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driven Servic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5초

가상기업의 형성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프레임워크 (Context-Driven Framework for High Level Configuration of Virtual Businesses)

  • 이경휘;오상봉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4권2호
    • /
    • pp.11-26
    • /
    • 2007
  • In this paper we suggest a context-driven configuration model of virtual businesses to form a business network model consisting of role-based, interaction-centered business partners. The model makes use of the subcontext concept which explicitly represents actors and interactions in virtual business (VB) context. We separate actors who have capacities on tasks in a specific kind of role and actor subcontext which models requirements in specific interaction subcontext. Three kinds of actors are defined in virtual service chains, service user, service provider, and external service supporter. Interaction subcontext models a service exchange process between two actor subcontexts with consideration of context dependencies like task and quality dependencies. Each subcontext may be modeled in the form of a situation network which consists of a finite set of situation nodes and transitions. A specific situation is given in a corresponding context network of actors and interactions. It is illustrated with a simple example.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PARLAY X를 이용하는 MDA기반의 적응성 있는 문맥인식 서비스 (An MDA-Based Adaptive Context-Aware Service Using PARLAY X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 홍성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3호
    • /
    • pp.457-464
    • /
    • 2005
  •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PARLAY X기반 서비스 전송 플랫폼상의 MDA(Model Driven Architecture)기반 SCE(Service Creation Environment)를 이용하는 ACS(Adaptive Conte저-aware Service)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망 수준에서 문맥인식성과 더불어 적응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문맥인식성 미들웨어는 적응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문맥인식성과 적응성이 동시에 지원 가능한 PARLAY X기반의 신규 망 서비스 구조 및 PARLAY X API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ACS(Adaptive Context-aware Service)는 사용자 주변에 변화하는 문맥 제약조건을 감지하고, 변화하는 문맥 제약 조건에 따라서 적응성 있는 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ACS를 이용하는 예로 위치와 속도 등의 문맥정보를 인식한 후, 사용자에게 망에서 문맥정보에 따라서 적합한 차별화된 QoS를 지원하는 경우를 보였다. An의 구조는 SCE, Adaptive Context Broker, 그리고 PARLAY G/W로 구성되어 있다. SCE는 기존 지능망의 망 서비스와 같은 망 서비스로서 문맥인식성과 적응성을 표현하고 지원하기 위한 망 서비스 개발 환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CCL(Context-based Constraint Language)을 이용하였다. Adaptive Context Broker는 SCE의 문맥인식성 및 적응성 표현과 기존 PARLAY G/W사이의 브로커 역할을 한다. PARLAY G/W는 PARLAY X기반의 서비스 전송 플랫폼을 위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Event Driven 상황정보 모델링 및 서비스 구현 (Context aware Modeling and Services Implementation With Event Driven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김형선;김현;문애경;조준면;홍충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3-24
    • /
    • 2006
  • 최근 상황인식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 오르고 있으며, 연구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상황인식 기술은 상황정보를 획득/가공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황인식 시스템은 각종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낮은 수준의 상황정보를 높은 수준의 상황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인 스마트 공간에 존재하는 각종 센서로부터 얻어진 하위단계(Low level)의 Event driven 센서정보를 온톨로지 기반 상황정보로 모델링 하여 상위단계(High level) 상황정보로 변환하는 상황인식 모델링과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변환된 High level 상황정보는 가상공간에서 ECA(Event Condition, Action) 룰에 따라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선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스마트 오피스 환경에서 발표 도우미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 PDF

사용자주도형 상황인식서비스 (User-driven Context-aware Service)

  • 박정규;이긍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12
    • /
    • 2013
  • 상황인식은 컴퓨터가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기술이다. 상황인식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일방적으로 개발자가 제공하는 상황인식서비스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개발자주도형 모델을 따르고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스스로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이 일부 제안되기도 했으나 대체로 사용하기 어렵거나 매우 단순한 형태의 서비스 구현에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개인의 필요에 맞춘 상황인식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스마트홈 환경에서 사용자가 직접 실세계의 장치나 인터넷의 정보를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도비(Dobby) 모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문에서는 도비 모델을 상세히 설명하고 일반사용자를 위한 서비스정의 방법으로 Program by selection을 제안한다. 가상 스마트홈 기반의 테스트베드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도비의 서비스 개발방법이 기존의 사용자주도형 방법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보다 표현력과 사용의 편의성 면에서 우수함을 주장한다.

보안 헬스 정보 교환을 이용한 온톨로지 지식기반 상황인식 U-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프레임워크 설계 (Ontology Knowledge-Driven Context-awere U-Healthcare Service Application Service Framework using Secure Health Information Exchange)

  • 김동현;김석수;최이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75-84
    • /
    • 2014
  • 예방 의료에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는 노인 환자들의 수명연장에 대한 연구로 발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수명 연장 및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모바일과 무선센서 기술을 사용하여 삶의 질을 향상 시켜 수명을 연장시키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응용프로그램이 모바일화 및 보급이 용이해짐에 따라 u-헬스정보 보호와 보안에 대한 위협이 증가하고 관심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 헬스 정보 교환 기술을 적용한 온톨로지를 이용하는 유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식기반 상황인식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 영역의 보안 헬스 정보 교환 기술을 적용한 온톨로지를 위한 보편적인 어플리케이션 영역에서 상황 추론, 상황 모델링, 지식 기반 지원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예방 서비스 질 변화를 위한 모바일 웹서비스, 상황 기술, 지식베이스에 대하여 논의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적응적 컨텐츠 서비스를 위한 모델기반 아키텍처와 프로덕트라인 기법 : 선발 U-안전모니터링 시스템응용 (A Model Driven Architecture and Product Line Engineering Technique for Adaptable Contents Service of Ubiquitous Computing : Applying to Vessel U-Safety Monitoring)

  • 이서정;최미숙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611-617
    • /
    • 2008
  • In ubiquitous environments, the content adaptable services can be dynamically provided to adapt the frequent changes of contexts. These services have common things that the kinds of context factors are limited to ubiquitous environment, though the contexts are flexible. To reuse service architecture can be reasonable for effective adaptable service. In this paper, we design a software architecture with product line techniques for content adaptable applications in ubiquitous environment. Description of product line is to define variation points and their variants, to find out the dependencies between them and to keep the model based architecture, their alternatives.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와 서비스의 연계를 표현하는 마크업 언어 (A Markup Language for Describing the Linkage between Sensor Data and Service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 이훈순;진성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2호
    • /
    • pp.247-256
    • /
    • 2008
  •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우리 주변에 산재하는 수많은 스마트 객체들이 끊임없이 방대한 양의 센서 데이터를 생성해 낸다. 인터넷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인터넷으로 연결된 정보의 바다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찾는데 도움을 주는 인터넷 정보 검색 엔진이 등장한 것처럼, 스마트 객체가 생성한 센서 데이터로부터 우리 삶을 윤택하게 하는데 활용될 정보를 추출하여 응용 서비스에 전달하는 일을 함으로써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는 센서 데이터 스트림 처리 미들웨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센서 데이터 스트림 처리 미들웨어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사람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공될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미들웨어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는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정보를 구분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컨텍스트 드리븐 서비스 마크업 언어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컨텍스트 드리븐 서비스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면 다양한 상황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쉽게 표현할 수 있다.

EDS(Event Driven Service) 시스템 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e of Event Driven Service System)

  • 송광빈;조석팔
    • 정보학연구
    • /
    • 제10권4호
    • /
    • pp.11-26
    • /
    • 2007
  • EDS is a typical convergence service performing convergence between functions owned by multiple SPs. EDS provides users with the relevant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by the various personal conditional environment. An alternative terminology for events for net- work related applications is 'triggers'-these are assumed to be includ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Events could be defined as any activities which occur within a service avail ability, signals. Events can be managed, for example, as part of a context-aware application. EDS carry out a procedure for processing user's requested information about mobil network-based entities, such as the combination with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LBS (Location Based Service) and area information. In AS (Application Service) network environments, the user has his customized EDS in the network, the EDS automatically connects the appropriate Terminals consistent with a user profile. EDS can also send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other requesting users by way of event information and using the procedures of combination with other services. The user can record/retrieve the user-related information to from the information base through EDS.

  • PDF

상황인식 기반 홈 로봇 서비스의 구현사례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Context-aware based on Home Robot Service)

  • 김형선
    • 서비스연구
    • /
    • 제4권1호
    • /
    • pp.49-59
    • /
    • 2014
  • 상황인식 기술은 유비쿼터스(스마트) 환경에서 지난 수년간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현재도 연구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상황인식 기술은 물리적인 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획득/가공하여 사용자에게 능동적인 서비스와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황인식 시스템은 각종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낮은 수준의 상황정보를 높은 수준의 상황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인 스마트 공간에 존재하는 각종 센서로부터 얻어진 하위단계(Low-level)의 Event-driven 센서정보를 온톨로지 기반 상황정보로 모델링 하여 상위단계(High-level) 상황정보로 변환하는 상황정보를 모델링하여 상황인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변환된 High-level 상황정보는 가상공간에서 ECA(Event, Condition, Action) 룰에 따라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스마트 홈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가사 도우미 로봇 서비스의 구현 사례를 소개 하였다.

  • PDF

소비자 네트워킹 환경에서의 사용자 주도 서비스의 효율적 생성 (An User-driven Service Creation Architecture in Consumer Networking Environments)

  • 정유철;김진영;이혜진;김광영;서동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79-487
    • /
    • 2016
  • Web 2.0 환경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또는 소비자)와 개발자 (또는 제작자) 간의 실시간 상호 작용을 허용하는 수많은 스마트 장치 및 서비스에 노출되고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 컨텍스트 기반의 새로운 사용자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서비스 생성 경험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작성을 위한 확장된 데이터 모델을 소개하고, 이 데이터 모델에 기반한 신규 서비스 생성, 서비스 생성 데이터의 관리, 그리고 내/외부 서비스 저장소에 대한 의미적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생성 관리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또한, 홈 환경과 모바일 환경에 걸친 두 가지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제안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하며, 서비스 생성 데이터 관리를 위해 제안한 아키텍처는 서비스 생명주기 동안의 서비스 생성 데이터를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