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adaptation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6초

영상콘텐츠에서 테마공간으로의 전환 양상:각색을 통한 재현을 중심으로 (Conversional Aspect of The Theme Space Based on Visual Image Content:A Focus on Representation through Adaptation)

  • 신동희;김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6-197
    • /
    • 2012
  • 본 논문은 영상콘텐츠에서 공간콘텐츠로의 전환의 핵심을 각색(adaptation)에 두고, 테마공간의 원형콘텐츠인 영상콘텐츠가 어떻게 각색되어 공간으로 재현되어야 하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토리텔링에 대한 연구는 무수히 많이 쏟아져 나오고 있고, 소설의 영화화나 TV드라마화, 영화의 게임화나 그 반대와 관련한 각색 연구는 많지만 영상콘텐츠에서 테마공간으로 전환 시의 각색의 방법과 스토리텔링의 전단계라는 측면에서의 각색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우선 각색의 정의를 내리고, 자네티와 더들리의 각색방법을 차용하여 영상콘텐츠의 테마공간화에 적용해 보았다. 이어서 테마공간의 특징을 살펴본 후 테마공간은 결국 영상콘텐츠의 이야기 이미지 행위의 재현 장소임을 사례분석과 함께 밝히고, 각각 어떤 각색을 통해 재현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간의 스토리텔링보다 각색이 선행작업이어야 하고, 3인칭 시점의 영상콘텐츠와는 달리 1인칭 시점의 테마공간 재현의 핵심은 관람이 아닌 체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콘텐츠에서 테마공간의 전환은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로 재창조되었음을 밝혔다. 향후 다양한 테마공간의 구체적인 각론적 층위에서의 분석을 통해 양자간의 전환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다양한 각색 방법이 실질적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적응화된 콘텐츠 제공을 위한 프로파일 관리 기술 (Management Technology of Profiles for Providing Adapted Contents to an User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 김경식;이재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3권6호
    • /
    • pp.343-35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에게 적응화된 콘텐츠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법들을 제안한다. 프로파일들은 사용자에게 적응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관련 정보들로 구성되며 사용자 디바이스, 프로파일 저장소, 콘텐츠 적응화 서버, 콘텐츠 저장 서버간에 주기적 비주기적 또는 이벤트에 따라 교환이 가능해야 한다. 또한 프로파일들은 적응화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해 프로파일을 필요로 하는 콘텐츠 제공 업체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파일 관리 기술을 제안하고, 이를 지원하는 프로파일 관리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제안된 프로파일 관리 프레임워크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구성하였으며 다양한 디바이스와 플랫폼에 관계없이 프로파일 교환 및 제공을 위해 웹 서비스를 사용하였다. 또한 프로파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메타데이타 구성 방법, 동적 구성 방법, 가중치를 이용한 제공 방법 등을 프레임워크에 적용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프로파일 관리 기술에 제안된 기법들이 프로파일 처리에 효율적임을 나타내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Adaptation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Families Adolescents)

  • 박병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71-3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 적응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과제와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지 논문 총 94편을 선정하여 연구현황, 연구방법,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내용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1편을 시작으로 논문이 꾸준히 나타나고 있으며, 2018년 이후 급증하였다. 학술지별 논문수를 살펴본 결과 총 50개로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술지 분야별로 볼 때 사회과학 분야에서 37개(74%)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의 분석결과 전체 연구 중 조사연구가 68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양적연구 분석방법이 전체 74%를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직접 연구한 경우가 75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19편은 부모나 교사(실무자) 또는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다른 대상을 함께 연구하였다. 넷째, 연구내용에서는 적응의 유형 중 학교적응특성이 52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사회문화적응특성(37편)이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연구방향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adaptation duration on the digestible and metabolizable energy contents and digestibility of various chemical constituents in wheat for finishing pigs determined by the direct or indirect method

  • Fan, Yuanfang;Guo, Panpan;Yang, Yuyuan;Xia, Tian;Liu, Ling;Ma, Yongx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4호
    • /
    • pp.554-561
    • /
    • 2017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s a $3{\times}2{\times}2$ factorial design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mean particle size of 331, 640, or $862{\mu}m$), evaluation method (direct vs indirect method) and adaptation duration (7 or 26 days) on the energy content an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various chemical components in wheat when fed to finishing pigs. Methods: Forty-two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63.0{\pm}0.8kg$ were individually placed in metabolic cages and randomly allotted to 1 of 7 diets with 6 pigs fed each diet. For the indirect method, the pigs were fed either a corn-soybean meal based basal diet or diets in which 38.94% of the basal diet was substituted by wheat of the different particle sizes. In the direct method, the diets contained 97.34% wheat with the different particle sizes. For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methods, the pigs were adapted to their diets for either 7 or 26 days. Results: A reduction in particle size linearly increased the digestible energy (DE) and metabolizable energy (ME) contents as well as the ATTD of gross energy, crude protein, organic matter, ether extract (EE)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p<0.05), and had a trend to increase the ATTD of dry matter of wheat (p = 0.084). The DE, ME contents, and ATTD of gross energy, crude protein,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were higher (p<0.05) when determined by the direct method, but the ATTD of ADF, EE, and neutral detergent fiber were higher when determined by the indirect method (p<0.05). Prolongation of the adaption duration decreased the ATTD of neutral detergent fiber (p<0.05) and had a trend to increase the ATTD of EE (p = 0.061). There were no interactions between particle size and the duration of the adaptation duration. The ATTD of EE in wheat was influenced by a trend of interaction between method and adaptation duration (p = 0.074). The ATTD of ADF and EE in wheat was influenced by an interaction between evaluation method and wheat particle size such that there were linear equations (p<0.01) about ATTD of ADF and EE when determined by the direct method but quadratic equations (p = 0.073 and p = 0.088, respectively) about ATTD of ADF and EE when determined by the indirect method. Conclusion: Decreasing particle size can improve the DE and ME contents of wheat; both of the direct and indirect methods of evaluation are suitable for evaluating the DE and ME contents of wheat with different particle sizes; and an adaptation duration of 7 d is sufficient to evaluate DE and ME contents of wheat in finishing pigs.

시각적 편안함을 위한 입체적 삼차원 영상 편집 방법 (Stereoscopic 3D Video Editing Method for Visual Comfort)

  • 김정언;강행봉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06-716
    • /
    • 2016
  • Each year, significant amounts of Stereoscopic 3D(S3D) content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viewers who enjoy the contents readily experience a sense of fatigue on account of various factors. Consequently, many improvem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domain of disparity by, for example, simply controlling the disparity or optimizing the reaction speed of viewers' eyes to vergence. However, such studies are limited to the disparity domain and therefore are restricted to a limited number of application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transcend this limitation and analyzed how a reconstruction in color and brightness, as well as disparity and other important features, affects eyes in terms of vergence adapt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color similarity is, the better it positively affects vergence adaptation during viewing. Based on this analysis, we propose in this paper a similar color extraction method between takes that are applicable to real-life situations. In an evaluation, the algorithm was applied to publicly available S3D contents and produced a converted color optimized image. The vergence adaptation time of this applied conte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lso it was minimized through color reconstruction, thereby, being resulted in enhancing viewer concentration.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콘텐츠 적응화 (Contents Adapta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s)

  • 신영옥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33-141
    • /
    • 2010
  • 콘텐츠 적응화란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기술이다. 특히,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매체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에서는 매체 간의 동기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어떤 일정시간(interval time) 동안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매체간의 시간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시간지원 집계 트리 전략(TATS : Temporal Aggregate Tree Strategy)"모델을 제안한다. TATS 모델은 미디어들의 실행시간을 시작시간을 기준으로 부모노드가 자식노드의 간격시간을 포함하는 이진트리 형태인 집계트리를 만들어 집계 계산에 이용한다. 집계트리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객체 간의 시간 동기화를 구현하였다.

액티브 네트워크 메커니즘을 이용한 이동 컨텐츠 적응형 네트워크 (Mobile Contents Adaptation Network using Active Network Mechanisms)

  • 김기조;이준호;임경식;오승희;남택용;손승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4호
    • /
    • pp.384-392
    • /
    • 2004
  • 이동 단말의 짧은 개발 주기에 따라 장치 및 적용 표준이 다양화됨으로써, 무선 컨텐츠 제공자가 효과적인 컨텐츠 서비스를 체공하는데 많은 장애 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공용의 원본 컨텐츠를 이동 단말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동적으로 단말에 최적화시킬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이 이상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동적으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설치하기 위한 기술인 액티브 네트워크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무선 컨텐츠 적응형 네트워크(Mobile Contents Adaptation Network : MobiCAN)를 제안한다. MobiCAN은 액티브 네트워크 메커니즘을 적용한 오버레이 네트워크 기술이며, MobiCAN 노드와 이를 관리하기 위한 오버레이 관리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MobiCAN 노드는 효과적인 서비스 설치, 실행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제공하고, 서비스 개발이 용이하도록 서비스 계층화 및 커스트마이즈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마이크로 서비스는 노드의 기본적인 동작 단위이며 서비스 계층화 기능과 규격화된 인터페이스 함수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하여 OMPs를 제안한다. 이 프로토콜은 노드 정보 동기화를 위한 NISP, 오버레이 정보 질의를 위한 NIQP 및 노드 설정 및 오버레이 관리를 위한 NCMP로 구성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MobiCAN의 실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현된 동적 컨텐츠 최적화 프록시(Dynamic Contents Customization proxy : DCCP) 서비스에 대하여 소개한다.

일반국민 및 이해관계자의 기후변화 적응 인식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Stakeholder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 정윤지;하종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9-166
    • /
    • 2015
  • The way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s divided into mitigation and adaptation. So far, the response of climate change has been focused on mitigation. The perception of response of climate change also has been focused on mitigation. However,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should be highlighted in a comparable concept as a response to climate change. On the other hand, perception of the public on climate change affects the support or opposition of the general public about climate change-related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and stakeholders on the subjec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to present a basis for a future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Questionnaire on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were composed of the climate change and climate change response (mitigation, adaptation)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related adverse climate event, the need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and the level of government effort for climate change response. Climate change adaptation-related awareness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general public 1,011 people and stakeholders 101 people by telephone interviews.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survey has a difference in aspect of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And We were able to present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public and stakeholders aware of the subjec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First, the relativ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level of awareness about climate change response of the publi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takeholders. Finally, the need to prepa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toral level, the first adaptation measures was relatively low.

스마트 학습 환경에서 웹 콘텐츠 적응을 위한 부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gmentation for Adaptation of Web Conten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 서진호;김명희;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25-333
    • /
    • 2016
  •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has brought the conversion of closed traditional e-learning contents into open flexible smart learning contents consisting of learner-centered modules,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by use of smart devices from the uniformed and passive classroom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t has been demanded an open, personalized and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according to wide supply of various smart devices.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the status of the smart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web contents for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by use of smart devices. And we propose a method how to block web contents, to extract them, and adapt personalized segments of web contents by adaptive algorithm into smart learning devices. We extract blocks from the web contents based on the smart device information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learners from existing web contents without the hassle of learners environment. After specifying a block priority from the extracted web contents by the adaptive segment algorithm, it can be displayed directly to the screen to fit the individual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ers.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콘텐츠 적응화를 위한 CC/PP 기반의 유비쿼터스 프로파일 및 운영 아키텍쳐 설계 (A Design of Management Architecture and Ubiquitous Profile Based on CC/PP for Content Adaptation in Ubiquitous Environment)

  • 김경식;이재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4호
    • /
    • pp.491-50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콘텐츠 적응화를 위한 CC/PP 기반의 유비쿼터스 프로파일 및 운영 아키텍쳐를 설계한다. 유비쿼터스 프로파일의 컴포넌트와 속성들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콘텐츠 적응화 서비스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정의하였다. 유비쿼터스 프로파일 설계 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RDF, RDF Schema, CC/PP Structure, 표준 어휘 등의 기법들을 적용하였다. 또한, 유비쿼터스 프로파일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게이트웨이 중심의 운영 방법, 저장소를 이용한 메타데이터 구성 방법, 동적 구성 방법 등의 아이디어들을 기반으로 운영 아키텍쳐를 제안하고 설계하였다. 제안한 운영 아키텍쳐에 대한 성능 평가 결과 기존의 프로파일 운영 방법 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제안된 유비쿼터스 프로파일 및 운영 아키텍쳐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적응화된 콘텐츠를 서비스를 위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