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rast agent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36초

Diagnostic Significance of pH-Responsive Gd3+-Based T1 MR Contrast Agents

  • Bhuniya, Sankarprasad;Hong, Kwan So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3권1호
    • /
    • pp.17-25
    • /
    • 2019
  • We discuss recent advances in Gd-based $T_1$-weighted MR contrast agents for the mapping of cellular pH. The pH plays a critical role in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During the past two decades, several MR contrast agents of strategic importance for pH-mapping have been developed. Some of these agents shed light on the pH fluctuation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A pH-responsive self-assembled contrast agent facilitates the visualization of tumor size as small as $3mm^3$. Optimization of various parameters is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pH-responsive contrast agents. In due course, the new contrast agents may provide significant insight into pH fluctuations in the human body.

초음파 조영제 (Ultrasound Contrast Agent)

  • 김기욱
    • Clinical Pain
    • /
    • 제20권2호
    • /
    • pp.86-92
    • /
    • 2021
  • Ultrasound imaging in clinical practice is one of the widely used diagnostic methods because there is no radiation risk, more cost- effective compared to MRI or CT, and possible to perform an intervention through fast real-time imaging. In order to increase the diagnostic value, the studies of contrast-enhanced ultrasound (CEUS) using an ultrasound contrast agent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about 50 years ago and are being used clinically in vascularity and microcirculation of internal organs. Although ultrasound is actively used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diagnosing mild or small lesions, inflammatory reactions, or abnormalities at the molecular level. In this review, the principles, types, and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ultrasound contrast agents have been summarized and introduced. If w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ltrasound contrast agents and anatomical knowledge, as well as molecular changes, the ultrasound contrast agents are widely applied in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have tremendous potentia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조영제 사용으로 유발된 중증 저나트륨혈증 1례 (A Case of Severe Hyponatremia Induced by Radiographic Contrast Agent)

  • 홍정덕;임인석;최응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1호
    • /
    • pp.89-93
    • /
    • 2010
  • 조영제 사용으로 유발된 중증 저나트륨혈증이 일어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조영제를 사용한 복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했던 환아에서 중증 저나트륨혈증과 경련이 발생하였으나, 신경학적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조영제 이외의 저나트륨혈증의 다른 원인을 발견할 수 없었던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Characteristics of Liver Enhancement Pattern using a New Macromolecular MR Contrast Agent in VX2 Tumor Model of Rabbits

  • 박현정;황문정;이영주;장용민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2년도 제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0-130
    • /
    • 2002
  • Purpose: To evaluate the liver enhancement pattern of MR images obtained after administration of manganese phthalocyanine (MnPC), which is a newly developed macromolecular MR contrast agent, In experimentally implanted VX2 tumor of rabbits and compare with G4-DTPA and Mn-DPDP.

  • PDF

Gold Nanoparticles Coated with Gd-Chelate as a Potential CT/MRI Bimodal Contrast Agent

  • Sk Md., Nasiruzzaman;Kim, Hee-Kyung;Park, Ji-Ae;Chang, Yong-Min;Kim, Tae-Jeo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5호
    • /
    • pp.1177-1181
    • /
    • 2010
  • Th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old nanoparticles coated by Gd-chelate (GdL@Au) is described, where L is a conjugate of DTPA (DTPA = diethylenetriamine-N,N,N',N",N"-pentaacetic acid) and 4-aminothiophenol. These particles are obtained by the replacement of citrate from the gold nanoparticle surfaces with gadolinium chelate (GdL). The average size of GdL@Au is 12 nm with a loading of GdL reaching up to $1.4{\times}10^3$ per particles, and they demonstrate very high r1 relaxivity (${\sim}10^4mM^{-1}s^{-1}$) and the r1 relaxivity per [Gd] is as high as $10mM^{-1}s{-1}$. Here, we also describe the use of bimodality of this contrast agent (CA) as a highly efficient CT contrast agent based on gold nanoparticles (GNPs)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odine based contrast agent. The MTT assay performed on this CAs reveals the cytotoxicity as low as that for Omniscan$^{(R)}$ in the concentration range required to obtain intensity enhancement in the in vivo MRI study.

1.0 mol 과 0.5 mol MR조영제의 정량적 신호강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Quantitative Signal Intensity between 1.0 mol and 0.5 mol MR Contrast Agent)

  • 정현근;정현도;남기창;장근영;김호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2호
    • /
    • pp.134-14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1.0 mol 고농도 가돌리늄 조영제가 기존의 0.5 mol MR 조영제에 비해 얼마나 높은 신호강도를 보이는지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을 위하여 1.0 mol Gadobutrol과 0.5 mol Gadoteridol을 사용하여 희석비율을 달리한 각각의 MR팬텀을 제작하였다. 이를 1.5T MR장비의 조영증강 T1 검사인 2D SE 와 Head-Neck Angio의 3D FLASH 두 가지 방법으로 스캔하였다. 이후 영상에서 희석비율별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개의 시퀀스(2D SE, 3D FLASH)에서의 조영증강 반응시작 지점인 RSP(Reaction Starting Point)는 0.5 mol에서는 두 시퀀스 각각 6.0%, 60.0%, 1.0mol에서는 2.0%, 20.0%로 0.5 mol 조영제서의 조영증강반응이 빨리 일어났다. 최대 신호강도인 MPSI(Max Peak Signal Intensity)는 0.5 mol에서 두 시퀀스 각각 1358.8[a.u], 1573.0[a.u], 1.0mol 에서는 1374.9[a.u], 1642.4[a.u]로 최대신호강도는 두 조영제 모두 비슷하였다. 더불어 최대신호강도를 보이는 희석비율 지점인 MPP(Max Peak Point)는 0.5 mol 에서는 두 시퀀스에서 각각 0.4%, 10.0%, 1.0mol 에서는 0.16%, 1,8%로 0.5 mol 조영제의 최대신호강도가 더 빨리 형성되었다. 각 희석비율에서의 조영증강 반응면적 RA(Reaction Area)는 0.5 mol 에서는 두 시퀀스 각각 20747.4[a.u], 23204.6[a.u], 1.0 mol 에서는 12691.9[a.u], 20747.4[a.u]로 0.5 mol 조영제가 두 시퀀스에서 각각 27.4%, 11.8%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영증강 T1과 Head-Neck Angio 검사에서 1.0 mol 고농도 가돌리늄 조영제가 0.5 mol MR조영제에 비하여 신호반응이 느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최대 신호강도인 MPSI는 1.0 mol 조영제와 0.5 mol 조영제 둘 다 비슷하여 1.0 mol 고농도 가돌리늄 조영제가 MR영상에서 반드시 높은 신호강도를 보여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가돌리늄 조영제 주입에 따른 1H-MRS spectrum의 정량적 비교 (Quantitative Comparison of 1H-MRS Spectra Depending on the Paramagnetic Gadolinium Contrast Agent(GBCA) Injection)

  • 최관우;손순룡;유병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589-595
    • /
    • 2017
  • 본 연구는 1H-MRS 검사 시 조영제 사용이 대사물질의 spectrum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영제 주입 후 MRS 시행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2017년 1월부터 동년 5월까지 뇌 MRI 검사를 시행한 30명을 대상으로, 조영제 주입 전, 후 전두엽 백질 부분의 spectrum을 획득하여 뇌 조직의 대사물질 spectrum을 비교평가 하였다. 연구결과, 조영제를 주입할 경우 각 대사물질의 spectrum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어 조영제 사용이 대사물질의 spectrum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조도가 떨어져 병변의 위치파악이 힘든 경우 정확한 위치의 spectrum을 얻기 위해선 조영제를 사용하여 대조도를 높인 다음 MRS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CT 조영제를 이용한 차폐체에 대한 연구 (Study on Shielding using CT Contrast Medium)

  • 강헌효;김동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693-698
    • /
    • 2018
  • 현재 의료환경에서 영상의학 검사 시 의료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체는 납가운, 납유리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차폐체의 주성분인 납은 납중독과 경량화의 한계, 고가라는 제한점이 있다. 납차폐체 대신 대체 물질로 조영제로 쓰이고 있는 요오드 성분은 방사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차폐체로써 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투시 검사 시 기존의 납유리 대신 임상에서 사용하고 남은 CT 조영제로 채워진 아크릴판을 이용하여 차폐유무를 평가 하였다. 그 결과 산란선 선량 평가 시 차폐를 하지 않았을 때 보다 CT조영제로 채워진 아크릴판은 7배 이상 차폐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납유리 대신 요오드 성분으로 이루어진 CT 조영제가 차폐체로써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DECT의 VNC 적용으로 조영제와 석회화의 식별 에너지 영역 분석 (Discrimination Energy Range Analysis of Contrast Agents and Calcification using by VNC Application of DECT)

  • 김현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79-185
    • /
    • 2024
  • DECT의 다양한 에너지 스펙트럼 영상 구현기능을 적용하여 조영제와 석회화의 정량적 구분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CNR과 SNR을 비교하여 화질의 변화를 분석하고, 기존 방법인 2회 스캔 적용 시와 실험에서 적용한 VNC 영상 구현 1회 스캔 시 선량 감소수준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70 keV 영역에서 조영제와 석회화가 가장 잘 구분되었고, CNR, SNR도 우수하였으며 스캔 선량은 약 26.5% 감소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DECT 적용은 에너지별 가상 분광 영상 구현으로 석회화의 명암을 형성하여 시각적 그리고 정량적 구분에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환자의 나이, 성별 및 체형 등을 고려한 임상 연구를 시행하여 결과를 도출한다면 혈관 내 조영제가 유입된 상태에서도 석회화 정량 분석이 가능하여 환자의 검사 선량과 다 회 검사에 대한 부담감 감소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농도 조영제를 사용한 CT검사에서 저관전압 기법에 따른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Low Tube Voltage in the Computed Tomography Scan Technique using a Low Concentration Contrast Agent)

  • 정강교;조평곤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1호
    • /
    • pp.71-79
    • /
    • 2016
  •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검사(computed tomography; CT)에서 저농도 조영제와 저관전압 기법이 선량과 영상에 미치는 유용성을 팬텀으로 평가하였다. 조영제 농도별로 희석정도를 달리하여 실험팬텀에 삽입 후 관전압과 관전류를 단계적으로 변화하여 촬영하였고, 획득된 팬텀영상을 통해 선량과 HU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준조건(350 mgI/ml, 120 kV)보다 저농도 조영제와 저관전압 조건(300 mgI/ml, 100 kV)설정이 체적 선량평가(CTDIvol;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_{vol}$)에서 평균 21% 감소하였다. SNR은 저농도 조영제와 저관전압 조건이 팬텀에서 측정한 모든 깊이(center, 4.5cm, 2.25cm)의 조영제와 생리식염수를 1:10, 1:20으로 희석한 실험에서 각각 12.2(26%), 6.2(17%) 증가하였다. CNR은 각각 11.5(32%), 6.3(26%) 증가하였다. CT 검사에서 조영제 부작용 감소를 위한 저농도 조영제의 사용과 피폭선량 감소를 위한 저관전압 사용으로 영상에서 높은 감약계수를 통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