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us Usage Inten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7초

이모티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Emoticon : Focused on Mobile Messenger Service)

  • 이소라;장정빈;김광회;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9-308
    • /
    • 2014
  • Mobile instant messaging (MIM) has been widely used in modern society due to its portability, speed and ease of use. In addition to simple text-based messaging, mobile instant message has now expanded to include graphics, images, and video. Many instant message service providers attempt to differentiate their service by providing an unique emotic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continuous usage of emoticon is essential to capture users' interest. There is relatively little study on emoticon in information systems field.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ontinuous usage of emoticon through exploring the property of emoticon and usage motivation of emotic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practical implication of marketing on understanding user interest to mobile instant messenger service provider.

디지털콘텐츠 OTT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Digital Content Over-the-Top Service)

  • 안선주;서재이;최정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05-124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e-use expectation and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the OTT services. Methods: For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administered with many anonymous people who had previously used any of the OTT services and valid 192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PLS-SE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ersonalization and understandability in the information quality didn't significantly affect confirmation. Ease of use and search of the system quality significantly affected confirmation. Also, it was found that content diversity, content recency, and content playfulness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quality significantly affected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OTT service fees also significantly affected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It also significantly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Finally,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continuouse intention to us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of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with respect to OTT services through the Post Acceptance Model (PAM). Because system quality, content quality, and service fees meeted users' expectations, OTT services need a strategy that can boost the users' positive perceptions or experiences by reinforcing these three factors.

디지털헬스케어서비스에서 서비스품질 속성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연구: 사용자기대와 사용자효용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Effect of Characterisitcs of Service Quality on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 Using Mediating Factors of User Expectation and User Utility)

  • 전은선;김철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7
    • /
    • 2021
  • 본 연구는 디지털헬스케어서비스에서 사용자기대와 사용자효용의 매개요인을 사용하여 서비스 품질의 특성들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독립요인을 서비스품질 차원으로 통합하였으며,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독립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독립요인은 기술적특성, 사용자특성, 의료서비스특성 등의 3개의 관점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독립요인 특성이 지속사용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둘째는 사용자기대와 사용자효용이라는 2개의 매개요인들이 독립요인과 종속요인을 매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57개의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의미 있는 분석결과는 사용자특성 요인이 사용자기대와 사용자 효용 그리고 지속사용의도에 연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독립요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분석 결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용자특성 요인은 사용자기대와 사용자효용 매개요인에 영향을 주고, 이들 매개요인들은 지속사용의도 종속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2) 기능성, 호환성 그리고 편의성 하위요인들로 구성된 기술적특성 독립요인과 혁신성 하위요인을 갖는 사용자 특성 독립요인은 사용자기대 매개요인에 영향을 주고, 사용자기대 매개요인은 지속사용의도 종속 요인에 영향을 준다. (3) 신뢰성, 운영용이성, 안전성 그리고 정확도 하위요인들로 구성된 의료 서비스특성 독립요인은 사용자효용 매개요인에 영향을 주고, 사용자효용 매개요인은 다시 지속 사용의도 종속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기독교인의 사회관계망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 신뢰 및 지속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 금충기;김병곤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2호
    • /
    • pp.95-112
    • /
    • 2015
  • Spread of internet service had a huge effect on usage and spread of SNS world widely. Variety of the service has increased from human network managing to commerce, education, payment method and so on. Also, it is expanding its service territory to not only PC area but also that of mobile equipment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pread of use on SNS provides existing corporations the expansion of service area. Late SNS starter companies are advancing in diverse way for attracting users by serving shopping, games and other services with association with SNS. Therefore, analysis on consumers' thought and pattern which analyze users' demand, service's function and contents and other factors in order to reflect on plans and operations of SNS is needed. On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is suggesting properties that are crucially related to sustained usage of SNS and study factors of SNS's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rust and satisfaction on SNS and continuous usage intent of SNS.

오픈코스웨어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Open Course Ware)

  • 이재모;김광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106
    • /
    • 2016
  • Recently, Open Course Ware service area which offers free lecture materials has been steadily growing. This change comes from a paradigm shift of education service caused by the progress of ICT and a role change of consumers. Knowledge creation from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s slow compared to change of society. Therefore, consumers escape from one-sided education, and perform a new role of knowledge generation. Nevertheless, there is not much of academic research of Open Course Ware. Consequently, the paper is dedicated to empirical study on effect of perceived value,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brand trust on intention to continuous use. As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as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 results-an economic side that offers contents for free of charge, a contents side that is fresh, various and substantial, a systematic side that makes customers to use the system easily, a service side which takes charge of customers support and brand trust affect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ous use - can be used for establishment of executive strategies.

O2O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 이용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age of O2O Servi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User Innovation)

  • 이옥;이문봉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2호
    • /
    • pp.51-69
    • /
    • 2020
  • Purpose Today, the increasing of internet use and the expansion of internet range provide us with many opportunit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 relation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we examine the effect of O2O service satisfaction on continuous use intention. Also,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according to user innovation. Design/Methodology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method was used to test the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a sample of 451 respon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O2O service.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reliability, convergency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o test moderating effect of the user innovation, multi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Findings First,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perceived risk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perceived usefulness of O2O service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Third, satisfaction of O2O service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relationship that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perceived risk affect perceived usefulness is differ depending on user innov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o marketing practitioners the need for different approach by a user innovation.

건강정보 웹사이트에서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변수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Interactivity and User Related Variables in Health Information Websites)

  • 남재우;박태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3-131
    • /
    • 2014
  • 본 연구는 건강정보 웹사이트에서 지각된 상호작용성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용자의 개별적 특성이 지각된 상호작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건강염려증은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부의 관계를, 헬스리터러시와는 정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한편,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웹사이트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및 성과기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지속적 사용의도에는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이용자의 태도와 성과기대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지각된 상호작용성을 매개하고 있었다. 결국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긍정적 관계에 있는 다른 변수를 매개로 웹사이트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 가상패션쇼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Experience of Luxury Brand Virtual Fashion Show)

  • 정효조;고은주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2호
    • /
    • pp.70-87
    • /
    • 2023
  • Today, VR, AR, and MR technologies that travel between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are rapidly developing. These technologies are adopted in luxury fashion brands for virtual fashion shows and runways, virtual retail shops and virtual fitting services. Despite its growth potential and social importance, virtual fashion space has been studies insufficientl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sumer experience on the virtual fashion space types, components of virtual fashion space, perceived value,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Prada, one of the most active luxury fashion brands in the VR field, was selected as the stimulus for an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s experienced virtual fashion show space through VR device (Oculus Quest 2 from Meta) before responding to the questions about their experience. Results showed that material space was more like virtual whereas perceptual space felt like reality. Participants could imagine about more virtual image from material space and more real image from perceptual space elements. Moreover, perceptual space enhanced the immersion, presence, and interactivity compared to material space. Most participants perceived that the virtual fashion show was useful and playful, leading to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It implies that improvements for some technical limitation from VR device and virtual contents can provide quality consumer experience in the future.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fashion companies can establish useful marketing strategies for consumers' immersive and playful experiences when introducing virtual fashion space.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Success Factors of Sharing Economy Service)

  • 김해중;박종우;조동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14-229
    • /
    • 2016
  • 금융위기 이후 경제성장의 정체, 친환경 트렌드의 부상,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배경으로 등장한 공유경제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자원 활용도를 높여 초연결 시대, 소비자 효용 증대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을 서비스 수용 후 지속적 사용으로 규정하고 서비스 이용 경험에서 지속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요인 간 인과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가치와 네트워크 외부성은 신뢰 및 만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위험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는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만족 또한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가치와 위험, 그리고 네트워크 외부성은 신뢰와 만족을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 요인과 요인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공유경제 서비스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모바일 소셜네트워크 게임에 대한 인지된 가치가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towards Mobile Social Network Game)

  • 강태훈;김형길;조부연;현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04-2111
    • /
    • 2014
  • 논문은 MSNG 사용자들의 지속적 이용을 장려하고자 하는 MSNG 서비스 제공자들의 전략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MSNG 사용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의 작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MSNG서비스 제공자는 MSNG 사용자의 이성적, 감정적, 심리적 측면을 공략하고자, MSNG 사용자가 인지하게 될 기능적 가치, 감성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향상 전략을 실행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MSNG 서비스 제공자의 전략이 MSNG 사용자의 심리적 상황을 몰입상태로 바꾸어 MSNG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가 나타날 것으로 추론하였다. MSNG 사용자들로부터 확보된 431개 응답을 기초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MSNG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의 기능적 가치, 감성적 가치 및 사회적 가치를 높이려고 하는 전략은 모두 MSNG의 지속적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MSNG 서비스 제공자의 제반 가치 향상 전략은 MSNG 사용자의 심리적 상황을 몰입 상태로 변환시켜 지속적 이용을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과정에서 직면한 한계점을 기반으로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