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15/khea.2010.48.9.125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of Contents and Textbooks Analysis for School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Kim, Jung-Hyu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aiChai University)
Jeon, Se-Kyung (Departm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8, no.9, 2010 , pp. 125-1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ntents analysis to develop school dietary education based on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are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that include a general perspective of the pages, illustrations, table of contents, introductory remarks, summary evaluation, and etc. This study carried out as basic fundamental research to propos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elementary school dietary education. We examined and analyze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the educational goals, and the structural framework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e have developed a systematic structure with 4 large content elements for dietary education as foods & cooking, nutrition & health, dietary environment & consumption, and food culture & industry. This analysis will definitely play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standard framework and the curriculum contents for school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Keywords
elementary school; school dietary education; textbook analysis; systematization of cont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함수곤(2001). 미래사회와 교육과정의 구조.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19(1), 31-35.
2 황순녀(2005). 초등학생을 위한 단계별 영양교육과정안.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0(3), 375-381.
3 황순녀(2008). 학교 영양교육 내용체계 구성론. 파주: 도서출판(주)한국학술정보.
4 Birch, I.(1987). The role of experience in children's food acceptance patten. J Am Diet Assoc, 87, 536-543.
5 Contento, I. L., Michela, J. L., & Williams, S. S.(1995). Adolescent Food Choice Criteria: Role of Weight and Dieting Status. Appetite, 25(1), 51-76.   DOI   ScienceOn
6 Evers, C. L.(1995). How to teach nutrition to kids: A Integrated, creative approach to nutrition for children. Tigard: 24 Carrots Press.
7 임재희(2008). 초등학교 교과서의 식생활 관련 내용 분석 및 월별 영양교육 실천 방안.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전국교육대학교 실과교과교육연구회 편(2010). 실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50-73. 서울: 도서출판 양서원.
9 전세경(2005). 실과를 중심으로 한 교과간 교육과정 중복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8(3), 115-142.
10 전세경(2010). 학교식생활교육의 교육적 의의와 효율적 추진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1), 117-135.
11 진정희, 이강자, 이윤희(2002). 영양교육이 편식 아동의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인천지역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2(1), 7-14.   과학기술학회마을
12 전세경, 이윤정, 정경아(2010).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과학/실과]교과군 도입 및 설정의 준거에 관한 타당성 분석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2), 399-428.
13 정원석(2007). 초등학교 교과서에 반영된 식생활 내용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지선미(2002). 초등학생을 위한 영양교육 웹 컨텐츠 개발 및 평가.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한국실과교육학회(2009). 식생활교육 사업추진계획. 한국식생활교육포럼 창립대회 발표집. 5-20
16 김자영, 조병은(2008).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교과서의 가족관련 단원 내용 비교분석 : 구조기능론과 건강가정 관점에서. 대한가정학회지, 46(2), 137-153.   과학기술학회마을
17 노진영, 변우열, 이병기(2008).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155-175.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8 김정원(2005). 생활과학으로서의 초등 식생활교육내용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8(1), 129-144.
19 김정현(2009). 교과 수업을 활용한 어린이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년 동계학술대회자료집. 75-98.
20 김정현(2010). 가정과교육에서의 학교 식생활교육 방향 모색. 한국가정교육학회지, 22(3), 1-15.
21 우태정(2006). 초등학교 고학년의 활동중심 영양교육교재 및 교사용 지침서 개발과 교재를 활용한 교육효과 분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지영, 이심열(2004). 영양교육 실시교와 미실시교 초등학생들의 영양지식.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4(6), 561-570.   과학기술학회마을
23 김무환, 이경애(2003). 학교급식이 초등학생의 식생활에 미친 영양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인식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4), 636-64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24 이영덕(1982). 교과서 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9-30.
25 김영화, 장미라(2007). 초등학생의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위한 교과서분석 및 식습관 조사연구.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13(4), 379-388.
26 김영희(2000). 초등 실과 교과 중 영양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3(2), 159-176.
27 김유정(2005). 초등 식생활교육을 위한 교사양성 교육과정 비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8(2), 195-203.
28 김이수, 나영아(2005). 서울 지역 초등학교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식행동 양상 연구. 한국조리학회지, 11(4), 7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