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 Authoring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6초

온톨로지 기반의 교육 콘텐츠 제작 기법 (An Authoring Strategy for Cyber Learning Contents-based on Ontology)

  • 정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9-37
    • /
    • 2005
  • 현재 많은 수의 원격대학들이 사이버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교육용 콘텐츠의 형식과 질에 있어서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표준적인 콘텐츠 개발 전략의 부재로 인하여 교수자마다 서로 다른 형식과 내용 구성의 콘텐츠를 작성하고 있으며 콘텐츠들 사이의 연관성의 부족으로 인하여 콘텐츠의 재사용이 어렵고 내용적으로 보완관계에 있는 유용한 콘텐츠가 있음에도 학습자가 이를 활용하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준화, 재사용, 연관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온톨로지와 SCORM 기반의 고급 교육 콘텐츠 개발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실제 원격대학의 교육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제안하는 기법이 효과적임을 보이고 있다.

  • PDF

MPEG-4 기반 대화형 복수시점 영상콘텐츠 저작 시스템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 이인재;기명석;김욱중;김규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209-212
    • /
    • 2005
  • This paper introduces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MPEG-4. The MPEG-4 standard, which aims to provide an object based audiovisual coding tool, has been developed to address the emerging needs from communications, interactive broadcasting as well as from mixed service models resulting from technological convergence. Due to the feature of object based coding, it has been considered that MPEG-4 is the most suitable for interactive broadcasting content production. This feature is suitable for creation of the content which provides multiple views of object or scene in interactive manner. In this paper, we categorize the multi-view visual content into two types: panoramic multi-view content and object multi-view content. An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authoring system for interactive multi-view contents is presented. We believe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used for further deployment of MPEG-4 content to various interactive applications.

  • PDF

모바일 기기 환경의 인터렉티브 모션 기반 콘텐츠 개발 도구와 DEVS 모델링 (DEVS Modeling for Interactive Motion-based Mobile Contents Authoring Tool)

  • 주승환;최요한;임용수;서희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21-129
    • /
    • 2015
  • Interactive media is a method of communication in which the output from the media comes from the input of the users. The interactive media lets the user go back with the media. Interactive media works with the user's participation. The media still has the same purpose but the user's input adds the interaction and brings interesting features to the system for a better enjoyment. We need a digital content using a dynamic motion and gesture of the mobile device. We made an authoring tool for content producers to easily create interactive content. We have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action by using a touch screen and a gravity sensor of the mobile device. This interaction may lead to allow the user to participate in the content, it can be used as a key device to assist in engagement. Furthermore, our authoring tool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publishing content.

3D 게임 제작을 지원하는 저작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uthoring Tool for Producing 3D Games)

  • 이헌주;김현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464-1477
    • /
    • 2004
  • 최근 3D 게임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저작도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3D게임 제작용 저작도구를 소개한다. 개발된 저작도구는 맵 에디터, 사운드 에디터, 데이터 추출기 및 프리퓨어, 특수효과 에디터로 구성되어진다. 게임 디자이너는 본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게임 맵, 사운드 및 특수효과 등과 같은 게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실험용 컨텐츠를 만들어 저작도구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HTML5 기반의 E-Training 콘텐츠 저작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E-Training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HTML5)

  • 김유두;문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509-1514
    • /
    • 2013
  • 기존의 원격 교육 시스템에서는 콘텐츠 제공자에 의한 콘텐츠 수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하지만 현재 자동차 산업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감성 충족을 위해 매우 빠른 주기로 모델이 변경되어지고 있어, 그에 맞는 정비 교육이 실시간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자에 의해 콘텐츠가 실시간으로 수정되어 반영되는 자동차 정비 이 트레이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특히 HTML5 기반의 웹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콘텐츠 제공자가 쉽고 빠르게 콘텐츠를 수정하고 반영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시스템으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작이 능한 장점이 있다.

GeoMaTree : Geometric and Mathematical Model Based Digital Tree Authoring System

  • Jung, Seowon;Kim, Daeyeoul;Kim, Jinm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7호
    • /
    • pp.3284-3306
    • /
    • 2018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develop an authoring system(GeoMaTree) for diverse trees that constitute a virtual landscape. The GeoMaTree system enables the simple, intuitive production of an efficient structure, and supports real-time processing. The core of the proposed system is a procedural modeling based on a mathematical model and an application that supports digital content creation on diverse platforms. The procedural modeling allows users to control the complex pattern of branch propagation through an intuitive process. The application is a multi-resolution 3D model that supports appropriate optimization for a tree structure. The application and a compatible function, with commercial tools for supporting the creation of realistic synthetic images and virtual landscapes, are implemented, and the proposed system is applied to a variety of 3D image content.

대화식 증강현실 저작 도구 (Interactive Augmented-Reality Authoring Tool)

  • 김일진;서진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1-184
    • /
    • 2009
  •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공학, 가상현실, 증강현실, 3차원 그래픽스, 컴퓨터 시각과 같은 여러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문적인 엔지니어가 아닌 콘텐츠 작가나 일반인도 쉽고 빠르게 증강현실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도구의 형태를 제안하고 있다. 목표로 하는 저작도구가 갖추어야 할 기술적인 요구사항인 "쉽고 빠른 저작", "풍부한 표현력", "검증 및 확인의 용이성", "대화식 저작 및 디버깅" 등을 만족시키기 위해, 정형적이고 시각적인 명세기법을 활용하고 스크립트 언어 인터프리터를 내장한 대화식 프레임워크 기반의 저작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XML을 이용한 디지털 건축문화유산 콘텐츠 저작 도구 (An Digital Architectural Heritage Content Authoring Tool Using XML)

  • 이종욱;이지형;이지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40-43
    • /
    • 2016
  • 전문적인 건축 정보가 제공되는 건축문화유산 콘텐츠를 위해서는 콘텐츠에서의 디지털 문화유산은 실재 문화유산의 구조 및 구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즉, 건축문화유산의 구성 요소인 부재를 기반으로 제작된 디지털 문화유산이 콘텐츠에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XML기반의 건축문화유산 정보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콘텐츠 저작도구 및 체험 콘텐츠를 소개한다.

  • PDF

A Multi-Modal Complex Motion Authoring Tool for Creating Robot Contents

  • Seok, Kwang-Ho;Kim, Yoon-Sa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924-932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multi-modal complex motion authoring tool for creating robot contents. The proposed tool is user-friendly and allows general users without much knowledge about robots, including children, women and the elderly, to easily edit and modify robot contents. Furthermore, the tool uses multi-modal data including graphic motion, voice and music to simulate user-created robot contents in the 3D virtual environment. This allows the user to not only view the authoring process in real time but also transmit the final authored contents to control the robo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tool was examined based on simulations using the authored multi-modal complex motion robot contents as well as experiments of actual robot motions.

템플릿 기반 게임형 학습콘텐츠 저작 도구의 구현 및 적용 (Developing & Applying a Template-based Game-type Learning Contents Authoring Tool)

  • 김혜선;김철민;김성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1-53
    • /
    • 2007
  • 최근 학습에 게임을 접목하는 에듀테인먼트를 이용하여 학습에 대한 몰입감과 학습 성취를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교수자의 관점에서 각 교수자에게 적합한 맞춤식 게임형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 기술적인 어려움의 해결과 제작 시간을 단축하려는 시도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제작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교수자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맞춤 형태로 게임형 학습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도구를 제안한다. 제안 도구는 템플릿 개념을 적용하여 맞춤식 게임형 학습 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체적인 틀을 제공함으로써 제작의 어려움을 숨기고 제작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개발 도구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학생들과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평가하였다. 적용해 본 결과 교수자들은 맞춤식 게임형 학습 콘텐츠를 게임적인 요소의 구축을 위한 기술적인 어려움을 느끼지 않고 짧은 시간 내에 제작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학업 성취도, 몰입도 등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