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perative Learning

검색결과 643건 처리시간 0.025초

Student Team-Achievemenl Division(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천문영역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STAD Model on High School Student' Learning Achievemen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he Field of Astronomy)

  • 박홍서;조용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640-648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천문영역에서 STAD 모형의 협동학습이 고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의 또 다른 목적은 천문영역에 있어서 향상 점수에 근거한 협동 학습과 교사 주도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전통적 학습 사이의 영향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천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2개 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협동학습 집단의 학생들은 협동학습 방법으로 주당 4시간씩 4주 동안 수업을 받았다. 협동학습을 받는 동안에 학생들은 매주 ‘태양계 탐사와 별’ 단원에 대한 형성 평가를 받았다. 그 결과, 위의 두 가지 접근 방법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지식에 있어서 상당히 다른 영향을 주었으며, 학생들이 전통적인 학습방법보다는 협동적인 학습방법에 보다 긍정적인 과학적 태도를 취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협동 학습은 천문학적 지식의 학습과 과학적 태도에 있어서 전통적인 학습보다 보다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과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 (Effect of Cooperative Skill Training on Problem Based Learning for Science Class)

  • 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27-335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협동기술 훈련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통제집단, 문제중심학습 집단, 협동기술 훈련을 한 문제중심학습 집단의 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과학 성취도와 자아존중감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협동기술 훈련에 무관하게 문제중심학습이 전통적 수업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능력이 중간인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는 협동기술 훈련을 한 경우, 전통적 수업 집단보다 과학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협동기술 훈련이 학습능력이 중간 이하인 학습자에게서 발생하는 무임승객효과를 줄이고 소집단활동의 협력적인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아존중감은 문제중심학습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학습능력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Personali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ity)

  • 김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46-75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창의성의 인지적인 측면인 창의적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인 창의적 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첫째, 협동학습역량과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향, 인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협동학습역량은 인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능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성향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향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인성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보고된 창의성 변인을 인지적 능력인 창의적 능력과 정의적 특성인 창의적 성향으로 세분화하여 인성이 함양되는 순차적인 매개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와 시사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학습효과 연구 (The Effect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 Learning in Computer Science)

  • 송민경;조용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67-175
    • /
    • 2012
  • 본 논문은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학습자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는 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협동학습은 우리나라 IT 기업들에서는 프로젝트 방식의 업무 처리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과학 분야의 학습자들에게 협동학습의 훈련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이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학습 유형 별 실험을 통해 어떠한 학습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설문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대학교에 컴퓨터 관련학과 전공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학습 방법에 기초해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효과 및 문제점을 논의한다.

Analysis of the Sociality and Democratic-Citizenship Changes from the Application of the Scratch Remix Function in Cooperative Learning

  • Kang, Oh-Ha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2호
    • /
    • pp.320-330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sociality and democratic-citize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information class and the science class at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ngaged in the Learning Together (LT) cooperative form of learning for which the remix function of Scratch,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was applied,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general instructor-led lessons. Memb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ble to modify processes during projects through the usage of the remix function, there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rojects and eventually generating team-based results. The post-class t-tests showed a greater degree of improvements in social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offered the remix-function-based cooperative learning than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 between two groups particularly in "cooperative spirit" sub-domain of sociality and the "community" and "responsibility" sub-domains of democratic citizenship.

미적분학 수업에 그룹게임을 적용한 협동학습 사례 (A Case Study of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 to Calculus Class)

  • 조영;김미라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41-51
    • /
    • 2021
  • This paper is to study whether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s becomes a teaching method that can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 in calculus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tudents. To increa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 the researcher conducted cooperative learning by applying smartphones and various game tools to group games.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 increased regardless of their mathematics basic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alculus which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will be more easily approached by cooperative learning applying group games in the future.

게임을 이용한 웹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using Games)

  • 이지선;홍의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81-390
    • /
    • 2008
  •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고 많은 교육 방법들이 나타나면서 웹에 기반한 협동학습과 교육용 게임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몇몇 협동학습 시스템들과 게임 기반 교육 시스템이 제안되었지만 게임을 이용한 협동학습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게임을 이용한 웹기반 협동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협동학습은 각 조별로 이루어지며 다른 조와는 게임을 통해 경쟁하게 하였고, 게임은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고 협동학습 시나리오에 적합한 가로세로 퍼즐게임을 사용하였다. 제안 시스템의 유용성을 증명하기위해 실제 두 반의 고등학생들에게 적용하는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 시스템을 사용한 교육이 학업성취도나 흥미도 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을 보였다.

협동적인 컴퓨터 보조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opera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 Science)

  • 노태희;김창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6-27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협동적인 CAI와 개별적인 CAI가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학업 성취도,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그리고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3개 학급을 대상으로 분자 운동 단원에 대해 5차시 동안 협동적 CAI, 개별적 CAI,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학습동기 검사에서 협동학습 집단의 평균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개념의 파지 검사에서 협동학습 집단의 개념 이해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개념의 파지 및 학습동기 검사에서 수업 처치와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공업고 전기과 '전력설비' 과목에서 LT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T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ctrical Facility' Subject in Industrial High School)

  • 김진수;신충교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3권3호
    • /
    • pp.152-157
    • /
    • 200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T cooperative learning and traditional competi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level of learning ability i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core of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low grad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low grade group (p<.05), and the score of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etest in the experimental low and middle grade group (p<.05).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LT cooperative learning had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traditional lecture learning. Its effect on high grade students was negative, but its effect was significantly positive on both middle grade and low grade level students.

학습결손 보충을 위한 학습자료 개발ㆍ활용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the Learning Materials for Compensating Learning Deficit on the Enhancement of Achievement in Mathematics)

  • 이병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21-13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achievement in mathematics by developing compensatory learning materials and applying those to learni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olving the learning tasks by cooperative learning guided instruction to learning by students from teaching by teacher, and it made learning effective and students cooperative in personal-relation 2. Learning materials for compensating learning deficit made students motivated and interested in mathematics, and active in learning. 3. By applying the learning materials for compensating prerequisite learning deficit, students could grasp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tasks, and their achievement could be enhanced. On the basis of problems which appeared in the progres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The necessity of mathematics in agricultural high schools should be recognized by students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2. In cooperative learning, the roles of team-chiefs have a great influence on learning mood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they, therefore, must be directed beforehand so that they play the roles of lead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