서 원하는 사업방식인 EPC 사업에서의 기술 외 영역이 중요해 짐에 따라 강화를 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출된 지표는 해외진출을 위해 현재 가지고 있는 역량을 평가하고 이 중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향후 개발해야 할 역량에 대한 바로미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외진출역량의 정량적 측정 이외에도 이러한 지표와 업체의 수주량/수주액 등과 직접적인 대조를 통한 성과측정의 방법론으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허 분석을 통한 지역맞춤형 미래유망산업 발굴 및 도출에 관한 연구 : 부산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Discovering locally customized and future promising industries using patent analysis : Centered on the Case of Busan city)

  • 김현우;심위;권오진;노경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29-1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치단체의 관점에서 정부 정책, 지역 역량, 산업 유망성 등을 모두 고려한 지역 맞춤형 미래 유망 산업 발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부의 '5개년 지역산업발전 종합계획(2014)'에 명시된 지역별 주력/협력산업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해당 산업군의 특허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역별 과학기술 역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산업별로 연결된 IPC(: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를 토대로 지식스톡(Knowledge Stock')과 연구활동지수(Activity Index) 등을 산출하여 세부산업별 유망성을 확인하였다. 부산 지역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표준산업분류 세세분류(5자리)를 기준으로 부산의 유망산업 예비 후보군 94개 분야 및 유망산업 핵심 산업군 7개 세세분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은 지방자치단체가 근거기반의 효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지역 개발 로드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지식지표의 통합 및 구조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ggregation and Structuring of Technological Knowledge Indicators)

  • 박광만;신준석;박용태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3년도 제22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40
    • /
    • 2003
  • Though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accumulation of technological knowledge has been the core competency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 firms and to raise the innovation capability of social and economic systems, only single or fragmentary variables, such as R&D expenditure, R&D stock,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the number of R&D employee have been adopted to measure the amount of technological knowledge. In this research, we use nine conventional technological knowledge measures under the conceptual structure of input-output framework to technological knowledge. Applying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nine proxy measures quantitatively and suggest the new approach for the calculation of technological knowledge index as a aggregated measure.

  • PDF

조직의 창의성 수준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Level)

  • 노풍두;조용곤;조근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9-138
    • /
    • 2011
  • 최근 급속한 기술 환경의 변화와 글로벌 경쟁 하에서 조직의 핵심역량으로 창의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창의성은 기술혁신의 시작이며 성공으로 이끄는 가장 중요한 동인이다. 복잡한 창의성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창의성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연구는 창의성에 대한 한두 가지 요인들의 관련성만 다루고 있어 전체적인 관련성을 파악하기가 힘들었으며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도구도 부족한 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성을 각 수준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요소를 규명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창의성을 구성하는 3가지 수준을 제시한다. 둘째, 각 수준별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조직의 창의성 수준 평가모델은 현재 수준에서 조직의 창의적 역량과 잠재력을 평가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AI와 인간 공생의 시대를 위한 디지털휴먼공감지표 개발 (Digital Human Empathy Index (DHEI) for the Era of Human-AI Symbiosis)

  • 이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16
    • /
    • 2022
  • 현재 AI의 기술력은 과거 인간만이 가진 능력을 초월할 정도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머지않은 미래, 앞으로 인간과 AI는 메타버스 사회 구성원으로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에서 AI와 인간이 공생하게 될 시대, 인간이 스스로 존엄성을 지켜가며 행복한 삶을 추구하며 살아갈 수 있는 핵심 역량으로써 공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이 대두되는 사회적 성격을 반영하여, '디지털휴먼공감지표(DHEI)'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총 1,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총 7개의 요인, 28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DHEI는 관점수용, 자기/타인 인식, 사회체계 장벽의 문맥적 이해, 영향력 가늠, 연대적 노력, 평화 추구, 기기 인격화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감에 대한 새 기준을 제시하며 미래인재교육의 방향 설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비 교사의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 방향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Building Up Smart Literacy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 전미연;김미연;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1-426
    • /
    • 2013
  • 본 연구는 스마트 환경으로 바뀌는 교육 시스템 하에서 향후 교수 학습을 진행할 예비 교사들의 스마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정착되기 위해서 무엇보다 현직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스마트 교육을 진행할 예비 교사들의 스마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을 확보하고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 제안할 필요성이 있어 이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스마트 리터러시 기초 조사를 통해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고, 둘째, 교사의 스마트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 지표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의 역량 수준을 분석하였다. 셋째, 예비 교사의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연구의 대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교사에게 적용할 스마트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정의와 스마트 교육을 위한 핵심 역량 기준 지표를 도출할 필요성이 있고,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필요성, 실제 현장과 같은 첨단 학습 환경에서 스마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현장 적응력을 키울 도록 스마트 리터러시 핵심 역량 강화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PDF

Research Analysis on STEAM Education with Digital Technology in Korea to Prepare for Post-Corona Era Education

  • Hyun, Jung Suk;Park, Chan 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3호
    • /
    • pp.101-110
    • /
    • 2020
  • Problem solving in real life is a core competency commonly adopted in several subjects recently. The real-world problems were rarely resolved with only one domain of knowledge. Thus, convergence education is becoming a trend in many countries. As on-line education is revitalized because of COVID-19, the need for changes to STEAM education is emerging. In December 2019, the on-line education systems quickly settled in schools because of COVID-19.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most school education was conducted as virtual/distance learning class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much technology has been used in the STEAM classes in Korea. This paper analyzes the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STEAM education in Korea conducted in the last 10 years. By doing this, we analyze what kind of edutechs we were interested in, what kind of STEAM education actually occurred, and to whom it was conducted. The previous research papers analyzed in this paper are the papers in the Korea Citation Index accredited journals and candidate journals. Finally, this paper proposes educational changing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future technology-based STEAM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