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xt Attribute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2초

시-공간 도표정보의 3차원 지도 기반 가시화기법 (Visual Mapping from Spatiotemporal Table Information to 3-Dimensional Map)

  • 이석준;정순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51-58
    • /
    • 2006
  • 다양한 과학 분야와 공학 분야에서는 그들이 다루고 있는 특정한 주제의 정보를 좀 더 신속하고, 명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정보가시화(information visualization) 기법을 사용한다. 정보를 가시화 할 때는 기본적으로 세 가지 과정을 거치는데, 원 데이터(raw data)로부터 데이터 모델(data model)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 모델을 가시화 구조상(visual structure)에 매핑(mapping)시킨 후 정보화 모델(information model)로 변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행사가 진행되고 있는 건물내부에서 발생하는 시간, 공간적인 정보를 정리한 도표메타포(table metaphor)를 토대로, 해당 데이터 모델로부터 추출한 다양한 정보를 3차원 지도로 구성된 정보화 모델상에 반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정보를 단순히 공간상에 반영하기 보다는 사용자의 관심영역(interest area)에 따른 정보의 공간적 의미에 중점을 두어 3차원 공간상에 표현하였다.

  • PDF

이모티콘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 - 고 맥락과 저 맥락 이모티콘의 비교를 중심으로 - ((Types of metonymy applied to emoticons and their salience attribut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high-context and low-context emoticons -))

  • 김찬희;류시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4호
    • /
    • pp.91-101
    • /
    • 2021
  • 소셜미디어상의 이모티콘처럼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초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문화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환유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맥락 안에서 환유가 어떤 방식으로 시각화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환유 발현의 대표적인 기저 현상인 <현저성(Salience)>과 이를 통해 재현되는 다양한 <이모티콘>의 표현 원리를 문화 맥락과 짝지어 규명하는 것이다. 사회과학 분야의 대표 담론인 맥락이론을 기반으로 고 맥락의 <아프리카TV> 이모티콘과 저 맥락의 <트위치> 이모티콘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유가 어떤 과정을 거쳐 시각적 결과물로 재현되는지에 관한 환유의 시각적 적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둘째, 이모티콘 표현방식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맥락이론에 기초하여 고 맥락의 시각적 환유와 저 맥락의 시각적 환유의 특성이 어떻게 상이한지를 제시하였다. 향후, 현지화 전략 구사가 필요한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디자인 결과물의 현지 수용성, 현지 적합도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Effect of Food Neophobia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ervice Attributes, Brand Tru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Franchise Snack Bar

  • Lee, Sang-Mook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8-65
    • /
    • 2017
  • This study performed to test the effect of food neophobia on the formulated model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ervice attributes(food, employee, and physical attributes), brand tru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s perceived by franchise snack bar consumers. Total 299 respond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current study verified that food attribute among perceived service attributes has positively influence on brand trust and satisfaction, and the employee attribute has only effect on the brand trust. Additionally, the brand trust was critical predictor of satisfact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 antecedent of behavioral intention in context of franchise snack bar restaurant.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level of food neophobia on the designed hypothesizes, so it has been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people's propensity about food neophobia can significantly effect on brand trust and satisfaction in franchise snack bar restauran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c in franchise snack bar business as well as provide the theoretical evidence in the new segmentation.

분류학습을 위한 연속 애트리뷰트의 이산화 방법에 관한 연구 (Discretization of Continuous-Valued Attributes for Classification Learning)

  • 이창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6호
    • /
    • pp.1541-1549
    • /
    • 1997
  • 대부분의 기계학습 방법들은 이산형의 데이타를 학습에 사용되는 데이타의 형식으로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연속형 데이타의 경우는 기계학습 방법들을 적용하기 전에 그 데이타를 이산형으로 바꾸어 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산화 과정은 그 중요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관련 연구가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정보이론을 사용하여 연속형 자료를 이산형의 형태로 변환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각 애트리뷰트의 값들이 목적 애트리뷰트에 제공하는 정보의 량을 엔트로피 함수의 일종인 Hellinger 변량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각 애트리뷰트마다 제공하는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산화 경계선을 계산하였다. 본 논문이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ID3 와 신경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기존의 이산화 방법들과 비교하였으며 거의 대부분 우수한 정확성을 보였다.

  • PDF

Predicting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of Ready-to-Drink Coffee: A Supply Chain from Thai Producers to Retailers

  • PUTITHANARAK, Naruecha;KLONGTHONG, Worasak;THAVORN, Jakkrit;NGAMKROECKJOTI, Chittipa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5호
    • /
    • pp.105-117
    • /
    • 2022
  •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ready-to-drink (RTD) coffee. Although the RTD coffee market is growing competitively, few studies have examined behavioral re-intention or re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this industry.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behavioral re-intention to purchase RTD coffe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s the underpinning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behavioral re-intention to purchase RTD coffee is influenced by the variables of the TPB and additional variables. A mixed-method research design was applied, starting with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and followed by a quantitative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of coffee lovers.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was used to assess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proposed conceptual framework. Results: The results reveal that content sensory attribute beliefs are the strongest positive predictor of behavioral re-intention in Thailand, followed by perceived utilitarian value. In contrast, price signaling was negatively related to behavioral re-inten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can help food and beverage companies to develop new coffee product lines to gain more market share, create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to build brand awareness, and manage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 supply chain.

보다 정확한 동적 상황인식 추천을 위해 정확 및 오류 패턴을 활용하여 순차적 매칭 성능이 개선된 상황 예측 방법 (Context Prediction Using Right and Wrong Patterns to Improve Sequential Matching Performance for More Accurate Dynamic Context-Aware Recommendation)

  • 권오병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9권3호
    • /
    • pp.51-67
    • /
    • 2009
  • Developing an agile recommender system for nomadic users has been regarded as a promising application in mobile and ubiquitous settings. To increase the quality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in terms of accuracy and elapsed time, estimating future context of the user in a correct way is highly crucial. Traditionally, time series analysis and Makovian process have been adopted for such forecasting. However, these methods are not adequate in predicting context data, only because most of context data are represented as nominal scale. To resolve these limitations, the alignment-prediction algorithm has been suggested for context prediction, especially for future context from the low-level context. Recently, an ontological approach has been proposed for guided context prediction without context history. However, due to variety of context information, acquiring sufficient context prediction knowledge a priori is not easy in most of service domains.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ovel context prediction methodology, which does not require a priori knowledge, and to increase accuracy and decrease elapsed time for service response. To do so, we have newly developed pattern-based context prediction approach. First of ail, a set of individual rules is derived from each context attribute using context history. Then a pattern consisted of results from reasoning individual rules, is developed for pattern learning. If at least one context property matches, say R, then regard the pattern as right. If the pattern is new, add right pattern, set the value of mismatched properties = 0, freq = 1 and w(R, 1). Otherwise, increase the frequency of the matched right pattern by 1 and then set w(R,freq). After finishing training, if the frequency is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then save the right pattern in knowledge base. On the other hand, if at least one context property matches, say W, then regard the pattern as wrong. If the pattern is new, modify the result into wrong answer, add right pattern, and set frequency to 1 and w(W, 1). Or, increase the matched wrong pattern's frequency by 1 and then set w(W, freq). After finishing training, if the frequency value is greater than a threshold level, then save the wrong pattern on the knowledge basis. Then, context prediction is performed with combinatorial rules as follows: first, identify current context. Second, find matched patterns from right patterns. If there is no pattern matched, then find a matching pattern from wrong patterns. If a matching pattern is not found, then choose one context property whose predictability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properties.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aper, we collected actual context history from the travelers who had visited the largest amusement park in Korea. As a result, 400 context records were collected in 2009. Then we randomly selected 70% of the records as training data. The rest were selected as testing data.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ology, prediction accuracy and elapsed time were chosen as measures. We compared the performance with case-based reasoning and voting methods. Through a simulation test, we conclude that our methodology is clearly better than CBR and voting methods in terms of accuracy and elapsed time. This shows that the methodology is relatively valid and scalable. As a second round of the experiment, we compared a full model to a partial model. A full model indicates that right and wrong patterns are used for reasoning the future context. On the other hand, a partial model means that the reasoning is performed only with right patterns, which is generally adopted in the legacy alignment-prediction method. It turned out that a full model is better than a partial model in terms of the accuracy while partial model is better when considering elapsed time. As a last experiment, we took into our consideration potential privacy problems that might arise among the users. To mediate such concern, we excluded such context properties as date of tour and user profiles such as gender and age. The outcome shows that preserving privacy is endurable. Contribu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ally, we have improved sequential matching methods to predict accuracy and service time by considering individual rules of each context property and learning from wrong patterns. Second, the proposed method is found to be quite effective for privacy preserving applications, which are frequently required by B2C context-aware services; the privacy preserving system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can also decrease elapsed time. Hence, the method is very practical in establishing privacy preserving context-aware services. Our future research issues taking into account some limitations i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ser acceptance or usability will be tested with actual users in order to prove the value of the prototype system. Second, we will apply the proposed method to more general application domains as this paper focused on tourism in amusement park.

속성 버전화에 기반한 시간지원 객체지향 모델의 형식화 (The Formalization of a Temporal Object Oriented Model Based on an Attribute versioning)

  • 이홍로;김삼남;류근호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MULTIMEDIA DATABASES on INTERNET
    • /
    • pp.483-503
    • /
    • 1997
  •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시간지원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때 발생하는 중요한 문제는 관계 의미에 따라 시간과 속성을 결합하는 방법에 있다. 관계형 모델처럼 속성 버전화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는 시간지원 객체지향 모델에 적용할 수 없다. 이것은 객체지향 모델이 복합 객체를 구성하기 위해서 기존의 모델보다 더욱 강력한 구성자들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문은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에 시간 개념을 통합하기 위한 형식적 접근방법을 제안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객체 사이에 관계하는 일반화, 집단화와 연관화에 따라 시간지원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표현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시간지원 객체지향 모델에서 속성 버전화의 개념을 정의하고, 객체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해서 시간을 표현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또한 관계 의미에 대한 제약조건을 규정하고, 표현 기준에 기반하여 검토한다. 이 논문은 객체지향 데이터 모델을 형식화함으로서 대수 연산자를 설계시 강력한 연산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모듈의 재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국제 복합상표 제휴전략: 상표간 보완성, 적합성 및 상표속성 전이성에 관한 실증연구 (International Composite Branding Alliances: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Complementarity and Fitness Effects, and Brand Attribute Transferability)

  • 권업;조봉진;강혁;김규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3권
    • /
    • pp.89-111
    • /
    • 2004
  • 본 연구는 국제복합상표 제휴에서 소비자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4개의 국제복합상표에 적용하여 관련 연구문제를 검정하였다. 모형 본석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주상표가 부상표보다 복합상표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선행연구의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주상표와 부상표가 복합상표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구성상표간의 제품법주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영향력이 적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구성상표간의 제품범주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구성상표간의 상표속성 보완성이, 먼 경우에는 원상표와 복합상표간의 적합성이 복합상표에 대한 소비자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관리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를 개선시키기 위한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모델에서 XML 객체의 재사용 (Reusing XML Objects in Context-Aware Workflow Model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Service Scenario)

  • 유연승;문종혁;김도형;최종선;최재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9권6호
    • /
    • pp.121-130
    • /
    • 2020
  • 상황인지 워크플로우를 바탕으로 특정 사용자 또는 환경에 따라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개발해야 한다.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모델은 서비스 도메인 내의 한정된 상황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활용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서비스 시나리오에는 중복되는 요소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중복되는 요소들로 인해 발생하는 반복적인 작업 프로세스는 서비스 시나리오의 개발 프로세스를 지연시킨다. 따라서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의 불필요한 작업 프로세스를 해소하기 위해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모델의 요소들은 재사용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모델에서 XML 객체의 재사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모델에서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XML 객체를 문서화하여 재사용 요소로 관리하고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과정에서 호출을 통해 재사용한다. 또한 재사용 요소의 속성 값을 변경하여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 있다. 실험에서는 상황인지 워크플로우 모델의 요소들을 재사용하여 서비스 시나리오의 개발 프로세스가 간소화되는 과정을 시나리오 예제를 통해 보인다.

한국어 구문분석을 활용한 이유-감성 패턴 기반의 감성사전 구축 (Sentiment Dictionary Construction Based on Reason-Sentiment Pattern Using Korean Syntax Analysis)

  • 김우현;이희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142-151
    • /
    • 2023
  • Sentiment analysis is a method used to comprehend feelings, opinions, and attitudes in text, and it is essential for evaluating consumer feedback and social media posts. However, creating sentiment dictionaries, which are necessary for this analysis, is complex and time-consuming because people express their emotion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domain.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method for simplifying this procedure. We utilize syntax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to identify and extract sentiment words based on the Reason-Sentiment Pattern, which distinguishes between words expressing feelings and words explaining why those feelings are expressed, making it applicable in various contexts and domains. We also define sentiment words as those with clear polarity, even when used independently and exclude words whose polarity varies with context and domain. This approach enables the extraction of explicit sentiment expressions, enhancing the accuracy of sentiment analysis at the attribute level. Our methodology, validated using Korean cosmetics review datasets from Korean online shopping malls, demonstrates how a sentiment dictionary focused solely on clear polarity words can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product planners. Understanding the polarity and reasons behind specific attributes enables improvement of product weaknesses and emphasis on strengths. This approach not only reduces dependency on extensive sentiment dictionaries but also offers high accuracy and applicability across various doma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