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summary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31초

저단백식이와 마그네슘 결핍식이 섭취시 마그네슘 보충이 흰쥐의 지질대사 및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gnesium Supplement Levels and Periods on Lipid Metabolism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정복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8호
    • /
    • pp.933-941
    • /
    • 1993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gnesium supplement levels and periods on lipid metabolism in male Sprague-Dawley rats given low protein and magnesium deficient diets. The effect of magnesium supplement levels and period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given a low protein and magnesium deficient diet for 2 weeks were investigated. Serum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agnesium supplement group compared with magnesium deficient group. Serum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magnesium supplement level was increased. Liver total lipi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phospholip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agnesium supplement group than those in magnesium deficient group. Serum ALP, GOT and GP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magnesium supplement group compared with magnesium deficient group. In summary, the effect of magnesium supplement on lipid metabolism and enzyme activities were significant and we can see that magnesium supplement level propered to be requirement level(400 mg/kg diet)in the other cases except serum lipid contents.

  • PDF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을 위한 교과서 분석 및 내용 체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Contents and Textbooks Analysis for School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김정현;전세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9호
    • /
    • pp.125-13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ntents analysis to develop school dietary education based on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are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that include a general perspective of the pages, illustrations, table of contents, introductory remarks, summary evaluation, and etc. This study carried out as basic fundamental research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elementary school dietary education. We examined and analyze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the educational goals, and the structural framework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e have developed a systematic structure with 4 large content elements for dietary education as foods & cooking, nutrition & health, dietary environment & consumption, and food culture & industry. This analysis will definitely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standard framework and the curriculum contents for school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우리나라 중학교 "방학생활"에서 생물분야에 대한 해설(제2보(第二報)) (1980년 겨울-1981년 여름) (Review of Biology Articles Published In "Vacation Life" Distributed in Middle School In Korea)

  • 이웅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56
    • /
    • 1988
  • The Korean Federation of Education Association has published "Vacation Life" to promote self-teach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va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every year. The book include whole subjecy offered in the middle school. However subject of science(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is more emphasized. This article described brief summary of the contents of biology branch published in winter "Vacation Life", 1980 and summer "Vacation Life" 1981.

  • PDF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척도 CAS(Client Assessment Summary) 한국어판의 타당도 검증 (Validity Verification of a Korean Version of Recovery Scale(Client Assessment Summary) for Alcoholics)

  • 이영선;김수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86-394
    • /
    • 2016
  • 본 연구는 치료공동체에 거주하는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을 측정하는 도구 CAS(Client Assesment Summary)의 한국어판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일반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 척도로 사용하기에 수용가능한지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대상자로 단주 중인 알코올 중독자 20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은 CAS 척도의 내용타당도, 신뢰도,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타당도, 타 회복척도인 ARS, 단주기간, 단주 자기 효능감, 병식, 변화 동기 변수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기준타당도를 검증하는 분석을 시행하였다. 내용타당성 검증 후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CAS척도는 전체 12문항,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76.26%, 공통성 0.6 이상, KMO 값 0.92로 구성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내적일치도 계수는 .92로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ARS, 단주기간, 단주 자기효능감, 병식, 변화 동기 변인과의 상관관계로 기준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검증 과정을 통하여 CAS척도가 치료공동체 뿐 아니라 일반 알코올 중독자에게 사용하기에도 타당한 척도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상의 척도가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을 평가하는데 학술적, 임상적으로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지능형 정보검색을 위한 KP AGENT의 설계 (A Design of KP AGENT for Intelligent Information Retrieval)

  • 박경우;배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443-451
    • /
    • 2000
  • 지금가지 과학기술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여러 형태의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가 있었지만, 이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데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용자의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기능을 보충하는 새로운 지식표현 패러다임으로 기술정보공간(ICPIS : Information Communication Papers Intelligent Surveyor)을 제안한다. 이것은 기술정보로부터 자동적으로 구축되어 그 중에서 이용자가 자유롭게 탐방 할 수 있는 정보 공간이다. 구축방법과 탐방기능을 명확히 하여 실 시스템을 구축, 평가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ICPIS는 Keyword로 기술된 논문군을 입력하여 논문내용의 항목별 요약, 유사논문의 시각적 표시와 비교, 인과관계의 추출을 시작으로 논문의 요약정보, Survey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ICPIS에서 중심적 역할을 나타내는 것은 KP(Knowledge Piece)로 불리고, 이는 기술정보의 추출법과 구조화법을 일체화한 Domain지식의 패키지이다. ICPIS는 KP별로 기술된 Keyword에서 자연언어처리에 해당되는 기술정보를 논문 중에서 추출하여 KP에서 규정된 요약구조로 생성한다.

  • PDF

인터넷 기반의 수신자 맞춤형 재난경보 전달시스템 연구 (A Study on Internet Emergency Alert Distribution System Adaptive to the Receiver Characteristics)

  • 안소영;전인찬;김지희;이용태;최성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98-605
    • /
    • 2015
  • 효과적으로 경보를 전달하면 재난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경보 전달 채널을 다양화 하는 것이 경보 전달 효과를 향상시킬 수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경보시스템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경보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에 운영 중인 CBS (Cell Broadcasting System)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와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자동재난경보 시스템(이하 T-DMB 재난경보방송)은 콘텐츠의 제한, 수신 기기의 제한, 단방향 서비스라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SS (Rich Site Summary)를 활용한 인터넷 기반의 수신자 맞춤형 재난경보 전달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 사례를 분석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설계한 결과를 테스트베드를 구현하여 검증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활용하면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Review of ISO Standards on Human-System Interaction Published during 2008-2013

  • Lee, Dhong Ha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3-452
    • /
    • 2014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ive ergonomists the brief summary of the recently published ISO standards on human-system interaction and tips for application of the standards. Background: Standard developers did hard work on developing a standard in a concise manner. But most of standards are often bulky in volume. Readers of the standards are difficult to catch key points from the voluminous contents of standards and intermingle among them. Method: Focused on newly developed display/control technology, this study reviewed the 14 ISO standards on human-system interaction published during 2008-2013 and summarized key points from them. Results: Schematic diagrams and tables concisely illustrated the processes, procedures, dimensions, or best practices recommended by the standards concerning conception, design, and usability testing for consumer products. Conclusion: The standards provided the minimum level of requirements on design and evaluation on the physical input devices, electronic displays, and control interfaces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But the minimum requirements specified in the standards nowadays become mandatory ergonomic requirements in global trade world. Application: Ergonomists can take a quick and broad view o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on newly developed display/control technology from this summary study.

음악의 스펙트럼 분석과 $\frac{1}{\Large f}$ 스펙트럼 특성을 이용한 대표부분 추출 (Music Spectrum Analysis and a Content Summary Technique Based on the $\frac{1}{\Large f}$ Characteristic)

  • 배진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2C호
    • /
    • pp.1156-1163
    • /
    • 2007
  • 현재 유통되고 있는 디지털 음악 파일에서 일정 길이를 갖는 대표 부분을 주파수 신호 처리 기법을 통해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기곡의 저주파 스펙트럼이 $\frac{1}{\Large f}$ 특성을 갖는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대표 부분 추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추출 시스템은 크게 음악의 검정 스펙트럼을 얻어 내는 전처리 과정과 유사도를 비교하여 점수화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구현된 시스템으로 교향곡과 인기 가요를 분석하는 모의 실험을 통해 곡들의 듣기 좋다고 생각되는 일부분을 추출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음악 컨텐츠의 미리 듣기 자동 추출 제공을 제안한다.

개인화된 방송 컨텐츠의 효율적 검색을 위한 메타데이터 검색 구조 설계 (Design of Metadata Retrieval Structure for Efficient Browsing of Personalized Broadcasting Contents)

  • 이혜규;박성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2호
    • /
    • pp.100-10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개인화된 방송 컨텐츠의 보기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보다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 저장 구조를 계층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원하는 컨텐츠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MPEG-7 MDS 구조의 분류 기술구조와 기술구조 사이에 세부장르 목록이 들어있는 하위 장르 테이블을 추가한다. 그리고 기술구조에서 기존의 메타데이터들이 분류 없이 트리 형태의 계층구조로 저장되던 부분을 사건과 객체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 연구에 비해 장르의 단계별 검색이 가능해짐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계층적 검색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타데이터를 사건과 객체를 구분하여 저장함으로써 탐색의 복잡성을 최소화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하는 검색 구조의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의 구조보다 향상된 검색 시간을 보여준다.

2020년 EBS 연계교재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듣기 및 읽기 어휘 분석 (Vocabulary Analysis of Listening and Reading Texts in 2020 EBS-linked Textbooks and CSAT)

  • 강동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679-6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BNC 어휘목록과 2015 교육부 기본 어휘를 중심으로 EBS 연계교재와 대학 수능시험의 어휘를 분석하고자 한다. 어휘점유율과 빈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AntWordProfiler 어휘 분석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결과를 보면, 2020 EBS 수능 영어 듣기와 읽기 연계 교재는 각각 BNC 3,000 단어와 4,000 단어를 가지고 약 95%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EBS 듣기와 읽기 교재의 98%의 단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각 4,000과 8,000 단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2020 수능영어시험 듣기와 읽기의 95%를 이해하기위해서는 각각 2,000과 4,000 단어가 요구되며, 98%의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4,000과 7,000의 단어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EBS 연계교재가 대입수능영어시험보다 더 많은 어휘의 양을 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