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aware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28초

모바일 플랫폼 상황이해엔진 (A Context-Aware Engine for Mobile Platforms)

  • 이선아;이건명;이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00-305
    • /
    • 2005
  • 지능로봇이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주변의 상황정보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적당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황에 따른 서비스를 탐색하여 제공하는 유용한 플랫폼으로 규칙기반 시스템을 활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 이 논문에서는 상황이해 서비스를 위한 규칙기반 시스템의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하여 구현한 규칙기반 상황이해 서비스 엔진에 대해서 기술한다 구현한 상황이해 엔진은 임베이드 환경을 비롯한 모바일 환경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수행속도와 메모리요구량에 대한 고려를 하여 설계되었다.

상황이해 엔터테인먼트 정보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조 및 지식표현 (A Context-Aware Entertainment Information Service Framework Architecture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 이건명;이선아;류근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62-69
    • /
    • 2010
  •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서 정보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가용한 정보를 최대한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가시간의 증가와 경제적 여유는 일상에서 취미, 오락, 건강, 웰빙 등의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으며, 정보 인프라를 통해 이러한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제공에 기대가 커지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이루어진다면, 사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황이해 엔터테인먼트 정보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에 대한 요소 기술을 살펴보고, 상황이해 엔터테인먼트 정보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상황이해를 위한 데이터의 표현 및 상황 추론과 서비스 결정을 위한 지식 표현 방법을 제안한다.

Ubiquitous Architectural Framework for UbiSAS using Context Adaptive Rule Inference Engine

  • Yoo, Yoon-Sik;Huh, Jae-Doo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5년도 6th 200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Communications and System
    • /
    • pp.243-246
    • /
    • 2005
  • Recent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increasingly impact on our lives using the current technologies of sensor network and ubiquitous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ubiquitous architectural framework for ubiquitous sleep aid service(UbiSAS) in the subset of ubiquitous computing for refreshing of human's sleep. And we examine technical feasibility. Human can recover his health through refreshing sleep from fatigue. Ubiquitous architectural framework for UbiSAS in digital home offers agreeable sleeping environment and improves recovery from fatigue. So we present new concept of ubiquitous architectural framework dissolving stress. Specially, we apply context to context-aware framework module. This context is transferred to context adaptive inference engine which has service invocation function in intelligent agent module. Ubiquitous architectural framework for UbiSAS using context adaptive rule inference engine without user intervention is technical issue. That is to say, we should take sleep comfortably during our sleeping. And sensed information during sleeping is changed to context-aware information. This presents significant information in context adaptive rule inference engine for UbiSAS. This information includes all sleeping state during sleeping in context-aware computing technique. So we propose more effective and most suitable ubiquitous architectural framework using context adaptive rule inference engine for refreshing sleep in this paper.

  • PDF

Context-Aware 환경에서의 위치정보 프라이버시 연구동향

  • 이동혁;송유진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100-112
    • /
    • 2005
  • 유비쿼터스의 주요한 특성은 상황 인식(Context-Aware)이며 이것은 사용자의 시공간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지 않고 상황에 맞게 자동적으로 처리해 주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비쿼터스의 특성은 데이터의 보안이 취약할 경우 기존 컴퓨팅 환경보다 더 큰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미 벨 연구소에 의해 개발된 PCP(Privacy Conscious Personalization)는 모바일 및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문제에 Context-Aware의 특성을 반영해 준다. PCP는 위치 정보에 대한 요구를 받으면 Houdini로 명명된 Rule Engine을 작동시키며 현재의 상황 및 사용자의 설정을 고려하여 정보를 공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네덜란드의 University of Twente는 P3P를 확장하는 P3P Extension과 상황-의존 Preference를 표현하는 XML 기반 언어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WASP 플랫폼을 위한 아키텍쳐를 개발하였다. WASP Framework는 웹서비스 기반의 프라이버시 보호 아키텍쳐이며 사용자의 위치, 시간, 상태, 신원 등 다양한 Context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Location Context의 관점에서 Context Aware Computing 환경의 하나로 LBS 위치정보의 프라이버시 구조에 대한 두가지 사례 연구를 수행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상황인식 기반 TV 응용 서버스 (Context-aware based TV Application Servic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 문애경;이강우;김형선;김현;이수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7B호
    • /
    • pp.619-631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도래함에 따라 사용자의 명시적 요구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보다는 상황정보를 활용하여 능동적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 에이전트와 상황인식 기반 태스크를 포함하는 CAMUS(Context-Aware Middleware for URC Systems) 시스템을 이용한 상황인식 기반 능동형 서버스를 제안한다. CAMUS 는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로봇 또는 컴퓨터가 현재의 상황을 인식하여 그 상황에 맞는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제안된 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하여 TV 응용 도메인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TV 프로그램 추천 및 TV 제어 서비스 에이전트 그리고 TV 도우미 태스크를 구현한다. TV 도우미 태스크는 사용자 위치, 음성 등의 상황 정보에 따라 TV 프로그램 추천 및 제어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ROS를 이용하여 상황인지 기반의 로봇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중계 시스템 (A Relay System for Supporting the Execution of Context-Aware Robot Services on ROS)

  • 이민호;최종선;최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5호
    • /
    • pp.211-218
    • /
    • 2017
  • 최근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연구는 로봇 기기들의 추상화를 통해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지능형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기종 센서들의 환경정보를 인지하는 상황인지 기술이 필요하다. ROS는 로봇 디바이스를 추상화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로봇을 사용한다. ROS는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이기종 센서 자체를 추상화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나, 일관된 수집 방법을 통한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로봇이 인지할 수 있는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OS가 상황인지 기반의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중계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로봇이 인지할 수 있는 추상화된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외부의 상황인지 시스템과 로봇을 제어하는 ROS를 중계하여, ROS가 상황인지 로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시스템을 바탕으로, 상황인지 시스템과 ROS에서 추상화된 로봇 서비스를 연동하여 로봇 서비스를 실행시키는 과정을 보인다.

상황인지 Io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 (Ontology Based User-centric Service Environment for Context Aware IoT Services)

  • 최환석;이준영;양나리;이우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9-44
    • /
    • 2014
  •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황, 상태 정보를 추적하여야 한다. 하지만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시스템, 문법, 구조, 의미적인 측면에서 이질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서비스에 재사용이 어렵다. 이를 위해 센서 데이터는 이와 같은 이질성을 제거하고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에 용이한 컨텍스트 정보 형태로 처리 되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상황인지형 서비스 정의 환경은 상황을 정의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의 종류나 상황정보의 기준, 서비스 정의를 위한 프로그래밍 능력 등을 필요로 하여 일반적인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패러다임을 통해 습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지 IoT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온톨로지 기반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환경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환경은 센서 데이터를 컨텍스트 정보로 처리하는 온톨로지 기반 시멘틱 센서 데이터 처리 메커니즘과 사용자 친화적 서비스 정의 환경으로 구성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웹 서비스에 기반한 상황 인식 미들웨어의 설계 (A Design of Context-Aware Middleware based on Web Services in Ubiquitous Environment)

  • 송영록;우요섭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25-232
    • /
    • 2009
  •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상황 인식 기술은 수집된 컨텍스트 정보를 효과적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하고, 이러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식 컴퓨팅을 위한 프레임워크인 WS-CAM으로 명명된 웹 서비스에 기반한 상황 인식 미들웨어를 제안한다. WS-CAM은 온톨로지 기반의 컨텍스트 모델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텍스트 정보에 대한 충분한 표현력과 추론 기능을 제공하고, 미들웨어로부터 응용 서비스로의 컨텍스트 정보 전달에 있어서 웹 서비스를 적용하여 미들웨어 독립적인 응용 개발을 이룰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한다. 또한, WS-CAM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기반을 둔 강의 서비스 시나리오를 기술하고, 웹 서비스 기반의 장점을 보이기 위하여 미들웨어 독립적인 시스템 확장의 예를 보인다. 강의 서비스에 적용한 WS-CAM은 도메인 환경 내의 컨텍스트 정보를 OWL 기반 온톨로지 모델로 효과적으로 표현하였고, 사용자 정의 규칙에 의하여 고수준의 컨텍스트 정보로 추론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웹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웹 메서드를 통하여 컨텍스트 정보가 응용 서비스에 미들웨어 독립적으로 전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mproved Post-Filtering Method Using Context Compensation

  • Kim, Be-Deu-Ro;Lee, Jee-H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119-124
    • /
    • 2016
  •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smartphone penetration and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 personal context information can be easily collected. To use this information, the context aware recommender system has been actively studied. The key issue in this field is how to deal with the context information, as users are influenced by different contexts while rating items. But measuring the similarity among contexts is not a trivial task.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context aware post-filtering to apply the context compensation. To be specific, we calculate the compensation for different contex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ir average. After reflecting the compensation of the rating data, the mechanism recommends the items to the user. Based on the item recommendation list, we recover the rating score considering the context inform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we use the real movie rating dataset. Experimental evaluation shows that our proposed method outperforms several state-of-the-art approaches.

상황인식 컴퓨팅 환경에서 동적 서비스 컴포지션 기술 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 in Dynamic Service Composition Technology for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s)

  • 신동천;장효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63-178
    • /
    • 2010
  • A service composition has received much interest to provide users with the ad-hoc, seamless, and context-sensitive services dynamically composed from various networked services in context-aware computing environments. In this paper, with the purpose of guiding trends in the researches for dynamic service composition technologies, we investigate and analyze the major related works. For this, we separate semantic based composition from syntax based composition and then establish the comparison criteria by dividing the service composition processes into 3 steps:definition, construction, and exec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