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초

대학도서관의 참고사서을 위한 계속교육 (Continuing education for reference librarians in academic libraries)

  • 박준식;박은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569-59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theoretical systems concerning the necessity, methods, contents, and institution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reference librarians in Korea, and to present a direction after performing a survey research to the librarians and grasping the phenomena on the basis of the system. The necessity, participation, contents, and performing institutions of continuing education were examined in detail,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sub-groups divided by gender, age, academic level of study, career as a librarian were analyzed. Also the dire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for reference librarians was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contents, the following three methods for an ideal form to the continuing education of the reference librarians were presented in this thesis. 1) It is desirable that the continuing educations are performed at a professionalized institutions such as 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 in a college and an education center for librarians which offers the Certificates of Advanced Study(CAS) as a librarian.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program in which a working reference librarian may take more chances to study during vacation, weekends, or in the evening time.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per educational contents that reference librarians want, and to educate the librarians in order for them to keep pace with the change of times.

  • PDF

사서 계속교육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 Current Situations and Suggestions)

  • 장덕현;구본진;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1-202
    • /
    • 2015
  • 현재 우리나라의 사서 계속교육은 도서관 확충과 교육수요 증가에 따른 대응, 교육과정 확대 및 충실화를 위한 전문인력 확보, 교육의 세분화 요구에 대처하기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운영, 급변하는 지식정보 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한 사서직 역량 개발, 사이버 교육콘텐츠 확보 등 다양한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서교육기관 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특히, 사서 계속교육에 있어서의 국립중앙도서관의 역할을 중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보환경과 교육수요 변화에 대응하고 사서계속교육의 국가 주도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재의 사서 계속교육 체제를 '교육원'과 같은 전문기관으로 개편하고, 이를 통하여 사서 교육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교육플랫폼의 변화를 수용한 새로운 형태의 교육 시스템을 구상할 수 있다고 보았다.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계속교육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to Enhance the Specialization of Librarians)

  • 임동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1-77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현직 사서들의 전문성을 성장 발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계속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지를 통하여 현직사서의 직력, 계속교육에 대한 경험, 현황, 의견, 요구, 제언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속교육의 참여도는 전체적으로 부진하며 도서관 유형과 직무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둘째, 계속교육 주관처의 평가는 부진하였고 유용성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셋째, 계속교육을 위한 개인적인 노력은 부족하며 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넷째, 비정규 계속교육은 컴퓨터와 관련된 주제로 근무시간과 방학을 이용하여 실시하기를 원하고 있다. 끝으로 계속교육 발전을 위해서 전담기구의 설치, 주관부처별 평가제도의 확립, 특성화한 프로그램의 운영, 교육과 연구에 대한 성과급 제도의 도입, 해외연수의 적극적인 주진$\cdot$새로운 계속교육 방식의 도입, 정규 계속교육의 확대 등을 제언한다.

  • PDF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분석 (A Survey of Children's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for Develop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 차미경;이연옥;양수연;정혜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5-11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188명의 어린이 사서가 응답한 설문지 분석을 통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서비스와 어린이 사서의 현황을 조사하고 계속교육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계속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 그리고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a Continuing Education for Public Librarians: Focusing on Privatized Public Libraries)

  • 김태희;리상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63-395
    • /
    • 2014
  • 본 연구는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계속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내현황조사를 통해서 국립중앙도서관 사서연수과의 교육훈련과정과 지역대표도서관에서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계속교육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고, 국외사례로 미국과 영국의 도서관관련협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계속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이상에서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국내 위탁도서관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위탁공공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계속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 사서를 위한 전문 계속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 장혜란;홍현진;노영희;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33-168
    • /
    • 2008
  • 도서관 정보 환경의 발전에 따라 서비스를 개선하고 이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서들은 필수적으로 계속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대학도서관사서들을 위한 계속교육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와 현행 계속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고찰하였으며.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교육 요구 주제를 식별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학습자를 중간관리자와 실무자로 구분하여 각각 계속교육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 중간관리자를 위한 교과과정은 9개 영역 27개 과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실무자를 위한 교과과정은 7개 영역 25개 과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수요가 높은 부문을 직급별로 하나씩 선택하여, '도서관 마케팅'과 '디지털정보자원 구축 및 관리'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였다. 교육프로그램 모델에서는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전략, 교육시간, 교수방법과 도구 강사진 등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속교육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학교도서관 전문인력의 계속교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고양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urrent Statu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Enhancing School Librarians' Expertise: Focusing on the Goyang-si in Gyeonggi-do)

  • 이승민;박옥남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7-290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고 계속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고양지역 초 중 고등학교도서관에 근무하는 사서교사 및 사서 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계속교육에 대한 관심과 참여 경험이 높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둘째, 참여비중이 가장 높은 계속교육 유형은 단기연수 및 강습과정으로 나타났으며, 제공되고 있는 계속교육이 실무와의 연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리자의 낮은 인식과 지역적 제약과 적합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부재가 계속교육의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무시간 중과 방학 중의 계속교육을 선호하며, 다양한 주제의 계속교육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계속교육, 계속교육을 독려하기 위한 정책지원, 전문성을 위한 계속교육 과정 개발, 관리자의 인식전환 및 계속교육에 대한 홍보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사서 계속교육 효과성에 관한 연구: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University Librarians)

  • 이현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1-134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효과성을 교육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려는 의도인 학습전이에 두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계속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계속교육이 도서관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 계속교육의 프로그램 특성뿐만 아니라 학습자 특성, 조직 환경적 특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속교육의 사전 및 사후 활동을 개별 대학도서관이 조직차원에서 관리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습전이 영향요인을 기반으로 한 대학도서관 조직 차원의 사서 계속교육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어린이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과 계속교육의 발전 방안 (Developing Curricula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Children's Librarians)

  • 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7-288
    • /
    • 2010
  • 본 연구는 어린이사서의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과 계속교육 과정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사서 양성과 관련된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과 계속교육 과정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어린이실 사서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어린이실의 현황과 사서들의 직무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사서를 위한 교육과정과 재교육의 현황과 어린이실 사서들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어린이사서 교육과 계속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수요 분석 연구 (Demand Analysis to Develop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 장혜란;홍현진;노영희;오의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9-207
    • /
    • 2008
  •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계속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 현황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전국 대학도서관 사서의 33.3%를 체계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계속교육 참여경험과 만족도, 계속교육 주제, 계속교육 운영방법, 계속교육 프로그램 평가방법, 계속교육 활성화 방안, 참여요인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요분석 결과 첫째, 대학도서관 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참석했던 계속교육 유형 및 교육의 만족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요구 주제조사에서 도서관 홍보, 정보자원 및 지식콘텐츠 관리, 도서관환경변화와 적응에 대해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셋째, 선호하는 계속교육 유형은 전문주제별 교육과 업무기능별 교육이었고, 가장 선호하는 교육기간은 일주일로 나타났다. 넷째, 계속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내용의 전문성 증대, 지원체계확립, 교육수준의 다양화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