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olution coding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9초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media CDMA Network with Concatenated Coding and RAKE Receiver

  • Roh Jae-Sung;Kim Choon-Gil;Cho Sung-Joo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권3호
    • /
    • pp.139-144
    • /
    • 2004
  • In order to transmit various types of multimedia data (i.e. voice, video, and data) over a wireless channel, the coding and modulation scheme needs to be flexible and capable of providing a variable quality of service, data rates, and latency. In this paper, we study a mobile multimedia COMA network combined with the concatenated Reed-Solomon/Rate Compatible Punctured Convolution code (RS/RCPC). Also, this paper propose the combination of concatenated RS/RCPC coder and COMA RAKE receiver for multimedia COMA traffic which can be sent over wireless channels. From the results, using a frequency selective Rayleigh fading channel model, it is shown that concatenated RS/RCPC coder at the wireless physical layer can be effective in providing reliable wireless multimedia CDMA network. And the proposed scheme that combine concatenated RS/RCPC coder and CDMA RAKE receiver provides a significant gain in the BER performance over multi-user interference and multipath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s.

레일리 위성 리턴링크 채널에서 FEC 부호 방식 성능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f FEC Coding Method in Rayleigh Satellite Return Link Channel)

  • 이성로;조성의;오덕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2C호
    • /
    • pp.1633-1641
    • /
    • 2004
  • 위성 디지털 방송이나 위성 인터넷에서는 위성에서 단말에 이르는 고속 리턴 채널 환경이 매우 나빠 연집오류가 심하게 생긴다. 이 논문에서는 리턴 채별이 레일리 확률 채널일 때, 앞 오류 고침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부호화 방식의 성능을 분석한다. 먼저, Loo, Lutz, Vucetic, Corazza의 채별 모형을 고찰하고, Rayleigh 페이딩 채널에서 길쌈 부호, 리드 솔로몬 부호, 길쌈-리드 솔로몬 연접 부호 터보 부호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이동방송수신환경에서 MPEG-4 계층적 비디오 전송을 위한 결합 소스/채널 부호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Joint Source/Channel Coding for MPEG-4 Scalable Video Transmission in Mobile Broadcast Receiving Environments)

  • 이운문;손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3호
    • /
    • pp.31-40
    • /
    • 2005
  • 이 논문은 국내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의 표준으로 채택된 Eureka 147 DAB 시스템에 결합 소스/채널 부호화 기법(Joint Source/Channel Coding, JSC)을 적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기본틀을 제안한다. 제안전송시스템의 소스부호화기는 기존의 SNR-계층적 부호화(SNR-Scalability) 기법의 발전된 형태인 MPEG-4 FGS(Fine Granular Scalability) 비디오부호화기, 채널부호화기로는 상이오류보호(Unequal Error Protection, UEP)에 효율적인 RCPC 부호화기 그리고 변조방식은 QPSK를 적용하였다. 채널환경은 랜덤잡음환경과 이동수신환경을 고려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채널 상태(Es/No)에 따른 율-왜곡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소스비트율과 채널부호율 간에 최적의 상충점(Trade-off point)을 결정하였고, DAB의 계층적 비디오 전송을 위한 FGS-JSC 기법이 적용되었을 때와 단일계층의 고정부호율 전송의 경우를 비교하여 FGS-JSC 기법의 우수함을 보였다.

개선된 DFT-s-SSB OFDM 설계와 다수 사용자 환경에서의 스펙트럼 효율 (Design of Improved DFT-s-SSB OFDM and Spectral Efficiency in Multiuser Environment)

  • 안창영;이준구;장경수;유흥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192-199
    • /
    • 2018
  • 본 논문은 기존 DFT-s-SSB(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Single Sideband)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개선된 DFT-s-SSB OFDM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DFT-s-SSB 시스템은 SSB 변조를 적용하기 위하여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변조를 사용한다. 때문에 변조레벨이 높아질수록 BER(Bit Error Rate) 성능열화가 심각해진다. 그리고 오직 LSB(Lower Sideband) 스펙트럼을 통해서만 송신이 가능하며 LSB와 USB(Upper Sideband) 스펙트럼을 동시에 사용하여 송신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고 스펙트럼 복구가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3 convolution coding을 적용하여 BER 성능을 개선하고 DFT 크기를 조절하고 USB 스펙트럼을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남은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중사용자를 지원하는 환경 혹은 제한적인 대역폭을 갖는 환경에서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스펙트럼을 절반만 사용하기 때문에 남은 스펙트럼 자원을 이용할 수 있고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딥러닝 기술 기반 HEVC로 압축된 영상의 이중 압축 검출 기술 (Deep Learning based HEVC Double Compression Detection)

  • 우딘 쿠툽;양윤모;오병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134-1142
    • /
    • 2019
  • 영상의 이중 압축 검출은 영상의 위조여부를 판단하는 한가지 효과적인 방식이다. 이러한 이중 압축 검출 기술을 바탕으로 HEVC로 압축된 영상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존 기술들이 소개되었지만, 동일한 압축 환경에서 이중 압축된 영상의 진위 여부를 검출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로 여겨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 압축 환경에서 HEVC의 이중압축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로서, Intra모드로 압축된 영상의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Coding Unit (CU)와 Transform Unit (TU)의 분할 정보로부터 통계적 특징과 딥러닝 네트워크 기반의 특징을 우선 추출하고, softmax단에서 추출된 특징들을 통합하여 이중 압축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제안하고 있는 기술이 WVGA 영상과 HD 영상에서 각각 87.5%와 84.1%의 정확도를 가지며 효과적으로 검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Vterbi decoding을 적용한 UWB 시스템이 성능분석 (Performance of analysis UWB system using Vterbi decoding)

  • 최정훈;한태영;박성균;김남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03-30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UWB 시스템에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변조방식을 적용하고 고속 전송으로 발생 할 수 있는 높은 에러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호율(code rate)이 1/2 이고 구속장(constraint length)이 K=7인 convolution code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다중사용자의 접속으로 인하여 발생 할 수 있는 다중사용자 간섭을 고려하여 Time-hopping sequence를 적용하였으며, 수신단에서 viterbi decodi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복호함으로서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channel 환경에서의 UWB 통신시스템의 성능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대역확산방식 FTS 인코더/디코더 구현 (Implementation of Spread Spectrum FTS Encoder/Decoder)

  • 임유철;마근수;김명환;이재득
    • 항공우주기술
    • /
    • 제8권1호
    • /
    • pp.179-186
    • /
    • 2009
  • 본 문서는 방해파 등의 잡음에 강하며 특히 명령신호 비닉성 및 비화성에 탁월한 장점을 갖는 대역확산 변조방식을 활용한 FTS 인코더/디코더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우선 명령포맷은 64비트 패킷신호로 구성되며 각각의 명령신호는 트리플DES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 작업을 수행하고, 또한 오류정정 기법의 하나인 콘볼루션코딩 및 비터비디코딩 기법을 적용하여 통신 신뢰성을 높이도록 설계한다. 대역확산을 위해 직접확산기법을 적용하고 확산코드는 256비트 골드코드를 사용하며, 설계한 FTS 인코더와 디코더가 잘 동작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최종 하드웨어를 구현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 PDF

새로운 실측 임펄스 잡음 모델을 반영한 채널코딩 기반의 대역확산 전력선 통신시스템 (A channel-coding based SS-PLC system using new measured impluse noise model)

  • 문경환;신명철;이종주;최상열;박기욱;차재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72-74
    • /
    • 2005
  • 전력선통신은 현재 홈 네트워크 및 검침기술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응용이 되고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전력선 통신을 위한 전송선로는 통신을 위한 정보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과 더불어 선로상의 전력 부하들을 위한 전력 공급용으로서의 용도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선로상의 부하변동은 다양한 형태의 임 펄스 잡음을 야기 시키고 이러한 임펄스성 잡음은 전송 데이터에 군집에러를 발생시킴으로써 통신성능을 크게 열화 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전력선 통신시스템을 위해서는 전력 선로상의 임펄스 잡음의 특성을 명확히 분석하고, 그에 따른 에러제거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가정의 전력 선로에 연결되는 부하들의 동작 및 변동에 따른 임펄스 잡음 특성을 다양한 부하의 유형별로 디지털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측 및 분류한 후, 새롭게 도출한 임펄스 잡음 모델을 기반으로 순방향 오류정정방식(FEC;Forward Error Correction)인 컨벌루션 부호화(Convolution Coding) 및 인터리빙(Interleaving) 방식을 가미하여 시스템의 비트오율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수행된 새로운 실측기반의 임펄스 잡음이 반영된 채널부호화 방식에 의한 성능평가 결과는 향후 홈네트워크기반의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실질적인 참고데이터로서 유용하게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 PDF

Advanced ZigBee Baseband Processor with Variable Data Rates for Internet-of-things Applications

  • Hwang, Hyunsu;Jang, Soohyun;Lee, Seongjoo;Jung, Yunho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56-64
    • /
    • 2017
  • In this paper, an advanced ZigBee (AZB) system for internet-of-things (IoT) applications is proposed which can support various data rates from 31.25 Kbps to 2 Mbps, and the implementation results of the AZB baseband processor are presented. Repetition coding for 32-chip direct-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symbol is applied for low rates under 250 Kbps to extend the coverage. Convolution coding, puncturing, and interleaving for non-DSSS symbol are performed for high rates from 500 Kbps to 2 Mbps for multi-media service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verage increases at the rate of 51.8-77.3% for various environments compared with IEEE 802.15.4 ZigBee. AZB baseband processor was implemented in 180 nm CMOS process and total gate counts are 260K with the size of $5.8mm^2$.

TU 블록 크기에 따른 CNN기반 인루프필터 (CNN-based In-loop Filter on TU Block)

  • 김양우;정세윤;조승현;이영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7
    • /
    • 2018
  • VVC(Versatile Video Coding)는 입력된 영상을 CTU(Coding Tree Unit) 단위로 분할하여 코딩하며, 이를 다시 QTBTT(Quadtree plus binary tree and triple tree)로 분할하고, TU(Transform Unit)도 이와 같은 단위로 분할된다. 따라서 TU의 크기는 $4{\times}4$, $4{\times}8$, $4{\times}16$, $4{\times}32$, $8{\times}4$, $16{\times}4$, $32{\times}4$, $8{\times}8$, $8{\times}16$, $8{\times}32$, $16{\times}8$, $32{\times}8$, $16{\times}16$, $16{\times}32$, $32{\times}16$, $32{\times}32$, $64{\times}64$의 17가지 종류가 있다. 기존의 VVC 참조 Software인 VTM에서는 디블록킹필터와 SAO(Sample Adaptive Offset)로 이루어진 인루프필터를 이용하여 에러를 복원하는데, 본 논문은 TU 크기에 따라서 원본블록과 복원블록의 차이(에러)가 통계적으로 다름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을 구축하고 에러를 복원하는 방법으로 VTM의 인루프 필터를 대체한다. 복원영상의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TU 블록크기에 따라 DenseNet의 Dense Block기반 CNN을 구성하고, Hyper Parameter와 복잡도의 감소를 위해 네트워크 간에 일부 가중치를 공유하는 모양의 Network를 구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