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ling Fog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4초

쿨링 포그 시스템의 저압 안개 노즐 분무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Low Pressure Fog Nozzles in Cooling Fog System)

  • 김지엽;정철;강원중;김정웅;홍정구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73-180
    • /
    • 2022
  • Cooling fog is being used in various parts of society such as fine dust reduction, cleanliness, and temperature drop. Cooling fog has the advantage of low flow rate and ease of use compared to other spray systems. In the case of cooling fog, it was confirmed that the injection angle increased as the pressure increased and the nozzle diameter increased. In this study, the minimum injection angle was 33.61 degrees and the maximum injection angle was 107.38 degrees. It was confirmed that the larger the nozzle diameter and the smaller the pressure, the larger the droplet siz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auter Mean Diameter (SMD) increased along the X and Y axis direc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droplet decreases as it approaches the nozzle tip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zzle design factor.

온실 포그 냉방 제어시스템 개발 및 냉방효과 (Development of Fog Cooling Control System and Cooling Effect in Greenhouse)

  • 박석호;문종필;김진구;김승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65-276
    • /
    • 2020
  • 본 연구는 여름철 고온기에 작물을 정상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농산 가격이 가장 높은 여름철에 수확량을 높이고 재배기간을 연장시켜 농가소득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바닥면적 504㎡의 연동온실의 최대 냉방부하는 462,609W로 나타났으며, 고온기에 온실을 차광하지 않고도 32℃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간당 472L의 물을 포그 분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그 냉방 시스템은 포그 장치, 유동팬, 차광장치로 구성하고, 이들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포그 냉방 자동제어장치를 개발하였다. 포그 냉방시스템의 냉방 성능은 온실 외기온 보다 내부온도를 6℃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그 온실의 내부 상대습도는 주간에는 40~80%로 대조 온실의 20~60% 보다 약 20% 높게 나타나 오이의 생육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의 생육상태는 포그 온실에서 재배한 오이가 대조 온실에 비해 초장, 엽장, 엽폭, 엽수, 엽록소 값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포그 온실의 오이 수확량은 대조 온실에 비해 단동 온실에서는 1.8배, 연동 온실에서는 2배 높게 나타났다.

FOG SYSTEM 을 이용한 여름철 온실냉방 (Greenhouse Cooling by Fog System)

  • 서원명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0-71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underirable warm greenhouse environment by fog cooling system in summer season. The resultsof droplet size analysis and cooling effects for fog cooling system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At the pump pressure of 70kgf/$\textrm{cm}^2$ , the mean (SMD) drop size was 22.6${\mu}{\textrm}{m}$ and the maximum and minimum drop size was 45.68${\mu}{\textrm}{m}$ and 1.73${\mu}{\textrm}{m}$ , respectively, and almost all of the drop size was less than 40${\mu}{\textrm}{m}$. 2. The temperature of fog cooling greenhouse with 60% shading was dropped more than 2$^{\circ}C$ below the ambient temperature , while the greenhouse temperature without shading was 1$^{\circ}C$ high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3. It was found that fog spraying intervals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on cooling effect. 4. When the greenhouse was ventilated sufficiently by natural vent system, green house temperature could be maintained by 2.5$^{\circ}C$ lower than the ambient temperature, while it was difficult to drop the greenhouse temperature below ambient temeperature without sufficient ventilation. 5. It was found that the temperature of experimental greenhouse could be maintained 3$^{\circ}C$ to 14$^{\circ}C$ lower that of control greenhouse though there were variations depending on experimental and weather conditions.

  • PDF

증발냉각시스템의 활용실태 및 냉방효과 (Actual State of Practical Use and Cooling Effect of Evaporative Cooling Systems)

  • 김문기;유인호;김기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81-287
    • /
    • 1999
  • 현장조사 결과 패드-팬 시스템의 경우 6개 농가 모두 사용하고 있었으며, 온실 내기온은 외부기온보다 2~5$^{\circ}C$ 낮았다. 이시스템의 냉방효율은 평균 77.4% 이었으며, 외부의 상대습도가 60%이하 일 경우 냉방 효율이 높았다. 포그 시스템의 경우 현장조사에서 9농가 중 6농가가 사용을 못할 정도로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포그입경, 분무수량, 운영 방법등 개선해야 할 사항이 많았다. 실험온실의 경우도 노즐의 설치 위치와 제어방법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포그입자가 커 증발하지 못하고 대부분이 바닥과 차광망으로 낙하하였고, 지역 기상조건을 고려하지 못한 제어방법으로 냉방효과를 떨어뜨리고 있었다. 냉방효과를 높이가 위하여 노즐의 위치 선정, 제어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지역적 기상특성을 고려한 연구와 내부 습도를 낮게 유지하는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스테인리스 쿨링포그의 온도저감효과 검증을 위한 모델설계 및 실증 실험 (Model Design and Demonstration Test for the Verification of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of Cooling Fog System with Stainless Steel)

  • 김재경;강준석;김회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3-689
    • /
    • 2020
  • According to a NASA Goddard Institute for Space Studies report, temperatures have risen by approximately 1℃ so far, based on temperatures recorded in 1880. The 2003 heatwave in Europe affected approximately 35,000 people across Europe. In this study, a cooling fog, which is used in smart cities, was designed to efficiently reduce the temperature during a heatwave and its pilot test results were interpreted. A model experiment of the cooling fog was conducted using a chamber, in which nano mist spray instruments and spray nozzles were installed. The designed cooling fog chamber model showed a temperature reduction of up to 13.8℃ for artificial pavement and up to 8.0℃ for green surfaces. However, this model was limited by constant wind speed in the experiment. Moreover, if the cooling fog is used when the wind speed is more than 3m/s in the active green zone, the temperature reduction felt by humans is expected to be even greater. As a second study, the effect of cooling fog on temperature reduction was analyzed by installing a pilot test inside the Land Housing Institute (LHI). The data gather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ful for the study of heat reduction techniques in urban areas.

온실 포그냉방시스템의 냉방효과 예측을 위한 CFD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CFD Model for Estimation of Cooling Effect of Fog Cooling System in Greenhouse)

  • 유인호;김문기;권혁진;김기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3-10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포그냉방시스템을 수치적으로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CFD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포그냉방온실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 개발된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분무수온, 분무수량, 분무정지시간과 분무입자의 증발률이 포그냉방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의하면, 각 측점에서 실측치와 예측치의 온도차가 무차광조건에서는 $0.1~1.4^{\circ}C$, 차광조건에서는 $0.2~2.3^{\circ}C$였으며, 상대습도차는 무차광조건에서는 0.3~6.0%, 차광조건에서는 0.7~10.6%였다. 예측치가 실측치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된 모델이 포그냉방시스템의 냉방효과를 예측할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포그냉방시스템 성능은 분무수량, 분무정지시간과 분무입자의 증발률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 분무수온의 영향은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업용 토마토온실 냉방을 위한 저압분무식 포그시스템의 적용 (Application of Low Pressure Fogging System for Commercial Tomato Greenhouse Cooling)

  • 이현우;김영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11
  • 토마토 재배용 상엽용 온실의 여름철 냉방에 최근 국내에서 개발된 저압분무식 포그냉방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설치 및 관리기술을 규명하기 위하여 저압 포그시스템을 온실에 설치하여 실험을 통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포그를 분사한 온실이 분사하지 않은 온실보다 온도가 더 낮은 값을 보여 포그분사에 의한 냉방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상대습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나 냉각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포그노즐의 설치간격을 더 줄이거나 포그분사 시간을 더 늘리는 등의 조정을 통해서 충분한 냉방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온실 전체의 시간에 따른 온도분포는 짧은 시간 동안에는 온도분포의 큰 변화는 없었으나 하루의 긴 시간 동안에는 온도분포의 변화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이는 포그분사에 따른 온도편차의 발생은 크지 않으나 일사, 공기유동 등 다른 환경요인들에 의해 발생된 편차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본 자료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온실 하부에서의 수평방향의 온도편차는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는 포그시스템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앞으로 추가 실험을 통해 자연환기 토마토재배온실의 냉방을 위한 저압포그시스템 설치 및 관리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름철 파프리카 수경재배 시 시설 내 포그냉방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g-cool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 Paprika in Grown Summer Season)

  • 이한철;최경이;여경환;조명환;조일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8-263
    • /
    • 2015
  • 여름철에 파프리카 코이어 배지경에서 'Cupra', 'Piesta' 2품종을 공시하여 시설 내 포그냉방 효과에 의한 파프리카 생육을 검토코자 하였다. 시설 내 포그 냉방처리를 통해 무처리보다 온실 내의 온도가 $2{\sim}3^{\circ}C$ 낮았으며 최고온도를 $35^{\circ}C$이하로, 그리고 실내습도도 80% 내외로 유지할 수가 있었다. 초장, 엽수 등 생육은 포그냉방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 양호하였다. 평균과중은 두 품종 모두 포그냉방 처리구에서 158~160g으로 무처리보다 무거웠고, 주당 착과수는 'Cupra', 'Piesta' 모두 포그냉방 처리구가 각각 18.4, 18.3개로 무처리에 비해 7~8개 많았다. 상품수량은 'Cupra', 'Piesta' 두 품종 모두 포그냉방 처리구가 각각 6,027, 5,890kg/10a으로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과실의 당도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Cupra', 'Piesta' 두 품종 모두 $5{\sim}6^{\circ}Bx$ 였으며 과육의 두께는 포그냉방 처리 효과가 없었다. 과실의 열과 발생률은 포그냉방 처리구가 낮았으며 품종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여름철 파프리카 수경재배시 포그냉방으로 시설내 온도의 강하와 습도조절이 가능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 생육이 양호하며 과실의 품질 또한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하기주간의 국소냉방과 토마토 배꼽썩음병 발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Zone Cooling of Greenhouse in the Daytime in Summer and Occurrence of Blossom - End Rot in Tomato Plants)

  • 조일환;우영회;인과홍중;교본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6-41
    • /
    • 1994
  • 본 시험의 목적은 온실의 주년계획이용을 위해서 하기주간 냉방의 방법으로 heat pump를 이용한 냉수냉방과세무냉방의 효율성을 검사했고 하기 토마토 배꼽썩음병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냉방과 함께 과실에 송풍처리와 식물체 전체의 공기유동을 촉진시켜주는 처리를 했다.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냉수냉방구간 기온은 13시경 온실내 기온보다 약 1$0^{\circ}C$이상 낮았고, 세무냉방구간 하부의 기온은 13시경 온실내 기온보다 약 5$^{\circ}C$ 낮았다. 2) 과실에 송풍처리는 냉방방법에 상관없이 배꼽썩음병이 방지됐고, 냉수냉방 무송풍구의 배꼽썩음병 발생율은 34.5%, 세무냉방 무송풍구는 54.5%, 세무순환냉방구는 78%였다. 냉방효율면에서는 냉수냉방 방법이 충분히 생육한계온도 이하로 냉각되었고, 배꼽썩음병 발생율에서도 세무냉방보다 낮았다. 세무냉방은 재배구간의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서 약 24%증가했다. 그러므로 토마토 배꼽썩음병 발생에 관한 환경요인은 온도보다는 습도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제습기를 이용한 온실 포그냉방시스템의 효율향상 (Improvement of Cooling Efficiency in Greenhouse Fog System Using the Dehumidifier)

  • 남상운;김기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7
    • /
    • 2005
  • 본 연구는 온실에서의 제습장치 이용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지하수를 냉매로 하는 열교환기 방식의 제습장치를 제작하여 제습성능을 시험하고, 포그냉방시스템을 설치한 온실에 적용하여 제습이 증발냉각효율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습기 성능실험 결과 지하수를 냉매로 이용할 경우 포그냉방시스템을 적용한 온실의 제습은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냉방 온실의 기온을 $32^{\circ}C$로 설정할 때 냉매인 지하수의 온도가 $15^{\circ}C$에서 18, 21, $24^{\circ}C$로 높아지면 제습량은 각각 $17.7\%,\;35.4\%,\;52.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하수 유량을 $75\%,\;50\%$로 줄이면 제습량은 각각 $12.1\%,\; 30.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지하수를 이용한 제습기의 설계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유량과 온도가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다. 포그냉방 온실에 제습기를 설치함으로서 뚜렷한 냉방효율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기율 0.7 회${\cdot}min^{-1}$정도의 자연환기 상태에서 포.1냉방 온실의 환기에 의한 제습율은 53.9%~74.4%였으며, 제습기를 가동할 경우 75.4~95.9까지 높아졌다. 제습기 설계유량과 $18^{\circ}C$의 지하수를 사용할 경우 0.36회 ${\cdot}min^{-1}$ 정도의 환기율에서도 포그시스템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분무량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제습기를 이용하여 자연환기 온실에서의 포그 냉방 효율을 충분히 높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