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mporary ceramics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이천 도자기 산업의 이원적 공간 형성 및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n the Formation of Dualistic Space and Networks of the Ceramic Industry in Icheon, Korea)

  • 주기완;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6-572
    • /
    • 2015
  • 이천 도자기 산업공간은 전통도자기를 재현 및 계승하는 전승도예 공간과 대학 도자공예 교육에 기반을 둔 현대도예 공간이 혼재되어 나타나 이원적 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천 도자기 산업의 발달경로와 네트워크 실태 분석을 통해 전승도예와 현대도예의 이원적 공간구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이천 도자기 산업공간은 점차 전승도예 공간에서 전승-현대도예의 이원적 공간으로 이행하고 있으며, 전승도예의 발달경로는 점차 쇠퇴하는 한편, 기존의 전승도예 발달경로를 기반으로 새로운 현대도예 발달경로가 창출되어 점차 이천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둘째, 전승도예와 현대도예는 기업 간 관계와 기업 외 관계 측면에서 상이한 양상을 띤다. 셋째, 정부는 대학교와 이천 도자기 업체(주로 전승도예 업체)간 기술협력 및 공동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정적 행정적 지원 역할과 네트워크 중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PDF

재료의 융합을 통한 현대도예의 창작 가능성 실험연구 -페이퍼클레이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Contemporary Ceramics Creation through the Convergence of Materials -Focusing on Paperclay-)

  • 임연준;박중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303-312
    • /
    • 2021
  • 재료의 융합을 통한 현대도예의 창작 가능성 실험연구, 현대 사회에서는 융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의 창출이 새로운 흐름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대 도예가들 또한 다양한 재료와 타 매체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예술개념의 확장을 시도하는 추세이다. 공예의 다양한 요소 중에서 재료는 필수 요소이자 가장 근간이 되는 표현요소이기에, 다양한 융합의 관점 가운데 재료 간의 융합에 대한 의의를 탐구하고자 한다. 또한 그중 가장 변형의 가능성이 높은 흙과 종이의 결합인 페이퍼클레이에 주목하여 직접적인 실험을 통해 재료와 작품제작 과정에서 창작 가능성을 탐구한다. 2장에서는 융합과 재료에 대한 개념과 의의를 제시하고 현대 도예에서 활용되고 있는 융합의 경향과 재료표현의 작품사례를 소개한다. 3장과 4장에선 앞선 분석의 구조 기반으로 페이퍼클레이 제작 및 시현을 통해 특성과 가능성을 살펴본다. 결과적으로 재료 간의 결합과 같은 융합 현상을 통해 현대도예가 추구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발전을 위한 잠재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퍼포먼스와 융합을 통한 현대 도예의 수행적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tive Case of Contemporary Ceramics through Convergence with Performance)

  • 정용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27-232
    • /
    • 2022
  • 본 논문은 다원화하고 있는 현대 도예에 분야에서 퍼포펀스와 융합한 작품들에 주목하며 도예 퍼포먼스 작품이 담고 있는 수행적 표현과 의미를 연구 및 분석하였다. 이에 미켈 바르셀로, 요제프 나즈, 이강효, 테리 프레임, 제이제이 맥크라켄의 도예 퍼포먼스 작품들을 분석한 후 퍼포먼스의 수행성과 효과에 대하여 알아본다. 연구 결과 도예 퍼포먼스는 점토를 이용한 신체적 행위를 통해 일반적인 도예 작품에서 보여주는 표현 형식과 제작과정을 넘어서는 확장성을 보여준다. 또한 행위자의 실시간 공연으로 사건을 만들어가는 과정적 체현으로 작가와 관객이 서로 관계하는 열린 구조를 통해 기존과 다른 방식의 해석과 이해를 할 수 있게 하였다. 타 매체와의 융합적 시도는 현대 도예에서 탈경계성을 함의하며 새로운 영역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것으로 공예적 특성이 강한 도예 분야의 관념적 틀을 깨는 긍정적 영향을 기대한다.

아르누보 도자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ft Nouveau Ceramics)

  • 유미자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101-110
    • /
    • 2000
  • 세계의 역사적인 문화재를 살펴보면 도자기가 차지하는 부분이 매우 광범위하다. 오랜 세월이 지나는 동안 도자는 많은변화와 발전을 가져왔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필수품을 초월하여 예술의 한 분야로서 인간생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19세기 전후에 등장한 아르누보 스타일은 도자공예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으며 현대에 와서도 복사되어 생산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의 table ware Design에 응용되어 개인의 고상한 개성을 잘 나타내어 주고 있으며 풍요로운 식탁으로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르누보 도자기의 가능성 즉, 조형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조형미를 표출시키는 동시에 현대 도자 디자인의 창의력 표현영역을 확대함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인은 문헌조사와 자료분석을 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제작된 대표적인 아르누보 도자기를 1895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순으로 나열하였다.

  • PDF

현대 도예의 전사기법을 활용한 융복합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Expression Using Transfer Printing Techniques in Contemporary Ceramic Art)

  • 박경주;최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333-338
    • /
    • 2017
  • 현대 도자예술은 다양한 표현기법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현대사회의 디지털화로 인하여 전사기법이 발전하게 되었고 전사기법은 현대도예의 표현매체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사기법은 단순히 획일적이며 대량생산을 위한 현장에서의 적극적 활용에 비해 소공예 작가들이 전사기법을 활용해 그들의 작품에 응용할 예술적, 이론적인 충분한 정보를 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사기법의 의미를 이해하고 작가의 개성과 예술성을 전사기법으로 표현한 현대 도예작가들의 작품을 고찰해 봄으로써 전사기법이 현대도예의 표현 매체로 도자공예의 미적 예술적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좀 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한·중·일 현대도자기디자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sign of Contemporary Ceramics in Korea, China and Japan)

  • 영현월;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3-434
    • /
    • 2017
  • 한 중 일(韓中日)은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한다. 오랜기간 삼국 사이에 문화는 상호 영향을 주고 받았으며 그 중 도자기는 한 중 일 교류의 중요한 역사이다. 자기 제조는 중국에서 고대 조선으로 전해져 들어간 후에 또 조선 및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져 들어갔다. 그리고 각 나라마다 자기예술은 각각의 특성에 맞게 발전하였다. 한국, 중국, 일본 도자기의 역사, 형태, 재질, 도안 등 비교 연구를 통하며 현대에 이르러 뚜렸한 특징과 차이점이 아직도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점차 디자인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복식사 연구방법에 관한 소고(I) (A Study on the Research Methods in History of Costume)

  • 신상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45
    • /
    • 1980
  • We must identify the forms of dress devised throughout ages, when we wtudy, interpret and analyze the numerous resource material of costume. The study which depends on reference to actual artifacts is necessarily limited. Whereas items of contemporary dress are readily available, much from earlier eras has been destroyed or has deteriorated through time. Such as cottons, linens, silks, wools, leathers and furs are perishable organic materials. Few garments dated earlier than seventeenth century has survived except armor, jewelry. We have many sources of the information are available to study on costume of earlier eras. These sources are wall paintings, sculptures, painting, monumental brasses, manuscript illustration ceramics, coins, medals, mosaics, archives, literature. Wall painting and frescoes provided an useful source for costume study. Many wall paintings and frescoes were destroyed, were changed in color. It si advisable to interpret the dress detail, form color carefully. Sculpture would be useful to see the back and side views of dres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ints which should be made abut the use of sculpture as a source for costume study in early periods is that the sculptor's style will often change the character of a costume. As the painting si two-dimensional evidence for a three-dimensional costume, paintings must be accurately studied. What we must do, as far as we can, is to look at all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light of other contemporary evidence in order to interpret the information correctly.

  • PDF

전통사찰문화를 기반으로 한 문화상품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Traditional Temple Culture)

  • 김선영;최영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63-370
    • /
    • 2012
  • This study is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simultaneously evolved with the contemporary use of traditional temple culture in addition, it analyzed the cultural products available in the Korean market.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research. We targeted the cultural products carried at twelve web-based shopping malls for Buddhist cultural products and six souvenir shops in Korean Buddhist temples to collect data on those products in order to analyze the items, design motives, materials, and price rang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terior items represented the largest portion of the targeted goods, followed by accessories/sundries, clothing/fashion items, stationery, and tableware. The most commonly used design motive was lotuses, followed by the images of Buddha or Buddhist Goddesses and Dharma. The most common materials include fibers, jewelry (such as gold and silver), wood, metals, ceramics, paper, and plastic. The most active price range was between KRW10,000 and KRW50,000, followed by less than KRW10,000 and KRW100,000 to less than KRW500,000. This study discovered the potential for traditional temple culture to advance it further in a contemporary manner and indicated the need to develop a wide variety of cultural products and emphasize its global acceptance.

고고학으로 본 흉노(匈奴)의 발생과 분포 (The Contemporary Researches of the Xiongnu Archaeology)

  • 강인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105-156
    • /
    • 2003
  •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Xiongnu began in the late 19th century by a Russian archaeologist Talko-Grinchevich. The Xiongnu culture has been reported in the northern steppe of China and eastern part of Eurasian steppe. Mainly, Xiongnu sites, dated from the late 2nd century B.C. to the 1st century A.D., are reported on the east side of Baikal Lake(Zabaikal), east Mongolia, and the Inner Mongolia of China.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and the archaeological remains, the North Xiongnu culture is defined to be the remains of Zabaikal, and the South Xiongnu culture the archaeological remains of Nothern China. The expelled North Xiongnu, while fleeing to the western part of Eurasia, left traces of their own archaeological remains in the Southern Kazakhstan, Xinjiang of China, Altai, and finally appeared in the Europe as Huns. The most characteristic archaeological materials of the Xiongnu are bronze plaques and ceramics made by handicraft, and highly developed iron weapons. After the power of the Xiongnu was dissolved in 1st c. A.D., previously subordinated peoples such as Xianbi, Wuhuan, Wusun rised in the Eurasia steppes and opened medieval age in Eurasia. The "northern type" materials found in Korea are dated to the period of Xiongnu or slightly later,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ontemporary Xiongnu. research.

도자공방운영의 활성화 연구 (Activation of the ceramic workshop in Operations Research)

  • 김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07-512
    • /
    • 2014
  • 문화가 공급하는 자와 수요자와의 감정의 공유가 있어야 가능한 것임을 감안해 보더라도 수요자가 그 코드를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다면 문화의 형성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활발한 도자공예 문화의 보급은 교육의 힘으로 가능하다 할 수 있다. 우리의 도자공예문화 역시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고 재정비 필요하다. 시대적 지역적인 도자공예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 및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교육 방법이나 활성화 방안으로 공방 운영에 교육의 중요성을 토대로 도자공방 활성화 방안을 연구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