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e Nursing Skill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1초

The effect of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n Core Nursing Skills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 Ji-Yeong Ryu;Seo-A Par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45-152
    • /
    • 2024
  •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경상북도 소재 K대학교 간호학과 3,4학년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학년(F=-2.08,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자기효능감(r=.50, p<.001)과 전공만족도(r=.62,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β=.49, p=.002), 자기효능감(β=.24, p<.001)으로 41.7%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전략을 수립하고 이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PA을 기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중요도인식 및 수행도와 전공만족도 과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PA-based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Major Satisfaction)

  • 장미영;김은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98-140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technical stud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are ahead of clinical practice,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Method: The subjects were 208 second-year students enrolled in the four-year nursing department located in J City and C City. General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 of clinical practice,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majors were investiga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IPA a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are follows.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p<.001).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mportanc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the core basic nursing items, the importance recognition was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erformance level in all 20 items. It showed high resul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40, p<.01) with major satisfaction in core basic nursing perform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to develop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arning strategy through various learning guidance methods and self-directed learning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items with low performance, although recognized as important through the Core Basic Nursing IPA for nursing students who are about to practice clinical practice. It is suggested to do repeated research applied.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수행자신감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education on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e, Confidence and Anxiety)

  • 윤은주;박영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9-45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을 시행한 후 간호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불안의 전 후 차이를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176명이며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은 2016년 12월 20일~23일까지 진행되었다.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 전, 후로 간호수행능력, 수행자신감, 불안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 후 간호대학생들의 핵심기본간호술 간호수행능력(t=-11.57, p<.001)과 수행자신감(t=-10.21, 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불안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4.76, p<.001). 이에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이 임상실습전 간호대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불안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므로 학년에 따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재교육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실습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동료평가를 활용한 실습교육평가방법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using Peer Evaluation 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51-361
    • /
    • 2019
  • 본 연구는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의 실습교육평가방법이 졸업반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핵심기본간호술 교과목 수강자 4학년 학생으로 총 32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한 학기동안 실시하였다. 자료는 AMOS 20.0과 SAS 9.3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동료평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의 평균평점은 3.77(${\pm}.62$)점, 학습태도 3.17(${\pm}.47$)점, 비판적 사고는 3.44(${\pm}.41$)점, 셀프리더십은 3.60(${\pm}.49$)점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성별, 간호학 전공만족도, 핵심기본간호술 실습만족도, 동료평가 전 사전학습여부, 동료평가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학습태도(r=.295, p<.001)와, 비판적사고는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r=.384, p<.001), 학습태도(r=.623, p<.001)와, 셀프리더십은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r=.353, p<.001), 학습태도(r=.529, p<.001), 비판적사고(r=.690, p<.001)와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비판적사고, 셀프리더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을 고려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내실습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On-Campus Practicum for Core Basic Nursing Skills Using a Mobile Based Reflective Log)

  • 최한나;송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92-400
    • /
    • 2021
  • 핵심기본간호술은 간호사가 환자를 효과적으로 돌보기 위해 반드시 가져야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기반의 성찰일지를 활용하여 교내실습 과정을 소개하고, 핵심기본간호술을 수행할 때 학생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Kolb의 경험적 학습 과정을 기반으로 교내 실습을 진행한 후 분석되었다. 분석 자료로 학생들이 각 수업에 대하여 작성한 모바일 기반의 온라인 성찰일지를 활용하였다. 성찰일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술기 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지식, 기술(수행), 태도로 구분하여 파악하였고,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난이도, 중요도, 자신감도 평가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평가 결과 학생들은 특히 기술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측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정맥수액주입 및 유치도뇨와 같이 핵심술기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항목에서 자신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 이상의 학생들이 정맥수액주입 및 활력징후 측정을 가장 중요한 핵심기본간호술로 간주하였다. 향후 학생들의 핵심술기 수행 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교수법의 적용과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Core Nursing Skills Educ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Peer-Assisted Learning (PAL) Among Nursing Students

  • Lee, Mi-Young;Kim, Bo-Yeou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3호
    • /
    • pp.39-46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eer-assisted learning (PAL) program for use in a core nursing skills education cours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three key outcomes.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division of students of a core nursing skills education program into a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s,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atisfac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The comparison of these three factors indicated that the related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receiving the education program with the PAL method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receiving traditional education. We concluded that self-efficacy gave the nursing students the confidence that they could successfully perform their tasks and motivation to learn.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PAL method are suggest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acquisition of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동료 교수학습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using Peer-tutoring on Confidence,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Practicing Core Nursing Skills)

  • 유명란;강명숙;김혜원;한혜리;최주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7-3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self-directed nursing practice using peer-tutoring, on the level of confidence,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practicing core nursing skill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0 junior nursing students at a nursing college in Daejeon before and after 3 weeks of intervention on practicing six core nursing skills, according to the highest order of prior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peer-tutoring practice group (PTPG, n=40) and the lecturer-guided practice group (LGPG, n=4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ean, frequency, and t-test. Results: The PTPG scor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LGPG on the performance of 'indwelling urinary catheterization' and 'wearing protection equipment while entering quarantine room & disposing waste'. The PTPG scor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LGPG on the confidence of 'indwelling urinary catheterization' and 'inserting intravenous catheterization'. The PTPG scored statistically higher on learning satisfaction than LGPG.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self-directed nursing practice using peer-tutoring could be effective for nursing students in improving proficiency in core nursing skills and might be applied to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Program 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Clinical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62-37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반 간호학생에게 한 학기 동안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의 원시실험연구였다.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은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총 12회기로 운영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간호대학의 졸업학년 총 192명이었으며 2017년 3월 20일부터 6월 23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는 AMOS 20.0과 S AS 9.3 프로그램을 이용해 기술통계와 paired t-test, t-검정, ANOVA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으로 수기능력 증진 도움 여부는 사전 $(3.42{\pm}.42)$점, 사후 $3.88({\pm}.61)$점, 임상적응력증진 도움 여부는 사전 $3.74({\pm}.47)$점, 사후 $(3.98{\pm}.67)$점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p=.017)과 임상수행능력(p=.041)은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상자의 사후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은 남성 군(p=.003), 간호학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군(p=<.000), 핵심경진대회 참여 목적은 자신감 향상 군(p=.044)에서, 사후 임상수행능력은 남성 군(p=.013), 간호학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군(p=.009), 핵심경진대회 참여 목적은 자신감 향상 군(p=.047), 사후 문제해결과정은 남성 군(p=.005), 간호학전공 만족도가 매우 만족한 군(p=<.000), 핵심경진대회 참여 목적은 자신감 향상 군(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졸업반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및 임상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을 통한 첫 간호의미 경험 (The Experience of Frist Nursing Meaning amo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 김미화;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6
    • /
    • 2021
  • 본 연구는 임상실습전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을 통해 간호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M대학교 간호학과 재학 중인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실습경험이 없고, 핵심기본간호술기수업을 후의 면담을 통해 분석되었다. K시 일개 대학의 3학년 재학생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을 처음 실시한 학생을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와 19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 되었다. 3개의 범주에는 1. 도움의 의미 2. 두려움의 극복, 3.간호술기습득 기회로 이었으며, 결론은 임상실습전 첫 핵심기본간호술은 서로에 대한 도움으로 간호의 진정한 의미를 알아가는 시간이었으며, 반복되는 연습으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고, 새롭게 알게 된 핵심간호술기의 습득은 자신감을 가지는 경험하게 되는 효과적인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본질적인 간호의 철학을 가지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핵심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 향상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이 지식, 수행,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based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Program on Knowledge, Nursing Practice,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이경미;정미란;임소연;유영미;민신홍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97-10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HMD 기반의 가상현실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이 간호 학생의 지식, 수행도, 수행자신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A지역 소재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학생 45명이며, 가상현실 활용 핵심간호술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21명, 마네킨 모형 사용의 고전적 방법을 활용한 대조군 24명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핵심간호술 훈련을 마친 후, 술기가 포함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0월 3일부터 10월 28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적 통계, t-검정(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이후 간호학생의 지식은 실험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고(t=-2.13, p=.039), 수행자신감은 대조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t=2.63, p=.012). 수행도,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가상현실을 활용한 핵심간호술 훈련은 간호학생들이 실제 수행을 하기 전 지식과 수행 절차를 익히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마네킨 모형을 사용하는 고전적 핵심간호술 훈련은 간호 학생들의 술기 자신감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