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Factors

검색결과 5,113건 처리시간 0.033초

일부 대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perception on oral health improvement behavior in some university students)

  • 임선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67-175
    • /
    • 2017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이 구강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S대학교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0일부터 4월 30일까지 설문조사하여 최종 29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강건강지식은 11.46점, 5점 척도인 구강건강 중요성은 1.71점, 구강건강 상태 2.78점, 구강건강 관심 2.52점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경험유무에서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중요성, 구강건강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S대학 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은 구강건강상태(${\beta}=-0.188$), 구강건강관심(${\beta}=-0.265$)이었다.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심이 높을수록 결국 구강건강증진행위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지식을 높이고 구강건강에 관심을 갖게 하여 행동과 태도의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청소년의 주관적 우울경험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융합 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affect the oral health with subjective depression experience of adolescent)

  • 박신영;임선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5-53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주관적 우울경험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융합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구강건강행태와 자각증상경험으로 구분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주관적 우울경험으로 구성하였다. 우울경험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융합요인으로 구강건강행태에서는 하루 칫솔질 횟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란트 유무는 주관적 우울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높았고, 자각증상경험에서는 치아 깨짐, 음식섭취 시 아픔, 잇몸출혈 유무, 구취 유무에서 주관적 우울이 없는 경우 보다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우울과 구강건강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해 심리적인 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 성격 5요인과 창의융합역량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Big-five Personality Factors and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Undergraduate Students)

  • 박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71-38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 성격 5요인과 창의 융합 역량의 관계를 분석하여 일반적으로 누구나 지닌 성격 5요인을 고려하여 학생 역량을 강화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 G지역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전공 계열은 인문사회 계열, 자연과학 계열, 공학 계열로 구분하여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경험에 대한 개방성을 포함한 성격 5요인과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 리더십, 융합적 사고, 융합적 가치 창출을 포함한 창의 융합 역량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F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성격 5요인과 창의 융합 역량은 전공 계열별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성격 5요인과 창의 융합 역량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성격 5요인 중 외향성과 성실성은 창의 융합 역량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창의 융합 역량 강화를 위해 전공 계열과 성격 5요인이 고려되어야 함을 지지할 수 있다.

Finishing 용 전자빔 집속 장치의 성능 실험 (Performance Experiment of Electron Beam Convergence Instrument)

  • 임선종
    • 한국레이저가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8
    • /
    • 2015
  • Finishing process includes deburring, polishing and edge radiusing. It improves the surface profile of specimen and eliminates the alien substance on surface. Deburring is the elimination process for debris of edges. Polishing lubricates surfaces by rubbing or chemical treatment. There are two types for electron finishing. The one is using pulse beam. The other is using the convergent and scanning electron beam. Pulse type device appropriates the large area process. But it does not control the beam dosage. Scanning type device has advantages for dosage control and edge deburring. We design the convergence and scan type. It has magnetic lenses for convergence and scan device for scanning beam. Magnetic lenses consist of convergent and objective lens. The lenses are designed by the specification(beam size and working distance).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convergence performance by pattern process. Also, we analysis the results and important factors for process. The important factors for process are beam size, pressure, stage speed and vacuum.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into systematizing pattern shape and the factors.

컨버전스 제품 핵심성공요인과 전략 (A Study on Effects of Success Factors and Strategies of Convergence Products)

  • 강병영;박진용;홍한국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7권1호
    • /
    • pp.45-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success factors and strategics of convergence products in Korea. The research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the innovation resistance and product bundling, examines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responses to convergence products. The research scheme was experimen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swered by 128 companies. The research model was composed of 4 groups: 1) consumer innovativeness, 2)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3) perceived risk, 4) new product risk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reveal that consumer evaluation(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s) are affected by consumer perceptions of risk,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new product risk.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The Convergence factors on Dentur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with Removable denture)

  • 유상희;강은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511-516
    • /
    • 2019
  • 본 연구는 전주시에 거주하는 가철성 의치장착 노인의 의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157명). 의치만족도 전체 평균은 3.62로 나타났다. 의치만족도의 세부요인별 만족도는 저작 만족도(3.81), 의치고정 만족도(3.66), 일반적 만족도(3.46) 순이었다. 의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여가활동 여부, 한 달 용돈, 의치관련 정기적 치과방문이었다. 결과적으로 의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치와 관련된 특징보다는 의치장착자의 일반적 특성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의치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의치장착자의 사회적 요인(여가생활, 경제적 수준 등) 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A framework of Multi Linear Regression based on Fuzzy Theory and Situation Awareness and its application to Beach Risk Assessment

  • Shin, Gun-Yoon;Hong, Sung-Sam;Kim, Dong-Wook;Hwang, Cheol-Hun;Han, Myung-Mook;Kim, Hwayoung;Kim, Young ja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7호
    • /
    • pp.3039-3056
    • /
    • 2020
  • Beaches have many risk factors that cause various accidents, such as drifting and drowning, these accidents have many risk factors. To analyze them, in this paper, we identify beach risk factors, and define the criteria and correlation for each risk factor. Then, we generate new risk factors based on Fuzzy theory, and define Situation Awareness for each time. Finally, we propose a beach risk assessment and prediction model based on linear regression using the calculated risk result and pre-defined risk factors. We use national public data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KHOA).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e prediction accuracy of beach risk to be 0.90%, and the prediction accuracy of drifting and drowning accidents to be 0.89% and 0.86%, respectively. Also, through factor correlation analysis and risk factor assessment, the influence of each of the factors on beach risk can be confirmed.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our proposed model can assess and predict beach risks.

ICT기반 융합기업의 성공 요인 및 정책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Policy Direction of ICT-based Convergency Company)

  • 원상호;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9-50
    • /
    • 2015
  • ICT융합은 기업의 대표적인 혁신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ICT기반의 융합기업을 대상으로 성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심층인터뷰를 했다. ICT융합 기업의 성공요인은 ICT기술의 융합을 통한 제품과 서비스의 차별화, R&D투자 강화를 통한 융합형 기술력 확보, 융합에 대한 CEO 강력한 리더십 및 국내외 협업관계의 강화 등으로 분석되었다. ICT융합에서 제품 및 서비스의 혁신을 위한 노력, 적극적인 R&D투자,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은 성공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복잡한 인허가 절차, 국산 제품 및 서비스의 나쁜 선입견, 해외진출 부담 등은 부정적인 효과를 준다. 이런 결과를 ICT융합 확산을 위한 정책적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성과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f the Factor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based Convergence Research Performance)

  • 노영희;이광희;정대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67-678
    • /
    • 2018
  • 본 연구는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융합연구성과 영향요인으로 개인특성, 연구환경요인, 연구자요인, 연구팀요인, 지원기관요인을 설정하였으며,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구자요인, 지원기관요인, 연구환경요인 중 연구분야(전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이 융합연구성과에 미치는 설명력은 51.6%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첫째,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경우 융합연구의 성과에 있어 연구팀 요인보다는 연구자 개인요인이 중요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원기관은 융합연구성과에 대한 지속적적인 관리를 통해 융합연구성과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연구자의 연구분야(전공) 또한 융합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융합연구 연구팀 구성에 있어 연구분야(전공) 또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공학 분야의 학문융합교육 가능성 분석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Engineering)

  • 박성미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53-61
    • /
    • 2014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on the possibilit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in engineering. Delphi survey on a panel of experts was chosen to be the main methodology for this study, drawing the main factor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engineering. From Oct. 10 to Nov. 25, 2013, a three-round Delphi survey was implemented to collect data. A panel of eighteen experts were involved in this survey. For statistical proces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rried out along with internal reliability test on the survey instrument. First, the possible convergence of disciplines in engineering were found to Design, Industrial design, ICT, Health care services, Video media, Business and Administration, Organizational psychology, Sociology, Humanities and Aesthetics. Second, the convergence education factors to be most important demanded creativity, idea generation techniques such as the expression of thought communication skills, technical expertise in the field per line, understanding of basic knowledge, verification of common elements among different disciplines, understanding of other disciplines fusion in engineering, artistry and imagination, etc. Third, requirements for the talented person of convergence were the open mind and enthusiasm, creative imagination, accept the opinions of others, skills capacity as a creative expression, and challenges. Above-mentioned requirements are found to be the necessary elements for convergenc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