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Terms

검색결과 917건 처리시간 0.031초

남성복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n's Wear in Korea)

  • 이순홍
    • 복식
    • /
    • 제29권
    • /
    • pp.5-22
    • /
    • 1996
  • the present thesis aims to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men's wear indus-try in Korea which now confronts the need to adjust itself more actively to the conditions of the coming ag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free trade. To achieve this this thesis suggests the trade should provide for the changing domestic needs on theone hand and refine its wares as high value-added products in compe-tition with those from the advanced countries in fashion industry on the other, The history of the 'suit' the standard men's attire dates back to 1850 when the 'Ditto suit' was introduced composed of coat waist coat vest and trousers to remain virtually unchanged till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modern men's wear originated in Britain. In Korea sinc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lothes from 1876 custom-made suits had been dominant until 1944 while western clothes earned popular currency between 1945 and 1964 and ready-made suits began to spread with their advantages recognized in terms of practicality convenience and functionality The next phase from 1965 to 1985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a number of ready-made brands although custom-made suits stayed in their height of prosperity until 1975. The turn-ing point for the men's wear industry came in 1975 when high-calss ready-made brands be-gan to turn up with the arrival of large companies in the market matching the change in consumers' life style. The men's wear market went through further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dur-ing the years between 1985. and 1990. Around the year 1990 however the expansion of the business suit industry came to slow down ac-companied by an oversupplied market. The fashion of pragmatism in the 1990s called for the growth of the casual wear department and as consumers' life style became more and more individualized conscious dressing in accord ance with T.P.O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branch of culture, Such casual boom is likely to aid in promoting Korea's men's wear indus-try to peer with that of advanced countries. Consumers' fashion sense is now ahead of the trade's as well as being shortcycled highly individualized stylized and diversified. To meet consumers' demands under such circum-stances each company is required to develop its unique soft Know How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and strategically specialized plan-ning. The trade should convert its hithero producer-oriented strategy to a new consumer oriented one and actively lead the needs and purchasin g pattern of consumers by providing an efficient and reasonable price policy with optimum supply of merchandise and also by presenting 'our' trend suited to our circum-stances.

  • PDF

직장인의 외식소비 행동에 관한 연구;주5일 근무제 및 주6일 근무제를 기준으로 (A Study in Food Service Consumption Behavior of Company Workers)

  • 장동민;전인호;김종열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4호
    • /
    • pp.135-151
    • /
    • 2007
  • 본 연구는 주5일 근무제와 주6일 근무제를 분리하여 직장인을 상대로 외식 선호일에 대한 설문을 구하고 설문의 결과를 토대로 소득수준과 외식 선호일, 가족구성과 외식 선호일을 가족과의 외식과 친구들과의 오식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범주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 분포되어 있는가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주5일 근무제 및 주6일 근무제 모두, 가족 및 친구와 외식 시 소득수준을 기준으로 내용을 살펴보면, 소득수준의 차이 불문하고 모두 주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비율에서는 가족과의 외식보다 친구와의 외식에 대한 주중 선호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가족구성 형태에 따라 가족 및 친구 외식시는 독신자, 부부가족 및 기타 모두 주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그 선호 비율에서는 친구와 외식 시 주중 선호 비율이 월등히 높아 직장인은 주로 가족은 주말, 친구는 주중을 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5일 근무자와 주6일 근로자의 외식 소비 행동은 큰 차이는 없으나 그 선호 비율은 주5일 근무자의 경우 가족과 외식시 주말, 친구와 외식시는 주중으로 선호 비율이 주6일 근로자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여성농업인 정보화 시범사업 효과 평가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Women Farmers Information Project)

  • 심미옥;김화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8권1호
    • /
    • pp.107-119
    • /
    • 2001
  • As the information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and between men and women has been widening,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has initiated the women farmers information project from 2000. The aims of this project are; 1) to facilitate women farmers' computer and information application in agriculture and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and 2) to make them to be leaders to popularize computer application in rural area and agricultural sector. For these, RDA has provided not only PC, software, computer training but also the post support of extension educator to target group. This paper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project, clarifying the related variables with the effect, and providing suggestions to enhance the effect. The data were gathered from 310 target women farmers and 166 extension educators in charge of the project all over the country by mailing survey with questionnai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computer application of the target group was improved drastically, 2) As their self-assessment, they could improve psychological fear on the computer, recognition about information, and attitude to seek information, 3) This project was helpful for them in terms of information gathering and farm(or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management, 4) They tried to disseminate the benefit of computer application to neighbors, so that the neighbors' interest in computer and attendance of computer training were improved, 5) Variables such as the computer training hours, the number of interaction with extension educator, formal schooling and farming histor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ject's effect. To enhance the project's effect the following strategies should be carried out; 1) The period of the computer training course should be standardized and the subjects should attend to the computer training course for the standardized period. 2)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with the subjects, the extension educator should support them to use computer well and to overcome some difficulties as a beginner. 3) In selecting the subjects, th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person who graduated high school at least. 4) The subjects should focus on using management software, gathering useful information for their business, and selling their products directly to the consumer. 5) So as to enhance the abilities mentioned above, RDA should strengthen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on-line training and providing educational software, besides of existing off-line training.

  • PDF

개인 관련성과 사회적 가치 지향성이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에 미치는 효과 - 공기업 민영화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Personal Relevance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 Focusing on Privatization -)

  • 주태욱;김현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2호
    • /
    • pp.109-12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 민영화의 광고 전략과 관련하여 과거에 주로 수행되어 온 민영화 전략에 대한 평가나 향후 민영화 전략에 대한 정당성 차원, 즉 정치 또는 이념적 차원이 아닌 소비자 심리를 바탕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의 효과에 대해서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민영화와 관련된 광고 메시지의 형태에 따라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차별적인 영향을 줄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특히 개인의 관련성(높음/낮음)과 사회적 가치 지향성(사회적 가치 중심 성향/개인적 가치 중심 성향)에 따라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관련성이 낮을 경우와 개인적 가치 중심 성향을 가진 경우 부정적 메시지 프레이밍에 비해 긍정적 메시지 프레이밍이 더욱 높은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 관련성이 높은 경우와 사회적 가치 중심 성향을 가진 경우에는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주로 정치 및 이념적 차원에서 다루었던 민영화라는 주제를 광고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다루었다는 측면에서 메시지 프레이밍과 관련된 연구의 폭을 넓혔다. 또한 조절변수로 개인 관련성과 사회적 가치 지향성이라는 개인의 심리적 변수를 제시함으로서, 향후 실무적으로 메시지 프레이밍 전략을 활용하는 경우에 시장 세분화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확장했다는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메이커 운동과 시민과학의 가능성 (Maker Movement and the Possibility of Citizen Science)

  • 김동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95-133
    • /
    • 2018
  • 2천 년대가 시작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메이커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서울을 비롯해서 지구촌의 주요 도시들에서 해마다 메이커 페어가 열릴 정도이고 참석자들이 날로 늘어나고 있어서 일종의 메이커 '현상'으로까지 볼 수 있을 정도이다. 메이커 운동이 가지는 적극적 함의는 그동안 소비자로만 머물게 했던 제조의 독점을 무너뜨리고 시민들의 메이커로서의 권리와 능력을 되찾게 하려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고도로 발전한 산업자본주의는 구조적으로 시민들을 불능으로 만들고, 손발을 묶어놓고 오로지 소비만 하는 존재로 퇴화시키려는 일련의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메이커 운동은 탄생에서 현재까지의 궤적으로 통해 볼 때 현재의 신자유주의적 제조문화와 구조적 긴장 관계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메이커 운동을 "비판적 만들기(critical making)"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이다. 메이커 운동은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에서 나타났던 "대항문화"와 "신공동체주의"에까지 그 근원을 추적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메이커 운동이 또다른 기술유토피아주의에 빠질 수 있으며, 소비사회의 한 영역으로 기능하면서 오히려 소비주의를 활성화시키는 방향으로 동원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메이커 운동은 그 특징상 무정형적이며 현재 진행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아직 섣부른 규정을 내리기 힘든 상태이지만, 그동안 과학기술의 소비자로만 규정되던 시민들이 메이커라는 생산자로 나서면서 과학기술과 시민사회의 지형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시민과학적 함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CCTV 분야별 인력양성을 위한 효율화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Plan for Manpower Development of CCTV Sectors)

  • 유순덕;이승재;류대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7-64
    • /
    • 2016
  • CCTV 활용과 관련 산업발달에 따라 CCTV 관련 분야에 활동하는 전문 인력의 효과적인 양성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CCTV 분야의 효과적인 인력양성 방안에 대한 연구로서 14인의 전문가 패널을 이용한 델파이 방식을 통해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CCTV 분야의 효과적인 인력양성을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교육 수강생 측면에서,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대한 적절한 설명이 제시되고, 동기부여를 위해 교육 후 자격증 확보 방안 마련 취업 알선 등으로 교육 후 신분에 대한 보장 환경 제공해야 한다. 교육 참여기업(기관) 측면에서는, 수강 후 이직 방지방안 마련, 교육비용에 대한 정부의 지원, 교육 수강으로 인한 업무 공백 해결 등이 있다. 교육운영 기관 측면에서 보면, 교육 참여에 따른 다양한 혜택을 제공, 관련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적절한 홍보와 교육 프로그램 소개,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맞는 적절한 교육을 제공, 교육과목 선택 및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수강 선택권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방안마련, 운영인력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 시니어 인력을 활용, 수강생 선발의 기준은 현업 근무경험자 또는 교육이 요구되는 수요자 중심으로 선발이 필요하다.

야콘 가루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Prepared with Yacon Powder)

  • 이원갑;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4-26
    • /
    • 2014
  • 야콘 가루를 0, 3, 6, 9, 12%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한 다음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야콘 가루 첨가 머핀의 비중은 대조군보다 야콘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머핀의 높이는 대조군보다 야콘 가루 3%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야콘 가루 12% 첨가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01). 머핀의 중량은 대조군과 야콘 가루 첨가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부피는 야콘 가루 3%와 6% 첨가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1). 머핀의 비용적은 야콘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p<0.05) 굽기손실율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머핀의 수분함량은 야콘 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0.001) 머핀의 pH는 야콘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p<0.001). 머핀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대조군의 전자공여능은 21.45%였으며 야콘 가루 첨가군은 57.23~85.46%로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머핀의 색도 측정결과 야콘 가루를 첨가할수록 명도 L값과 황색도 b값은 감소하고 적색도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Texture 측정결과 경도(Hardness)와 씹힘성(Chewiness)은 대조군과 야콘 가루 첨가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과 부서짐성(Brittleness)은 대조군보다 야콘 가루 첨가군이 낮은 값을 보였다. 머핀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 질감,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야콘 가루 6%, 9% 첨가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으로 머핀에 대한 이화학적, 조직감,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을 고려할 때 야콘 가루 첨가량은 6~9%가 가장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관계혜택에 따른 미국 패밀리 레스토랑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of American Family Restaurants Based on Relational Benefits)

  • 김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6-279
    • /
    • 2014
  • 본 연구는 관계혜택에 따라 패밀리 레스토랑의 시장을 세분화하고 각 세분시장 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레스토랑 방문행태, 관계의 질, 관계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 내 패밀리 레스토랑 고객을 대상으로 얻은 총 510부의 자료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군집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판별분석, 교차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확신적, 특별대우, 사회적 혜택 등 세 개의 관계혜택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군집분석 결과 관계혜택의 정도에 따라 '높은 관계혜택 소비자,' '중간 관계혜택 소비자,' '낮은 관계혜택 소비자'의 세 개의 세분시장이 도출되었다. 세 개의 세분시장그룹은 연령(p<0.05)과 교육수준(p<0.05)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관계혜택을 높게 인식하는 소비자일수록 레스토랑의 방문빈도(p<0.001), 관계의 질(p<0.001), 관계성과(p<0.001)가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를 중간 관계혜택 소비자, 낮은 관계혜택 소비자 순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패밀리 레스토랑은 높은 관계의 질과 관계성과를 얻기 위해 고객들에게 높은 관계혜택을 제공해야할 것이다. 이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Success Factors of Sharing Economy Service)

  • 김해중;박종우;조동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14-229
    • /
    • 2016
  • 금융위기 이후 경제성장의 정체, 친환경 트렌드의 부상, 스마트폰의 대중화를 배경으로 등장한 공유경제는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자원 활용도를 높여 초연결 시대, 소비자 효용 증대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을 서비스 수용 후 지속적 사용으로 규정하고 서비스 이용 경험에서 지속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요인 간 인과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가치와 네트워크 외부성은 신뢰 및 만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위험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는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만족 또한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가치와 위험, 그리고 네트워크 외부성은 신뢰와 만족을 매개하여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공유경제 서비스의 성공 요인과 요인 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공유경제 서비스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패션 머천다이징 시스템 개발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라이프스타일과 패션 의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ashion Merchandising System-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life-style of consumers and the Marketing strategy of the fashion industry-)

  • 이호정
    • 복식
    • /
    • 제20권
    • /
    • pp.151-16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theory of the Fashion Marketing and merchandi-sing system as well as the strategy for the Mar-keting based on the related variable. Furthermore, this study deals with development of the mark-eting strategy to the relation between consumers and industry. The content conclusion on the research can be outlined as follows : 1. In order to inverstigate how the life-style of consumers affects their sense of fashion, awa-reness of brand, and decision making process of purchase, the life-style of women consumers is classified into 15 types. (1) Acording to the different life-style types, and important difference is found in the consum-ers' sense of clothes, a unique image of outfit and its own favorite image of womanliness. (2) The consumer's awareness of a particular brand has a reasonable relationship with their brand preference and possession of the brands. (3) Their is an important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s in their brand awar-eness and preference and possesion of brands. (4) The consumers of each life-style type show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purchase including he motive of purchase, the source of information, the cause of purchase intention, price, the frequency of purchas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purchased goods. 2. The merchandising system and the market positioning among the fashion industry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following terms ; (1-1)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target market strategy, the industry uses unreasenalbe methods to analyze the life-style of the target customers and the real customers(36%) and the aging phenomenon of brands is remarkable : as much as 37% of brands show over 5 years-old age gap. (1-2) The price setting process depends highly on the cost-plus approach. (1-3) In color planning, too many colors are used in every season(the average number is 22.3)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consumers' favorite color is neglected. (1-4) The manufacturers of successful brands are much likely to employ the textile designer and allow them to develop the various fabrication. (1-5) The regular rate of sales in each season is extremely low(56.04%) : the rate of the succ-essful brands is relatively high at 65%, but that of the unsuccessful as low as 51%. (1-6) 47% of brands reveal the designer-orie-nted fashion merchandising system. The successful brands, on the other hand, show a high rate of merchandiser oriented system. (2) Since the brand positioning is highly cen-tered on each brand image, styles and target age, the new data are presented in this study for the new market development. (3) To set up the target market, the mapping of images between the differentiated market and the consumers is suggersted according to the market positioning of industry and 15 types of the life-styles of consumers.

  • PDF