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ling

검색결과 9,939건 처리시간 0.051초

$3.2\;{\mu}m$ 중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메탄가스누출검지기의 개발 (Development of Methane Gas Leak Detector Using Mid-infrared Ray Sensors with $3.2\;{\mu}m$)

  • 박규태;유근준;한상인;오정석;김지윤;안상국;윤명섭;권정락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8-52
    • /
    • 2008
  • 산업의 성장으로 가스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스설비, 화학플랜트 등 시설 또한 점차로 증가하고 있으나, 가스에 대한 안전관리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공장과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메탄은 천연가스의 주성분으로 가연성이면서 폭발성가스이어서 그에 대한 안전관리도 매우 중요하다. 그 한 가지 방안으로 $3.2\;{\mu}m$ 중적외선 영역의 LED 및 PD를 이용하여 메탄가스누출검지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파장대역의 센서로 레이저를 이용할 경우 고열이 발생하여 초저온 냉각장치가 필요하나 LED는 상온에서 동작함으로 냉각장치가 필요 없다. 그래서 초소형이나 휴대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3.2\;{\mu}m$ 부근의 파장대역은 $1.67\;{\mu}m$에 비하여 메탄흡수강도가 강하여서 극미량의 가스탐지가 가능하고 응답성 또한 빠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상용화하여 매설 및 노출배관 등 가스설비의 가스누출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히 검지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 PDF

Sb/Bi비가 ZnO-Bi2O3-Sb2O3-Mn3O4-Co3O4 바리스터의 소결과 입계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b/Bi Ratio on Sintering and Grain Boundary Properties of ZnO-Bi2O3-Sb2O3-Mn3O4-Co3O4 Varistor)

  • 홍연우;이영진;김세기;김진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878-885
    • /
    • 2012
  • In this study we aims to examine the co-doping effects of 1/3 mol% $Mn_3O_4+Co_3O_4$ (1:1) on the reaction,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the bulk defects and grain boundary properties of $ZnO-Bi_2O_3-Sb_2O_3$ (ZBS; Sb/Bi=0.5, 1.0, and 2.0) varistors. The sintering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Mn,Co-doped ZBS, ZBS(MCo) varistors were controlled by Sb/Bi ratio. Pyrochlore ($Zn_2Bi_3Sb_3O_{14}$) was decomposed and promoted densification at lower temperature on heating in Sb/Bi=1.0 by Mn rather than Co. Pyrochlore on cooling was reproduced in all systems however, spinel (${\alpha}$- or ${\beta}$-polymorph) did not formed in Sb/Bi=0.5. More homogeneous microstructure was obtained in $Sb/Bi{\geq}1.0$ In ZBS(MCo), the varistor characteristics were improved drastically (non-linear coefficient, ${\alpha}$=30~49), and seemed to form $Zn_i^{..}$(0.17 eV) and $V_o^{\bullet}$(0.33 eV) as dominant defects. From impedance and modulus spectroscopy (IS & MS), the grain boundaries have divided into two types, i.e. the one is tentatively assign to $ZnO/Bi_2O_3(Mn,Co)/ZnO$ (0.47 eV) and the other ZnO/ZnO (0.80~0.89 eV) homojunctions.

乾癬에 對한 東.西醫 文獻的 硏究 (The Oriental and Occidental bibliographic Study of Psoriasis)

  • 김남권;황충연;임규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4-178
    • /
    • 1999
  • Psoriasis is the recurrent disease of skin and till now its mechanism, pathogenesis and treatment are not clearly discovered. So, like these papers, we must investigate more safety and effective treatment of psoriasis. And I obtained the following condusions from the Oriental and Occidental bibliographic investigation. 1. In Oriental medicine. Baikbi, Pungsun, Eunselbyong, Songpisun, Baikselpung were the other names of Psoriasis. 2. In Occidental medicine, genetic factors, aggravation and inducible factors, biochemical factors, immunologic factors, disorder of epidermal kinetics, vascular malformation of dermis were cosidered to the pathogenic factors of psoriasis. 3. In Oriental medicine, the pathogenic factors of psoriasis were divided two parts. One is exogenous pathogenic factors which including the blood-heat, blood dryness, blood stasis, deficiency of liver and kidney, inharmony of impulsive and appointed pulsation, deficiency of blood. The other is exogenous pathogenic factors which including the wind-evil, wind-wetness, wind-heat, wind-cold, wetness-heat, cold-wetness, heat-evil. 4. In Occidental medicine, external applicative medicine, internal medicine, ultraviolet therapy, ultraviolet - external applicative medicine compound therapy and etc. were used the therapy of psoriasis. 5. In Oriental medicine, clean away heat and cooling blood, aliment the blood and moisturize, activating blood and expelling blood stasis, harmonize and invigorate the liver and kidney, invigorate the kidney, aliment the blood and moisturize the skin, aliment the blood and expelling the wind, expelling the wind and wetness, clean away heat and expelling wind, expelling the wind and scatter the cold, clean away heat and expelling the wetness, heat up the meridian and scatter the cold, clean away heat and remove the toxin and etc. were used the method of internal therapy of psoriasis. 6. Until Qing dynasty, wind expelling effective prescriptions like Bangpungtongsungsan, Sopungsan. Supungsunkisan and etc. were used and recently Yanghyelgeupungtang, Hwalhyelgeupungtang, Samultanggagam and etc. were used the internal therapy of psoriasis. 7. In the external therapy of psoriasis, Yuhonggo, Pungyugo, Sekryupiyeongo were used the plaster therapy and Folium Rerillae, Camphora, Fructus, Xanthii, Herba Spirodelae compound prescription were used the cleansing therapy, Okgisan, Chiunsan, Galmyogo, Hobunsan, Muisan, Madugo, Jeyugohengin were used the rubbing skin therapy. Rangdok Radix Aconiti, Bijeonilchoalkwang were used the attaching therapy, the extract of Rhizoma Et Radix Veratri was used the spreading pouder therapy. 8. In the acupuncture therapy of psoriasis, the Jelgol, chok Samni(S36), Kansa(P5), Haegye(S41), Wijung(B40) and etc. were used the acupuncture point, and the angle of helix incision threapy that disinfect and cut the angle of helix and plaster the Semen Glycine and Squama Manitis were used.

  • PDF

탈모증 유발요인과 한의학적 치료 효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 - 후천적 열성 탈모를 중심으로 - (Retrospective Study about the Causes and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lopecia - Focused on Acquired Febrile Alopecia -)

  • 이정환;장진영;윤영준;조아라;신현진;정상욱;정연호;강여름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0-44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auses and the effect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lopecia. Methods : 1050 patients with alopecia, who had visited oriental medical clinics from July 2011 to October 2012, were analyzed by self-assessments. And 153 patients of them were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3 months. Treatment results were evaluated by patients' self-assessments and global & enlarged photographic reviews. Results : 1. The gender ratio of male to female was 2:1 and most patients belonged to the 20~30 year old group. 2. Family history of baldness in alopecia patients was a total of 57.3%, paternal 44.4% and maternal 21.2%. 3. Subjective symptoms of fever in parietal region was a total of 97.4% in alopecia patients. 4. After 1 month treatment, the fever in the parietal region was decreased by 37.3% of patients. And their subjective hair loss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5. After 3 months of treatment, the global photographic review was improved by 56.2% of the patients and the enlarged photographic review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5.2% in patients' total hair count. Conclusions : A significant number of alopecia patients were young and less relative in genetic alopecia causes was less relevant than the past. Recent causes of alopecia were more concerned with the fever in parietal region. According to that reason, cooling effect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expected to be effective for febrile alopecia, and actuall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is study. For future studies, it's long term treatment and follow up studies are needed.

잣나무열처리재의 흡방습성능에 미치는 영향인자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Hygroscopic Performance of Thermally Treated Pinus koraiensis Wood)

  • 장윤성;한연중;엄창득;박주생;박문재;최인규;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10-18
    • /
    • 2012
  • 최근 만들어지고 있는 거주공간은 단열성능 향상을 통한 냉난방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더욱 기밀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수분의 인위적인 배출과 외부공기의 인위적인 유입이 줄어듦에 따라 건축내장재의 자연조습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된 잣나무의 흡 방습성능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상대습도 변화에 따른 평형함수율과 흡 방습률을 측정하였고, 조도(거칠기)와 미시적 표면형상, 그리고 FT-IR spectrum과 흡방습성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거주공간의 조습성능 정량화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인체에서 저체온 완전 순환 정지 시 뇌파검사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Electroencephalography in the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in Human)

  • 전양빈;이창하;나찬영;강정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65-471
    • /
    • 2001
  • 배경: 저체온은 뇌 대사를 억제하여 뇌를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대동맥 질환 수술 시 완전 순환 정지전에 충분히 시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직장 또는 비인두 온도를 지표로 순환정지를 시행하고 있으나, 순환정지 시 적절한 저체온의 온도 범위나 순환정지 온도를 결정하는 객관적인 지표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결론이 없다. 본 연구는 수술 중 뇌파검사를 이용해 완전 순환 정지 시 안전한 직장 및 비인두 온도의 적정 수준을 확인하고, 적절한 저체온의 지표로서 뇌파검사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0년 8월 31일까지 대동맥 질환으로 대동맥 인조혈관 치환수술 동안 뇌파검사를 병행하면서 완전 순환 정지를 했던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직장 온도와 비인두 온도를 마취유도부터 계속 감시하였으며, 뇌파검사는 10개의 채널로 마취유도부터 뇌 전위 고요상태(electrocerebral silence) 가지 관찰하였다 결과: 뇌 전위 고요 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직장 온도와 비인두 온도는 일정한 범위에 있지 않고 다양한 값(직장 11$^{\circ}C$~$25^{\circ}C$; 비인두 7.7$^{\circ}C$ ~23$^{\circ}C$)을 보였으며, 두 온도 사이에 서로 관련이 없었다(p=0.171). 체외순환을 시작하여 뇌 전위 고요상태에 이르기까지 냉각 시간은 25~127분으로 다양하였으며, 환자의 체표면적과 연관이 있었다(p=0.027). 결과: 뇌 전위 고요상태는 다양한 체온에서 발생했으며,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직장 및 비인두 온도는 뇌 전위 고요상태를 지적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심혈관계 수술 시 체온에 근거한 저체온 완전 순환 정지는 뇌의 보호를 확신할 수 없으며, 수술 중 뇌파검사의 관찰은 안전한 순환정지를 위한 적절한 저체온의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며 합리적인 방법이었다.

  • PDF

3차원 수치모의에 의한 발전소 배수로 혼합지에서의 온배수 수온저감 효과에 대한 고찰 (Investigation about the Decrease Efficiency of Thermal Discharge Temperature at Mixing Basin of Power Plant using 3-D CFD)

  • 박병준;이상화;박지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3-593
    • /
    • 2012
  • 본 연구는 화력 및 원자력 발전소로 취입된 냉각수(circulating and essential service water)가 복수기로부터 온배수 형태의 개수로 흐름으로 표층배수 될 경우 수온을 저감시키기 위해 주입하는 희석수(by-pass cooling water)와의 혼합효과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불리한 수리현상을 야기하지 않으며, 경제적인 배수로 구조물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배수로 구조물 내 온배수와 희석수가 혼합되는 구간을 혼합지(mixing basin)라 하는데, 본 과업에서는 ${\bigcirc}{\bigcirc}$발전소의 배수로 구간 중 혼합지를 대상으로 FLOW-3D$^{(R)}$를 이용한 3차원 수치모형을 구축하고, 총 9개에 해당하는 각 대안별 현상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각 대안들의 차이점은 배수로에 설치되는 보조구조물들의 형상과 배열 등이며, 복수기로부터 나오는 배출수의 수온은 $42^{\circ}C$, 희석수는 $35^{\circ}C$이고, 본 과업의 주요 관심대상 물리량은 유속과 온도이다. 배수로에 아무런 보조 구조물이 없는 형태인 기본 계획안을 검토한 결과, 평균 $3.31^{\circ}C$의 수온강하가 이루어졌으나, 우안 쪽으로 강한 흐름이 발생하여 수온의 좌우편차가 $4.61^{\circ}C$ 가량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계획안의 검토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연직 흐름의 소산을 위해 고안된 잠형 소파블록(baffle block) 설치안은 평균 $3.06^{\circ}C$의 수온강하가 이루어지고 $4.44^{\circ}C$의 수온 좌우편차가 발생했다. 지그재그(zigzag) 형태의 흐름을 만들어 혼합효과를 올리기 위한 미로형 수제(labyrinth groin) 설치안은 평균 $5.33^{\circ}C$의 수온강하가 이루어지고, $1.43^{\circ}C$의 수온 좌우편차를 보여줘 검토했던 대안들 중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V자 배열 소파블럭(deformed block) 설치안은 연직 및 수평방향의 소산을 기대했으나 평균 $3.00^{\circ}C$의 수온 강하와 $4.41^{\circ}C$의 수온 좌우편차를 나타냈다. 벤츄리(Venturi) 형태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병목형(bottleneck) 수로안은 평균 $3.18^{\circ}C$의 수온강하와 $3.94^{\circ}C$의 수온 좌우편차, 흐름의 소산과 흐름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와형 수제(swirl groin) 설치안은 평균 $2.24^{\circ}C$의 수온강하와 $1.48^{\circ}C$의 수온좌우편차, 우안 흐름을 지연시키기 위한 물방석(water cushion) 수로안은 평균 $3.03^{\circ}C$의 수온강하와 $4.50^{\circ}C$의 수온 좌우편차, 우안의 흐름을 좌안으로 보내기 위한 분사형(injector) 수로안은 평균 $3.13^{\circ}C$의 수온강하와 $4.45^{\circ}C$의 수온 좌우편차, 우안의 흐름을 막기 위한 외팔형 수제(cantilever groin) 설치안은 평균 $3.11^{\circ}C$의 수온강하와 $3.02^{\circ}C$의 수온 좌우편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마그네시아 지르코니아 복합소결체의 소결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TiO_2$의 영향 (Influence of $TiO_2$ on Sintering and Microstructure of Magnesia-Zirconia Composites)

  • 이윤복;김인술;장윤식;박홍채;오기동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7호
    • /
    • pp.775-782
    • /
    • 1994
  • 마그네시아-지르코니아 복합체의 소결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TiO_{2}$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3mol%$Y_{2}$O_{3}$를 함유한 $ZrO_{2}$$TiO_{2}$첨가시 $1400^{\circ}C$에서 기지상인 MgO와 첨가제인 $TiO_{2}$의고용에 의해서 $c-ZrO_{2}$상으로 존재하였다. $TiO_{2}$첨가시 조성에 관계엾이 승온수축거동은 유사하였으며 $1650^{\circ}C$에서 최종수축율은 8.58-11.0%였다. 1.67wt%$TiO_{2}$첨가시 소결이 촉진되어 $1600^{\circ}C$ 2시간에서의 소결밀도는 3.7g/$\textrm{cm}^3$(이론밀도의 98%)였다. $ZrO_{2}$내에 고용된 MgO와 $TiO_{2}$의 양은 각각 5.67wt%, 2.62wt%로 냉각과정중 입계주위에서 일부 석출되어 Ti화합물을 형성하였다. 이의 존재로 말미암아 생성된 미세균열은 꺽임강도를 감소시켰다.

  • PDF

플라즈마분자선에피탁시법을 이용한 사파이어 기판 위 질화알루미늄 박막의 에피탁시 성장 (Growth of Epitaxial AlN Thin Films on Sapphire Substrates by Plasma-Assisted Molecular Beam Epitaxy)

  • 이효성;한석규;임동석;신은정;임세환;홍순구;정명호;이정용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634-638
    • /
    • 2011
  • We report growth of epitaxial AlN thin films on c-plane sapphire substrates by plasma-assisted molecular beam epitaxy. To achieve two-dimensional growth the substrates were nitrided by nitrogen plasma prior to the AlN growth, which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a two-dimensional single crystalline AlN layer. The formation of the two-dimensional AlN layer by the nitridation process was confirmed by the observation of streaky 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 (RHEED) patterns. The growth of AlN thin films was performed on the nitrided AlN layer by changing the Al beam flux with the fixed nitrogen flux at 860$^{\circ}C$. The growth mode of AlN films was also affected by the beam flux. By increasing the Al beam flux, two-dimensional growth of AlN films was favored, and a very flat surface with a root mean square roughness of 0.196 nm (for the 2 ${\mu}m$ ${\times}$ 2 ${\mu}m$ area) was obtained. Interestingly, additional diffraction lines were observed for the two-dimensionally grown AlN films, which were probably caused by the Al adlayer, which was similar to a report of Ga adlayer in the two-dimensional growth of GaN. Al droplets were observed in the sample grown with a higher Al beam flux after cooling to room temperature, which resulted from the excessive Al flux.

중량측정법에 의한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함수율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Water Content in Hydrogel Contact Lens by Gravimetric Method)

  • 김태훈;예기훈;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9-63
    • /
    • 200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분제거 방법과 건조 방법에 따른 함수율 측정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다양한 함수율을 갖는(47%~58%) 72개의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를 대상으로 중량측정법으로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실험실 온도는 $25^{\circ}C$, 습도는 21%로 유지하였다. 두 방법 모두 저온처리 후 실온에서 30분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Dry blotting 방법은 함수율이 47.43${\pm}$8.48%로 측정되었으며, Wet blotting 방법은 48.15 ${\pm}$8.36%로 측정되었다. 또한 Wet blotting 방법으로 측정한 함수율이 약 0.7% 정도 높게 측정되었다. 건조 방법에 따른 함수율에서 vacuum oven을 사용하여 건조한 함수율이 47.89${\pm}$8.06%, microwave oven을 사용하여 건조하여 측정한 함수율이 49.56${\pm}$7.06%로 나타났으며, microwave oven을 사용하여 측정한 함수율이 약 1.67% 높은 함수율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05). 결론: 렌즈의 함수된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Dry blotting 방법과 Wet blotting 방법 중 Wet blotting에 의한 방법이 무게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함수율 역시 더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건조된 무게를 측정하기 위해 렌즈를 건조시키는 방법에 있어 vacuum oven을 사용한 건조보다 microwave oven로 건조하여서 측정한 함수율이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microwave oven을 사용할 경우 더 정확한 측정을 위해 그 microwave의 조사 강도나 시료의 위치에 있어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