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Performance

검색결과 6,742건 처리시간 0.043초

순시신호 대 잡음비 알고리즘을 이용한 적응 잡음 제거기의 DSP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daptive Noise Canceller using Instantaneous Signal to Noise Ratio with DSP Processor)

  • 이재균;류부식;김춘식;이채욱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58-163
    • /
    • 2009
  •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은 식이 간단하고 계산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LMS 알고리즘은 수렴속도를 높이게 되면 주위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발산하게 되고, 안정성을 높이게 되면 수렴속도가 떨어지는 수렴속도와 안정성 사이에 trade-off가 발생한다. 이러한 LMS 알고리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VSSLMS(Variable Step Size LMS)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VSSLMS 알고리즘은 에러 신호를 이용하여 스텝사이즈를 조절하여 수렴속도와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환경에서 적응잡음 제거기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I-VSSLMS(Instantaneous Signal to Noise Radio VSSLMS)을 제안한다. 제안한 I-VSSLMS을 TMS320C6713 DSP 보드를 이용하여 적응 잡음 제거기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을 하였고, 각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 PDF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인수인계 자신감에 미치는 융합 효과 (The Convergence Effect of Simulation-based Handoff Training Program on Handoff Performance Ability and Handoff Confidence)

  • 이경희;하영선;나윤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19-52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인수인계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K도 소재 P시와 A시 소재 간호 대학생 104명에게 사전·사후 실험설계의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10월 30일부터 11월 10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with pretest value as covariate를 실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수인계 수행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인수인계 수행능력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인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에너지 인터넷을 위한 GRU기반 전력사용량 예측 (Prediction of Power Consumptions Based on Gated Recurrent Unit for Internet of Energy)

  • 이동구;선영규;심이삭;황유민;김수환;김진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20-126
    • /
    • 2019
  • 최근 에너지 인터넷에서 지능형 원격검침 인프라를 이용하여 확보된 대량의 전력사용데이터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전력수요 예측을 위해 다양한 기계학습기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력량 데이터와 같은 시계열 데이터에 대해 효율적으로 패턴인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네트워크인 Gated Recurrent Unit(GRU)을 기반으로 딥 러닝 모델을 제안하고, 실제 가정의 전력사용량 데이터를 토대로 예측 성능을 분석한다. 제안한 학습 모델의 예측 성능과 기존의 Long Short Term Memory (LSTM) 인공지능 네트워크 기반의 전력량 예측 성능을 비교하며, 성능평가 지표로써 Mean Squared Error (MSE), Mean Absolute Error (MAE), Forecast Skill Score, Normalized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Normalized Mean Bias Error (NMBE)를 이용한다. 실험 결과에서 GRU기반의 제안한 시계열 데이터 예측 모델의 전력량 수요 예측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허경영이 신사업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융합 전문가 협동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Patent Management on New Business Development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Convergence Expert Cooperation)

  • 정운섭;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4호
    • /
    • pp.19-38
    • /
    • 2019
  • 본 연구는 융합전문가 협동을 중심으로 특허경영이 신사업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의 연구는 특허경영에 관해 정량적인 특허지표를 통해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특허 경영이 융합전문가 협동을 통해 신사업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특허 경영이 신사업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융합전문가 협동을 중심으로 특허경영이 신사업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으며, 가설 실증분석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허경영은 매개변수인 융합 전문가 협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경영은 융합 전문가 육성, 융합전문가 활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허경영은 신사업 개발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경영은 사업의 성공 여부, 목표 매출액 달성 여부, 새로운 시장 개척, 새로운 기술의 개발, 고객 요구사항의 반영정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융합 전문가 협동을 매개로 한 특허경영은 신사업 개발 성과 중 재무적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 전문가 협동을 매개로 한 특허경영은 신사업 개발 성과 중 비 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적 성과로는 사업 성공 여부, 목표 매출액 달성 여부이며, 비 재무적 성과로는 새로운 기술 개발, 새로운 시장 개척 등이다. 따라서 국내 융합 신사업 개발 기업들의 지속적인 경영성과 창출을 위해서는 정(+)의 영향이 확인된 융합 전문가 협동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술 개발과 새로운 시장 개척을 통하여 신사업 개발성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비전 시스템의 성능개선을 위한 진동 적응 방법 (Vibration Adaptive Algorithm for Vision Systems)

  • 서갑호;윤성조;박정우;박성호;김대희;손동섭;서진호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86-491
    • /
    • 2016
  • Disturbance/vibration reduction is critical in many applications using machine vision. The off-focusing or blurring error caused by vibration degrades the machine performance. In line with this, real-time disturbance estimation and avoidance are proposed in this study instead of going with a more familiar approach, such as the vibration absorber. The instantaneous motion caused by the disturbance is sensed by an 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 module. A periodic vibration modeling is conducted to provide a better performance. The algorithm for vibration avoidance is describ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modeling. The vibration occurrence function is also proposed, and its parameters are determined using the genetic algorithm. The proposed algorithm is experimentally tested for its effectiveness in the vision inspection system.

임상실습 경험 간호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on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 이현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53-60
    • /
    • 2018
  • 본 연구는 18주간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생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 정도를 확인하여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간호학생들을 위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프로그램 마련에 필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4학년 학생 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정도(4.62점/5점)가 실천 정도(3.84점/5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인식 정도와 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향후 일부 간호학생으로 제한되었던 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호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다학제간 융합연구가 필요하고, 간호학생들을 위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과 실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료기관과 대학 측의 공동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TPM활동에 있어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Mediating Variable Affecting the Business Performance in the TPM Activity)

  • 연경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97-20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AHP 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TPM의 스텝활동 중 가장 중요한 활동들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모형으로 구축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텝활동들이 매개변수를 통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융합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4개의 스텝활동인 현장불합리 및 로스개선, 준비 및 5S 활동 기본조건 체계구축, 초기청소, 설비효율의 로스분석을 독립변수로 선정하고 TPM 활동수준을 매개변수로 하여 종속변수인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4개의 스텝활동들은 기업성과에 직접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는 않지만, TPM 활동수준이 매개변수로 투입된 경우에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TPM 활동수준은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PM에 참여한 사람들의 설비에 대한 자신감, 자기계발의 의식, 개인 업무에 대한 명확한 관리 등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TPM활동은 성공적으로 기업의 성과에 공헌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발달장애인의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performance and Vocational abilit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27-434
    • /
    • 2021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수동휠체어 사후관리 직무수행도를 조사하고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보조기기사후관리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9명을 대상으로 상황평가와 직업능력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비모수 통계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7개 직무로 구성된 수동휠체어 사후관리의 전체 직무수행도는 평균 80.87%였으며 발받침 세척, 팔걸이 세척, 앞바퀴 분해 및 조립 직무의 수행도가 비교적 높았다. 수동휠체어 사후관리의 전체 직무수행도는 시각폐쇄, 운동감각 통합, 기초개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본 연구에서 확인된 직무수행도와 직업능력의 관련성은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 및 직무배치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보조공학과 직업재활 분야의 융합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보조기기사후관리 직무의 지역사회 확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외부기술이전 기업의 기술이전·사업화 전문기관의 활용이 기업의 기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술이전·사업화 전문기관의 복합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Use of Specialized Organizations for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complex use of specialized institutions-)

  • 이정수;박명준;지성철;박민정;손동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189-197
    • /
    • 2021
  • 우리나라는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하여 기술이전·사업화 전문기관을 지속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문기관의 유형과 지원형태에 따른 성과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술이전·사업화 전문기관의 유형을 구분하여 복합활용성과와 기술을 수용한 기업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업 외부기술 도입 및 활용을 추진한 380개기업을 대상으로 OLS 및 NBR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이전·사업화 전문기관을 복합 활용 할수록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외부기술도입의 항목에 따라 기업성과에 상이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성장단계가 초기일수록 산업이 안정화되는 영역의 기업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차원에서 기술이전·사업화 전문기관의 활용과 기업의 외부기술을 도입전략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