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t education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36초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을 활용한 IT 융합 u-러닝 콘텐츠 (IT Convergence u-Learning Contents using Agent Based Modeling)

  • 박홍준;김진영;전영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13-52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활용 융합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 콘텐츠의 구조는 탈학문적 통합 개념과 상황학습 이론을 토대로 설계하였으며, 3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3개의 모듈은 융합 문제 제시 모듈, 지식 리소스 모듈, 그리고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과 IT 도구에 대한 학습 모듈이다. 구현한 콘텐츠의 만족도를 묻는 설문을 실시한 결과 5점 만점에 4.05(효과성), 4.13(편의성), 3.86(디자인)의 평균 값을 받았으며 각 평가 영역에 대하여 사용자들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콘텐츠를 사용하여 학습자는 디바이스, 시간, 공간의 제한이 없이 IT 도구를 활용하여 융합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대한 학습과 경험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콘텐츠 설계는 향후 융합형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려는 연구자에게 좋은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Blockly webc 프로그래밍 융합 학습시스템 (Blockly webc Programming Convergent Learning System)

  • 조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23-28
    • /
    • 2015
  • 프로그래밍 교육은 컴퓨터 관련학과 뿐만 아니라 공학과 자연과학분야에 걸쳐서 모두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프로그래밍 능력은 국가의 경쟁력을 이루는 필수적인 요소로 이해되고 있어, 이를 위한 학습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글에서 개발한 Blockly graphic 툴을 이용해서 웹상에서 실행하는 webc 프로그래밍 융합 학습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 학습시스템 안에는 문제 중심의 학습에 이용할 수 있는 초보자용 문제세트가 내장되어 있다. 이 문제세트는 20여년 동안 현장에서 검증받은 문제들로 학습자들이 최단 시간 내에 초보를 탈출할 수 있게 해주는 문제세트 들이다. Blockly webc 프로그래밍 융합 학습시스템은 이미 개발된 Simple Visual Language2 프로그래밍 학습시스템과 함께 초보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학습시스템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Convergent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umbbell Type Dendritic Materials by Click Chemistry

  • Sung, Sae-Reum;Han, Seung-Choul;Jin, Sung-Ho;Lee, Jae-Wo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2권11호
    • /
    • pp.3933-3940
    • /
    • 2011
  • General, fast, and efficient stitching methods for the synthesis of dendrimers with linear PEG units at a core, as dendritic-linear-dendritic materials, were developed. The synthetic strategy involved the click reaction between an alkyne and an azide. The linear core building blocks, three dialkyne-PEG units, were chosen to serve as the alkyne functionalities for dendrimer growth via click reactions with the azide-dendrons. These three building blocks were employed together with the azide-functionalized Fr$\acute{e}$chet-type dendrons in a convergent strategy to synthesize the Fr$\acute{e}$chet-type dendrimers with different linear core units. Their structure of dendrimers was confirmed by $^1H$ and $^{13}C$ NMR spectroscopy, IR spectroscopy, mass spectrometry, and GPC analysis.

창의 융합 역량 개발을 위한 스마트 건축물 개발 (The Development of Smart Building for Developing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y)

  • 이광석;이종석;전명기;이준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55-256
    • /
    • 2017
  • 공학교육에 있어 창의성과 독창성 그리고 타 분야와의 융합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새로운 교육이 제안되고 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하나로 결합된 스마트 건축물을 제작한다. 목재를 활용하여 제작되는 건축물에는 거리센서(distance sensor), 소리센서(sound sensor), LED 센서(LED sensor) 및 DC 모터(DC motor) 그리고 이를 동작시키는 그래픽 기반의 스크래치 프로그램이 하나로 통합되며 최종적인 융합 결과를 도출한다.

  • PDF

Analysis of Suicide Research on Multicultural Youth in Korea

  • Oh, Youngsub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69-277
    • /
    • 2018
  • As multicultural population has been drastically increasing over the decade in Korea, their quality of life needs to be studied. This study focuses on multicultural youths' suicidal issue in Korea. Suicide is one of the most obvious indicators to show the current status of mental health. Unfortunately, suicide attempt rate of multicultural youths was two-times more than that of non-multicultural youths in Korea during the past two years(2014-15).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 Korea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ed variables to their suicide attempt. Research result says that multicultural youth's suicide is related to a variety of variables, including physical, psychological, educational, socio-economical, and cultural variables.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se variables can be utilized as predictive or protective factors to prevent their suicide. Second, theoretical framework for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ir suicidal issues needs to be developed. Third, both emergent and normal suicidal interventions need to be provided for multicultural youth in Korea.

의과대학생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of Medical Students Trends Analysis)

  • 이애화
    • 의학교육논단
    • /
    • 제20권2호
    • /
    • pp.91-102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medical students' major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by analyzing 184 academic articles pertai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students from 2007 to 2017. Results showed many papers dealing with medical students'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student counsel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board, research trends were found mostly in the student and curriculum areas of learner characteristics, medical humanities, student counsel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Common research topic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standard in 2012. Medical students predominantly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tud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research topics such as CQI, digital- and performance-based clinical practice, and convergent curriculum with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eing studied. In addition,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learners' unique, dynamic,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 양희모;황선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5-10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Health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 (HCAT) developed by Campbell et al. in 2013 can be applied to assess Korea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simulation education. Method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HCAT (K-HCAT) was evaluated through expert's assessment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esting construct validity. The convergent validity was tested by measuring relationship between the K-HCAT and those of existing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 for standardized patient instruction. The evaluation was done by surveying 154 senior students from four different nursing colleges. Results: The K-HCAT was condensed into 15 items from the original 22 HCAT item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actor loadings ranged from .50 to .83; cumulative explained variance was 62.65%. Four factors were entitled as 'relationship building', 'empowering', 'empathy/response', and 'education/feedback'. Cronbach's ${\alpha}$ for sub-dimensions ranged from .73 to .84. An evaluation of convergent validity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K-HCAT were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ose of an assessment tool for standardized patient instruction. Conclusion: The K-HCA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assessing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various kinds of simulation educat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test the consistency of the K-HCAT.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간의 상호관계분석: 중학교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analysis among subject specific interests,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self-efficacy: focused on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 김담실;이성원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1-59
    • /
    • 2019
  • 외국어 학습이론에서 자기조절학습, 교과흥미, 학습몰입, 자기효능감은 주요 구성개념들로 연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구성개념 간 상호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개념들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SEM분석을 통하여 그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남에 위치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첫째, 교과흥미는 학습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흥미는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또한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학습몰입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자기조절학습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다섯째, 자기조절학습은 학습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상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영어교육의 경우 학생들의 교과흥미는 학습몰입을 가져오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며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증진하여 결국은 성과로 이어지게 된다.

학문목적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속담' 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Proverbs' by Foreign Students)

  • 채은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41-250
    • /
    • 2019
  • 이 연구는 TOPIK 급수 3급 이상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전자설문을 활용한 '한국 속담' 인지정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응답자 53명 중 해당 급수에 해당하는 응답자는 45명이 되었으며, 기본정보 외에 추가질문을 통해 자료를 얻었다. 연구결과, 한국어 학습 방법으로는 모국과 한국의 교육기관에서의 수업이 80.0%로 나타났으나 교육기관을 통한 속담 학습은 57.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속담에 대한 높은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그 기대에 부응하는 체계적 속담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들은 한국 속담의 비유적 표현을 어렵게 인식하였다. 또한 이들의 TOPIK 급수 소지에 비해 한국 속담을 이해하는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계적 속담 교육의 부재는 한국 속담의 비유적 표현을 이해하기 힘들게 하는 원인으로 파악된다. 학업 후 한국어 교수자가 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많은 만큼 속담 학습이 개인학습으로 그치기 보다 한국어 교육과 같이 한국 속담 교육의 체계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학 연계전공에 대한 교육요구 우선순위 탐색 (Search for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for Interdisciplinary Programs at University)

  • 안수현;이상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43-451
    • /
    • 2021
  • 대부분의 대학에서 4차산업혁명시대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연계전공, 융합전공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교육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계전공을 이수하는 학생들의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연계전공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계전공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계전공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대학 차원의 지원을 탐색하였고, 온라인 조사를 통해 t-test, Borich의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적용하여 최종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전담조직 설치 및 운영', '전용 강의실 및 실습실'이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커리큘럼 특성화', '연계전공 장학금 지원', '연계전공 홍보', '전담조교 배정'이 차우선 고려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연계전공의 교육요구 우선순위에 대한 활성화 방안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