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adaptation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6초

An Indirect Decoupled Adaptive Fuzzy Sliding-Mode Control through width adaptation

  • Kim, Dowoo;Yang, Haiwon;Han, Hongsuc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62.4-62
    • /
    • 2002
  • $\textbullet$ Contents 1. Introduction $\textbullet$ Contents 2. System Description $\textbullet$ Contents 3. Decoupled Sliding Mde Control $\textbullet$ Contents 4. Decoupled Adaptive Fuzzy Sliding Mode Control through width adaptation $\textbullet$ Contents 5. Simulation Result $\textbullet$ Contents 6. Conclusion

  • PDF

3D 그래픽 콘텐츠의 적응적 서비스를 위한 미들웨어에서의 서비스 렌더링 연구 (Service Rendering Study for Adaptive Service of 3D Graphics Contents in Middleware)

  • 김학란;박화진;윤용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5호
    • /
    • pp.279-286
    • /
    • 2007
  • 3D 그래픽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콘텐츠 적응에 대한 요구는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3D 그래픽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고성능의 처리 능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데스크탑이나 랩탑, PDA, 휴대폰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서 변화된 환경에 서비스를 적응시키기 위해서는 좀 더 정교한 방법으로 그래픽 콘텐츠를 처리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중심에 맞춘 그래픽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 렌더링 알고리즘 기반의 적응적 서비스 미들웨어를 제안한다. 서비스 적응 미들웨어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두 가지 모듈로 구성되는데, 사용자의 변화된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Service Adaptation(SA) 모듈과 사용자의 환경에 적합한 구성요소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Service Rendering(SR) 모듈이다. 서비스 적응 미들웨어를 통한 적응 서비스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환경이 변화되었을 경우 동일한 그래픽 콘텐츠를 유연하고 다이나믹하게 제공할 수 있다.

객체 기반 MPEG-4 재생 기술의 PDA 적응 기법 (Adaptation Techniques of an Object-based MPEG-4 Player to PDA)

  • 김남영;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3권2호
    • /
    • pp.220-230
    • /
    • 2006
  • 컴퓨팅 기술과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전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이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PDA에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비디오, 오디오로 이루어진 콘텐츠로 제한되어 있다. MPEG-4는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텍스트, 2차원 객체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저장, 전송 및 표현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다양한 사용자 상호 작용과 여러 종류의 객체들로 장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MPEG-4 콘텐츠는 대부분 데스크 탑 용으로 저작되었기 때문에 PDA 환경에서 제한된 메모리, GUI 등에서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 기반의 MPEG-4 표준을 이용하여 제한된 리소스를 가진 PDA 환경에서 다수의 객체로 장면을 구성하고 사용자 상호 작용이 가능한 MPEG-4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PDA 적응 기법에 관하여 기술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크게 3가지로 물리적 적응 기법, 리소스 적응 기법, 이벤트 적응 기법으로 나누어진다. 물리적 적응은 재생기 프리젠터에서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콘텐츠 저작 환경과 재생 환경의 물리적 차이에 대한 적응 기법이고, 이벤트 적응은 PDA에서 지원하지 않는 이벤트에 대하여 PDA에 적합하게 변형하는 부분이다. 또한 리소스 적응은 제한적인 리소스를 제공하는 PDA에서 MPEG-4 콘텐츠 재생률을 높이기 위한 기법이다. PDA에서의 MPEG-4 재생기는 제안하는 PDA 적응 기법을 이용하여 객체 기반의 MPEG-4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Fast speaker adaptation using extended diagonal linear transformation for deep neural networks

  • Kim, Donghyun;Kim, Sanghun
    • ETRI Journal
    • /
    • 제41권1호
    • /
    • pp.109-116
    • /
    • 2019
  • This paper explores new techniques that are based on a hidden-layer linear transformation for fast speaker adaptation used in deep neural networks (DNNs). Conventional methods using affine transformations are ineffective because they requir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arameters to perform. Meanwhile, methods that employ singular-value decomposition (SVD) are utilized because they are effective at reducing adaptive parameters. However, a matrix decomposition is computationally expensive when using online services. We propose the use of an extended diagonal linear transformation method to minimize adaptation parameters without SV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level for tasks that require smaller degrees of adaptation. In Korean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LVCSR) tasks, the proposed method shows significant improvements with error-reduction rates of 8.4% and 17.1% in five and 50 conversational sentence adaptations,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adaptation methods using SVD, there is an increased recognition performance with fewer parameters.

Presentation Priority and Modality Conversion in MPEG-21 DIA

  • Thang, Truong Cong;Ro, Yong Man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339-350
    • /
    • 2003
  • The Part 7 of MPEG-21, called Digital Item Adaptation, aims at an interoperable transparent access of multimedia contents in heterogeneous environments. This standard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Multimedia Access (UMA) systems, which adapt the rich multimedia contents to provide user the best possible presentation under the constraints of various terminals and network connections. Content adaptation has two major aspects: one is modality conversion that converts content from one modality (e.g. video) to different modalities (e.g. image) the other is content scaling that changes the titrates (or qualities) of the contents without converting their modalities. At the output of adaptation process, the highly-subjective qualities of adapted contents nay vary widely with respect to point-of-views of different providers and different users. So, user should have some control on the adaptation process. In this paper, we describe two description tools of user characteristics, the presentation priority preference and the modality conversion preference, which allow user to have flexible choices on the qualities and modalities of output contents. We also present a systematic approach to integrate these user preferences into the adaptation process. These description tools are developed in the process of MPEG-21 standardization.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이용한 환경적응형 미디어 시스템 (Media Adaptation System for Contents Service Environments Using Scalable Video Coding)

  • 배성준;정순흥;강정원;유정주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175-181
    • /
    • 2008
  • This paper describes the SVC-based media adaptation system which can adapt video contents optimally to various consumption environments in an IP-based transmission scenario. As key technologies, we will present scalable video coding, SVC-based adaptive media transmission, and SVC-based adaptation signaling technology.

  • PDF

이중첩자 모티프 영상서사의 다성성(polyphony)적 변형 연구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를 중심으로 (Polyphonic Adaptation of Double Spy Motif in Visual Contents -Focusing on the Novel and Movie <Tinker, Tailor, Soldier, Spy>)

  • 이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9-39
    • /
    • 2012
  • 본 연구는 소설과 영화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2011) 사이의 변형이 일반적인 첩보영화의 각색에서 보여주는 사건 중심의 변형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미하일 바흐찐이 말했던 다성성(polyphony)은 이 소설이 영상서사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서사의 주요 모티프가 된 이중첩자의 성격과 정체성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드러난다. 다중 발화자에 의한 대화적 사건 서술 및 인물 묘사, 동일 장소의 반복 등은 기존과 다른 새로운 변형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문에서는 소설과 영화 <팅커, 테일러, 솔저, 스파이> 사이에 일어난 변형의 과정을 서사적 요소의 양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다성성적 변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향후 소설과 영상서사의 변형과 정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투지 및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Self-leadership)

  • 주지향;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40-25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 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투지와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군 제대 후 복학한 남자 대학생 23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5세(SD=1.7)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영생활적응과 투지, 셀프리더십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병영생활적응은 투지와 셀프리더십 및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병영생활적응이 대학생들의 투지와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개인의 성장이 복학 후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영생활과 대학생활에 대한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콘텐츠 적응화 시스템에 SOP(Shared Object Page)를 도입한 개선된 캐싱 기법 (An Enhancing Caching Technique by the SOP(Shared Object Page) for Content Adaptation Systems)

  • 장서영;정호영;강수용;차재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41-50
    • /
    • 2007
  • 오늘날 우리는 인터넷에 연결된 PC뿐만 아니라, 이동형 기기인 휴대전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PDA, 노트북, 그리고 D-TV 등을 통해서도 웹서버에 접근하여 콘텐츠 형태의 정보를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각의 적응화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며, 이를 다양한 기기를 지닌 사용자에게 활용하기 위해 페이지 정보를 지니는 메타 데이터를 적용하는 웹 캐싱 기법(SOP)를 제안한다.

  • PDF

MPEG-21 및 H.264/AVC SVC 기반 동적 비디오 적응 방법 (Dynamic and Interoperable Adaptation of SVC for QoS-Enabled Streaming)

  • 최해철;김재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0-19
    • /
    • 2012
  • 근래의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디오를 안정되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특성, 단말기 성능, 사용자 선호도 등의 소비 환경을 고려한 비디오 적응 방법이 요구되며, 비디오 부호화에서의 스케일러빌러티는 그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좋은 해결책이다. 본 논문에서는 H.264/AVC SVC 스트림을 MPEG-21 디지털 아이템 적응(Digital Item Adaptation, DIA) 도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환경, 단말의 성능,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동적(dynamic)으로 비디오 콘텐츠를 적응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이종망 네트워크 환경을 모델링하여 대역폭이 최대 62%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제안한 방법으로 지연이 거의 없이 실시간으로 비트율을 적응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